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수용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 글라스 기반의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존 연구 분석 (A Survey on User Interface Considering Social Acceptability based on Smart Glasses)

  • 이민호;허환;김제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60-1161
    • /
    • 2019
  • Augmented Reality(AR) 기반의 스마트 글라스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페 혹은 도서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사용이 꺼려지는 경향이 있다. 콘텐츠 조작 시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거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글라스에서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건강정보서비스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ntion of Accepting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남재우;박태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21-240
    • /
    • 2014
  • 본 연구는 해외의 공공도서관 기반 건강정보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5개의 웹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총 15개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건강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해 각 콘텐츠의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콘텐츠가 보통 이상으로 유용하게 조사되었으며, 이 중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콘텐츠는 '질병, 투약, 건강관리 정보', '건강강좌, 무료검진 정보', '암 관련 정보'였다.

노사협상이론의 새로운 영역과 적용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ories on Labor Negotiation: Public Sector)

  • 김태기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2호
    • /
    • pp.197-225
    • /
    • 2001
  • 노사분쟁과 협상에 대한 경제학의 전형화된 이론은 비대칭 정보 협상이론이다. 전형화된 이론은 논리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협상의 현실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심리경제학에 토대를 둔 새로운 협상이론과 타학문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던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새로운 협상이론과 협상의 실제에 대한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전형화된 이론과의 접목 가능성을 검토한다. 새로운 협상이론은 전형화된 이론의 핵심적 가정인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협상당사자의 인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당사자들이 제안을 주고 받는 과정이 전형화된 이론이 가정하고 있듯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협상의 실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노사관계가 불안한 공공부문의 노사분쟁에 적용함으로써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노사분쟁과 협상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 PDF

그룹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인지 손상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 신재욱;한혜경;신상화;박재성;박찬효;김혜진;김동인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1호
    • /
    • pp.69-7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34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15 males and 19 females) who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 = 17) were trained with the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n=17) receive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 interventions for both groups were performed for 1 hour per day, once a week for 12 weeks.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tragroup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ANCOVA was performed to check intergroup differences. Results: The intragroup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group that were trained with the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more than for the group that receive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 intergroup comparis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ientation, visual perception, and visuomotor organiz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an the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roup computerizatio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공공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 품질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ublic Library Book Curation Service Quality on the Continued Use Intention)

  • 김미현;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99-223
    • /
    • 2024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과 위상 정립 방안의 하나로 북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시하며, 공공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 및 다양한 분야의 큐레이션 서비스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공공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품질 요인을 정보품질로 한정하여 세부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품질 요인 중 다양성과 흥미성은 이용자 만족에, 발견성과 유용성은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은 이용자들이 새로운 정보를 발견할 수 있고,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테마 선정과 다양한 장르, 다양한 유형의 도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북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공공미술의 공공성과 주체간 관계의 특성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 Focused on the "Golden market, Golden Age" Public Art Project)

  • 남기범;남미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8-134
    • /
    • 2013
  • 이 연구는 정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새장르 공공미술을 관찰하고, 주체 간 관계에 대한 분석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은 사회적 쟁점에 대해 민감하고, 민주주의와 공동체를 지지하며, 다양하고 폭넓은 관객의 참여를 지향한다. 사례지역인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사업의 주체는 사업내용과 방향을 지시하는 정부, 이를 수행하는 예술가, 공공미술 과정에 참여하는 주민 등으로 구분된다. 정부는 경쟁력 있고 질서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공공미술 작업을 초대한다. 예술가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하며 주민을 계몽해야할 대상으로 파악한다. 반면, 주민들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예술가는 정부의 사업지시를 수용하는 하향식 운영방식을 보이고, 주민은 예술가의 일방적 계몽에 소외되고 소극적 참여를 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의 공공성은 다양한 사람들의 담론이 교환되는 장으로서의 사회적 공공성이라기보다는, 공공사업이 가지는 행정적 의미의 공공성만을 담지한다.

  • PDF

빅데이터 기술수용의 초기 특성 연구 - 기술이용자 및 기술활용자 측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itial Characterization of Big Data Technology Acceptance - Moderating Role of Technology User & Technology Utilizer)

  • 김정선;송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538-555
    • /
    • 2014
  • 빅데이터와 관련 기술에 대하여 학계, 산업계, 공공의 관심이 크지만 아직까지 빅데이터 기술수용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초기 시장인 빅데이터 기술수용 연구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 틀로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 및 과업기술적합성(Task Technology Fit)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빅데이터 기술 수용의 목적성을 기술수용모델의 조절변인으로 확장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규범'과 '과업기술적합성'이 TAM의 외생변인으로 가장 크게 영향을 가졌으며 기술기반의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을 기획하고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술활용자' 집단에게 '조직의 혁신성향'은 기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외생변인이나 단순히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용자' 집단에게는 오히려 '주관적 규범'이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검증에서도 유의한 차이점이 검증되었다.

공공기관 근무자의 스마트 모바일기기 사용과 업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AM 모형을 활용한 업무성과와의 관계 검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Mobile Devices Use and Work Performances of Public Agencies: Focused on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s using TAM)

  • 임성진;한경석;정미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465-1474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는 공공기관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사용자요인과 수용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스마트 모바일 기기 활용과 업무성과의 긍정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직무적합성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수용자 혁신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B=.296, p=.000, 사용용이성에 B=.326, P=.000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적합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B=.261, p=.001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각각 B=.382, 488, p=.000으로, 업무성과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매개하고 있음을 결론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NS 게시물에 대한 공공기록화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ptance of Public Recording for SNS Post)

  • 윤승욱;장준갑;김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보안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SNS 게시물 기록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SNS 사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함을 시사한다.

국내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적 분석 (A Discourse Analysis to Public Library Ecosystem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7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화를 통한 개선 확장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연생태계의 순환원리와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기본원리와 구조적 지형을 해명하고 현주소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차용한 전략적 방안(카르마 법칙을 적용한 도서관의 정체성 및 공공성 보장, 미네르바 신드롬을 극복하기 위한 사서직의 주체성 및 전문성 강화, 파레토 원리를 응용한 자료서비스 및 장서관리의 최적화, 부정적 후광효과를 해소하기 위한 일반열람실 축소와 비교우위 프로그램서비스 제공, 가우스 분포를 준수한 생애주기별 이용편차 해소, 이카루스 역설을 반추한 디지털 패러다임 수용과 이용친화형 공간화, 그레샴 법칙의 경계를 위한 작은도서관의 공공도서관 시스템화, 그리고 폼페이 역설을 반면교사로 삼은 소통강화와 사회문화적 가치 확산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