• Title/Summary/Keyword: 공공의료기관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nvergence Study on the Reliability of Public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in Rural Areas -Mainly 65 years old and older- (농촌지역의 분포되어있는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융복합 연구 -65세이상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 Moon, 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2
    • /
    • pp.154-15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gram development for efficient medical institution management and finding comprehensive measures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medical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was conducted for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four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participants had higher confidence in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Seco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ability of public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ird, the environment of the survey subjects wa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e credibility of the surveyed public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affects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economic power and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institutions also influence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blic medical institutions ne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in the future,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in addition to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is urgently needed.

Long-and Short-term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s Expenditure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South Korea -focusing on Public District General Hospitals- (인적자원관리비용과 경영성과에 대한 장·단기 효과분석)

  • Park, Jeongwon;Yoon, Heesoo;Choi, Mankyu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6 no.3
    • /
    • pp.84-99
    • /
    • 2021
  • Purposes: 우리나라 공공의료기관들의 경영실적 보고에 따르면 대부분의 공공의료기관들이 만성적자로 인한 경영난 문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공공의료서비스 제공 등이 주요 원인이겠지만 그럼에도 공공의료기관들의 경영효율화 문제는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음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정비 성격이 강한 인적자원관리비용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경영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ethodology: 분석자료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39개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였고, STATA SE 12.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Findings: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단면연구 결과에서는 인건비가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높은 경향을(2014년 의료수익:1.523/ 2015년 의료수익: 2.002, 의료수익의료이익률: 0.002/ 2016년 의료수익: 1.223) 보였으나 패널회귀분석을 통한 종단연구 결과에서는 복리후생비가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의미있게 높은 경향을(의료수익: 3.232582/ 의료수익의료이익률: 0.0014502) 보였다. 이는 인건비는 경영성과에 단기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복리후생비는 경영성과에 장기적인 효과가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Practical Implication: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효과가 있는 복리후생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건비와 복리후생비의 특성 파악을 통하여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방법을 위한 경영적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설계경기 - 하동군 보건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6 s.446
    • /
    • pp.54-57
    • /
    • 2006
  • 경남 하동군은 경제자급구역 지정을 대비한 공공의료기관을 신축하여 소외계층에 대한 다양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만성질환 등 신종질병 예방을 대처하고, 민간의료기관에서 기피하고 있는 노인치료, 치매사업, 재활프로그램 등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공의료기관 신축을 위해 설계경기를 실시한 바 당선작으로는 '태화건축사사무소(조태화) + 미가건축사사무소(이주용)'의 안을, 우수작으로는 '석림건축사사무소(이충호)'의 안을 각각 선정, 발표하였다.

  • PDF

An App Service for Providing the Position and Clinical Information of Hospital using Public Data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병원 위치 및 진료 정보 제공 앱 서비스)

  • Jang, Jae-Hong;Ahn, Gwi-Im;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375-377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오픈데이터(Open Data)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보건의료에서는 삶의 방식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예방과 진료를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려는 고객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 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보건의료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기관 정보에 대한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별 정보와 구글 맵 Open API를 통해 병원 위치를 지도를 통해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각 병원별 진료과목, 시설 정보 등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 PDF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서의 공공부문의 역할

  • Jo, Hu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7-18
    • /
    • 2011
  •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 있어서의 공공부문의 역할은 오래된 화두이다. 이번 학회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질병관리와 건강이 갖는 주제 자체의 중요성이다. 건강은 국민의 기본 권리이다. 국민의 기본 건강권을 유지,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의 방향 모색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임이 분명하다. 둘째, 공공보건의료를 전체 인구집단의 건강향상을 위한 총체적 활동으로 볼 때 건강위험요인의 변화와 질병패턴의 변화에 따라 인구집단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내용이 변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논의 당시의 시점에서 요구되는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내용을 검토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은 주기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최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변화하는 가운데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과거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공보건의료 기관만을 공공보건의료 수행자로 정하고 있었으나 최근 수행자의 범위를 민간의료기관까지 확대시키는 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에따라 공공부문의 역할과 활동의 범위를 검토하는 기회가 필요하겠다. 본 원고에서는 발표자가 국립대학병원의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지역사회 단위의 보건사업 활동에 참여하면서 직 간접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중심으로 질병관리와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Publicnes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와 공공성 관계)

  • Yang, Jong-Hyun;Park, An-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
    • /
    • pp.249-255
    • /
    • 2020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publicnes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he data from 2015 to 2017 were collected from annual reports and balancing accounts in 13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ublicness index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net profit to gross revenues, operating margin. Medical social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rmal profit to gross revenues, net profit to gross revenu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hospitals,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ormal profit to gross revenu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different project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the public sector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me Awareness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Patients' Intent to Revisit (공공의료기관 인지도와 재방문여부와의 관계 연구)

  • Lee, Jin-Woo;Kim, Kwa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271-279
    • /
    • 2013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intent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hospital revisits by proposing measures to enhance name awarenes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me awareness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patients' revisit, and its corresponding influences. The study findings were drawn by employing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atients' revisit or not.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 of medical treatment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s, thereby exhibit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revisit to medical institutions. The usual image, medical service, and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were reveal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atient's intent to revisit. This study could confirm a correlation between the name awareness of medical public institutions and the patients' revisit or not. Consequently, to improve the quality and infrastructure of their medical services,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perform studies on measures to increase the revisits of patients by identifying their image, medical services, and treatment environment on a consistent basis.

A Survey of Role Perception and Function Performance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 among the Medical Staff in a National Hospital (일개 공공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연구)

  • Cho, Young-Hye;Lee, Sang-Yeoup;Jeong, Dong-Wook;Choi, Eun-Jung;Kim, Yun-Jin;Lee, Jeong-Gyu;Go, Yu-Young;Lee, Yu-Hyone;Bae, Mi-Jin;Kim, Chang-H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7 no.2
    • /
    • pp.67-75
    • /
    • 2012
  • Objectives: While there have recently been efforts to improve public health service at a governmental level, there is actually insufficient research on awareness of the roles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 among hospital employees. This study examined role perception and function performance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 among the medical staff in a national hospital. Methods: 15% were randomly sampled from each type of occupation among the medical staff in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 survey was conducted in 323 persons, and there were a total of 265 participants (80.2%): 103 doctors(38.9%), 98 nurses (37.0%), and 64 others (24.1%). Results: The hospital employees had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ir roles as public health service providers in terms of six required items for public health service: 1) services for supporting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public health service policies, 2) participation in the health service activities and support services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3) technological support and educational services for private health service institutions, 4) health service for unprivileged brackets, 5) health service that requires association with other areas dealing with geriatric, disabled, and mentally-disordered people, and 6) health service for children and mothers. Conclusions: In general, since the hospital employees had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public health service provid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manpower exclusively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 and provide education about strategic public health servic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