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데이터포털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XML구조를 이용한 공공 빅데이터의 선별 저장 및 시각화 방법 (A Method for Selective Storing and Visualization of Public Big Data Using XML Structure)

  • 백봉현;하일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305-2311
    • /
    • 2017
  • 최근들어 공공 정보화와 함께 정부기관, 지자체 및 다양한 정부산하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공공기관이 업무수행의 결과물로 생성 및 수집한 다양한 전자화된 형태의 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에서 개방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데이터 형식의 이해와 데이터 처리 지식의 부족,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관리의 어려움, 수집 및 저장한 데이터의 이해를 위한 시각화 기술의 부족 등으로 빅데이터의 활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공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데이터셋의 URL 및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 포맷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XML 구조를 이용하여 재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데이터 융합을 통한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공 빅데이터 수집, 선별 저장 및 시각화 플랫폼을 제안한다.

기계학습에 유효한 데이터 요건 및 선별: 공공데이터포털 제공 데이터 사례를 통해 (Valid Data Conditions and Discrimination for Machine Learning: Case study on Dataset in the Public Data Portal)

  • 오효정;윤보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7-43
    • /
    • 2022
  • 인공지능 기술의 가장 큰 근간은 학습 가능한 데이터이다. 최근 정부나 사기업에서 수집·생산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기계학습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의 확보로는 아직까지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에 실제 활용 가능한 데이터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데이터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해 예측 모델을 개발한 대표사례를 선정, 공공데이터포털로부터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 후 데이터 품질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 선별 기준을 적용하고 후처리한 결과와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 기술 개발에 앞서 가장 근본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고 유효한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있다.

전국 비상 대피소와 재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applications with national emergency shelters and disaster data visualization)

  • 공동준;한성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10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피소에 대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소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제안 애플리케이션은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해 React-Native-Maps 에서 제공하는 마커 기능을 사용하고 구글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와 결합해 대피소의 위치를 표시한다. 부가적인 특징으로 과거 재난 정보를 시각화 하여 제공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의 대피소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였다. 프로토 타입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후 피해 예상지역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한 캠핑 커뮤니티 웹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Camping Community Web Services Using REST API)

  • 조규철;안승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247-25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캠핑 입문자가 캠핑 관련 정보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웹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카카오맵 API를 통해 지도를 표시하고 공공데이터 포털의 Open REST API 중 하나인 한국관광공사 고캠핑 정보 조회서비스_GW를 활용하였다. 개발된 웹 응용 서비스를 통하여 캠핑 입문자들도 국내의 캠핑장 데이터를 지도에서 손쉽게 검색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이를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 PDF

공공데이터 유형화를 위한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사례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Typology)

  • 김대기;주원균;김은진;이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51-68
    • /
    • 2014
  • 오늘날의 공공데이터는 일상생활의 편의증진, 새로운 비즈니즈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사회 경제적 가치와 부가적 잠재력을 지닌 중요한 국가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어 해외 선진국들은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민간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으로 정부3.0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개방된 공공데이터는 공급자 관점의 분류체계로 유형화되어 있어 수요자 관점의 접근이나 정보소재 파악이 어려워 민간 활용를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민간 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관점의 데이터 개념을 정의하고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여 정보관리 관점에 따른 5개 유형과 정보활용 관점에 따른 7개 분야, 21개 세부 분야의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공공이슈 추출을 위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for Public Issue Extraction)

  • 김승주;윤창근;이차헌;박동환;이해준;박혁주;이용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20
    • /
    • 2018
  • 대중의 관심인 공공이슈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노출 횟수만 파악하여 결과로 반영한다. 본 논문은 포털 사이트로부터 얻은 언론사별 뉴스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키워드별 노출 빈도수, 댓글 수 및 추천 수를 반영한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공이슈를 추출하여 얻어낸 키워드들을 워드클라우드, Sankey다이어그램과 같은 형태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대중의 반응을 반영한 분석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공간지능화서비스 구현을 위한 공공데이터 분석 (An Analysis of the Public Data for Making the Ambient Intelligent Service)

  • 김미연;서동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13-321
    • /
    • 2014
  • 현대 사회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었고, 다변화되는 도시에서는 정보의 생성, 수집,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2012년 이후 스마트기기의 확산과 초연결사회로 불리우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공공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보편화된 모바일 기기 사용 및 SNS 이용 확산에 따라 빅 데이터에 대한 이슈에 주목하고 있다. 초기에는 데이터의 플랫폼 구성에 연구개발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공간지능화 서비스 구현을 위한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방안에 대한 여러 분야의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측면에서 전문가보다는 일반인의 사용성 증대를 위한 시각화 과정에 집중하고자 기존의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공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일반 시민들에게 있어서 데이터의 분석 및 응용은 현재 종이문서의 이용을 감소시키고, 지능형 공간에서 공공정보서비스에 대한 개개인의 요구 및 행동에 맞추어 빠르고 신속한 대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데이터베이스와 gps를 이용한 의료기관 위치 및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medical institutions using public database and gps)

  • 김주현;박주민;유세빈;허진영;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9-310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많은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중 의료정보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은 많지가 않다. 우리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올라온 전국의 의료기관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종합관리시스템의 서비스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of the Integrated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Management System)

  • 김지혜;윤성호;양동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49
    • /
    • 2022
  • 2020년 「공공기록물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에 따라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이 법제화되며, 국가기록원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데이터세트와 관리 기준표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서비스 방안은 부재한 작금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외 공공데이터 포털 및 기록관 웹사이트 14곳을 대상으로 데이터세트 서비스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종합관리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방안 6가지를 제안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공공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성 대상 범죄 예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ime Prevention System Targeting Women by Using Public BigData)

  • 고성욱;오수빈;백세인;박혁주;박미화;이강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1-564
    • /
    • 2016
  • 지역별로 여성 대상 강력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구역을 표시해주는 범죄 지도를 이용한다면 경찰은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개인은 범죄지역 정보를 참조하여 심각한 문제가 개인에게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여성 대상 범죄 데이터와 범죄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위험도를 계산하고 개인의 연령대와 위치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범죄 예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성범죄가 일어난 지역에 대해서는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되는 범죄자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성범죄가 일어난 지역에 대해서 범죄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범죄 내용, 범죄자의 실제 거주지, 범죄 발생 지역, 형량, 범죄 횟수를 기반으로 범죄 위험도를 계산하고 해당 지역에 나타나는 위험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연령대별 범죄 발생 구역을 시각화한다. 시 군 구(동) 단위별로 계산된 지역별 위험도 점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연령대에 맞는 범죄 위험 정보로 제공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