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ime Prevention System Targeting Women by Using Public BigData

공공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성 대상 범죄 예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o, Sung-Wook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Oh, Su-Bi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Baek, Se-I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Park, Hyeok-Ju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Park, Mee-Hwa (Convergence Software Institute, Dongguk University) ;
  • Lee, Kang-Woo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고성욱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오수빈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백세인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혁주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미화 (동국대학교 융합소프트웨어교육원) ;
  • 이강우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16.10.27

Abstract

If using crime map which represents criminal section that violent crimes targeting women frequently happened, the police could prevent additional crimes by positioning themselves intensively in expected crime zones and each individual could avoid being damaged by referring information of criminal zones. In this paper, by analyzing crimes targeting women and offender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in public-opened datum portal, we suppose a system which prevents crimes that calculates locational danger and, by considering location and age group of users, provides user-customized information of danger. By crawling the criminals datum which is provided in public-opened datum portal, It collects them. About the areas which happened sexual crimes, calculating danger of crime based on statistical crime information including criminal information, residence of offenders, areas which happened sexual crimes, sentences and the number of crime, this system is able to visualize the areas which sexual crimes happened based on information of danger grade representing on user's location. The score of danger calculated in location unit can provide criminal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and ages of users by interacting GIS.

지역별로 여성 대상 강력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구역을 표시해주는 범죄 지도를 이용한다면 경찰은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개인은 범죄지역 정보를 참조하여 심각한 문제가 개인에게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여성 대상 범죄 데이터와 범죄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위험도를 계산하고 개인의 연령대와 위치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범죄 예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성범죄가 일어난 지역에 대해서는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되는 범죄자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성범죄가 일어난 지역에 대해서 범죄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범죄 내용, 범죄자의 실제 거주지, 범죄 발생 지역, 형량, 범죄 횟수를 기반으로 범죄 위험도를 계산하고 해당 지역에 나타나는 위험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연령대별 범죄 발생 구역을 시각화한다. 시 군 구(동) 단위별로 계산된 지역별 위험도 점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연령대에 맞는 범죄 위험 정보로 제공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