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 계량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6초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 해역의 적지 선정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

  • 오태건;김이청;양용수;김창길;이문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94-905
    • /
    • 2010
  • 바다숲 조성 해역에 대상 해조류의 최적 적지를 도출하기위해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식지 평가 방법은 HEP(Habitat Evaluat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대상 해조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바다숲 조성 해역에서 바다숲을 시설하기에 최적으로 예측되는 곳을 계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으며, 적지 선정에는 수심의 변화에 따른 인자인 광조건과 파랑의 변화 여부가 적지의 공간적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적지의 총 면적은 18ha로 분석되었으며, 서식 적합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에 의해 분석된 서식지의 질을 계량화한 결과 0.55~0.907(최고치는 1.0) 사이의 범위를 보였고, 선정된 적지가 등 수심선 방향을 따라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바다숲 조성지에 기반 시설인 해중림초를 투하할 때, 수심에 수평 방향의 띠 형태로 시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주택 예상투자이익 추정과 영향요인에 대한 시론적 분석 - 2010-2018년 주택 실거래가를 중심으로 - (Estimation and Determinants on Residential Investment Profits in Seoul: A Focus on Housing Transaction Price from 2010 to 2018)

  • 안혜성;강창덕
    • 지역연구
    • /
    • 제36권1호
    • /
    • pp.37-50
    • /
    • 2020
  • 이 연구는 투자이론에서 활용되고 있는 토빈의 Q 개념을 적용하여 투자이익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서울 주택시장을 이해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주택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투자이익을 추정하고 공간계량모형을 이용하여 투자이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투자이익은 실거래가격에서 대체비용(토지비용+건축비용)을 빼는 방식과 실거래가격 대비 대체비용의 비율로 각각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투자이익은 2018년으로 갈수록 더 커졌고 강남·서초구 및 한강 주변에서 투자이익이 높게 나타났으나 투자이익의 시공간적 변화양상은 아파트의 경우 뚜렷한 반면에 연립·다세대주택은 산발적·국지적으로 나타났다. 공간계량모형 분석결과는 주택유형과 상관없이 고밀·신축개발이 많은 지역에서 투자이익이 높았다. 이 연구의 접근방법과 결과는 향후 주택 공급 정책, 투자이익 환수, 지역 경쟁력 측정, 가격 거품 측정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시간을 고려한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 분석 : 3단계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공간 SUR 추정 (Temporal Spatial Externalities on Agglomeration Economy of Manufacturing : Estimation of Spatial SUR by Using 3SLS)

  • 김성훈;최명섭;김의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4-426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spatial externalities) 시계열 변화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도서 지역을 제외한 162개 시군구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1991년부터 2005년까지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시공간을 고려한 공간경제계량모형인 공간 SUR를 이용하여 Cobb-Douglas 생산함수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추정하기 위해 오차항의 종속성을 고려하여 3SL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spatial externalities)은 시간에 따라 체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부가가치의 지니계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그동안 동종 산업내 규모의 경제에 의한 집적효과가 공간외부성을 발생시켰으나 그 효과가 체감하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집적의 이익은 누리고 공간외부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이종 산업간에 연계강화를 통한 혁신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지역간 협력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GIS의 활용에 따른 비용-이익 산정기법에 관한 소고 (A Study on Cost-Benefit Analysis Techniques in GIS Applications)

  • 김정옥;유기윤;김용일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0-136
    • /
    • 2002
  • GIS의 구축과 활용에 있어서 비용과 그에 따른 효과의 산정에 관하여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상당부분 적절한 산정방법론의 부재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학제적 연구과정을 거쳐 온 전통적인 비용-효과 분석의 틀을 고찰해보고 이를 토대로 최근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제안한 모델링 기법을 분석해 보았다. 전통적인 비용-효과 분석의 틀은 다수의 고안된 계량적 지표에 의거하는데 이는 모델링 기법에 의한 분석에서도 역시 준거체로서 작용한다. 특히 모델링 기법에서는 효과의 산정에 있어 활용된 GIS의 복잡도를 기본 요소로서 인식하고 이를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분석하여 그 효과를 산정하였다.

  • PDF

도시공원 조성이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성동구 서울숲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Urban Park Development on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s - Focused on Gentrification around Seoul Forestry Park in Seongdong-gu -)

  • 문승운;김의준;구진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6-88
    • /
    • 2017
  • 오늘날의 도시공원은 도시자연경관 보호, 도시민의 건강 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 등의 본원적 역할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도시의 공간구조를 재조정하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역할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도시공원의 역할이 이론뿐만 아니라, 과연 현실에서 실증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으로 인해 야기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도시공원이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이라 여기고, 젠트리피케이션 지수를 통해 도시공원 조성과 도시공간구조 변화와의 관계를 실증적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대상은 '서울숲'이 위치한 성동구이다. 서울숲은 서울을 대표하는 초대형 도시공원으로, 2005년 개장 이후 주변 지역에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성동구의 도시공간구조가 변화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방법으로는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및 도시공원 접급성 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도시공원 조성 전과 후의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의 변화,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와 도시공원 접근성 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서울숲이 위치한 성동구 지역의 491개 집계구의 2000년, 2005년, 2010년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이중차분법과 선형확률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숲의 조성으로 인해 성동구의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의 분포양상 및 방향성이 역전되었으며, 도시공원과의 접근성이 향상될수록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공원은 젠트리피케이션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도시공원으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는 동인이자 결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은 도시시스템의 일부로써 도시의 공간구조 및 형태를 만드는데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프라스트럭처로써의 도시공원, 또는 도시의 시스템 등 이론적으로 거론되던 도시공원의 역할들을 실제 사례와 자료를 가지고 실증적 계량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있다.

장비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품질향상 요인추출 및 집단 간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by Groups and Quality Improvement Surveying of the Important Factor of 3D Spatial Information by Equipment)

  • 오민균;배상태;김태우;이정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3-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중 및 지상장비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의 핵심요인을 분석하고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품질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는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개별 기술 요소에 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개선이 요구되는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요인 평가 및 대안기술 개발과 적용 등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3차원 공간정보를 바라보는 집단 간 견해차의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공간정보 및 측량에 종사하는 전문가 집단과 일반적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경험한 비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성 유무를 계량적 기법에 의해 판단하였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의 주요 이슈 고찰 (Analysis of Issues on Underground Spa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tilizing Social Media Data)

  • 최해옥;백성준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75-86
    • /
    • 2016
  •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에 관한 주요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를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을 사용하였고 트위터를 통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은 2014년 잠실 싱크홀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로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계량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네트워크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중심성 지수, 그룹밀도 분석을 통해 지하공간과 관련된 이슈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중앙정부의 정책 관련 항목은 지자체 정책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앙정부는 예방차원에서 특별법을 바탕으로 예방체계를 구축하여 지자체가 지하공간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대응 관리하도록 법에 근거한 예방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중앙 정부가 연구관련 분야를 강화함으로써 지하공간 관련 안전대책을 구축하는 데 법과 기술이 서로 협력하여 발전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리공간정보의 글로벌 연구 동향 분석 (Global Research Trends on Geospatial Information by Keyword Network Analysis)

  • 김병선;정민우;전상은;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69-77
    • /
    • 2015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연구 논문에 대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지리공간정보 연구의 흐름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 학술 자료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논문과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해 키워드 네트워크 자료를 구축하고 시기별 키워드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공간정보가 활용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관련된 기술의 연구 동향을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정책과 연구 개발 계획을 과학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차원 내부공간에서의Syntax기반의 접근성 산출 (Syntax-based Accessibility for 3D Indoor Spaces)

  • 김혜영;전철민;권재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18
    • /
    • 2007
  • 유비쿼터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로써 최근 3차원 GIS와 어플리케이션들은 점차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복합 건물들이 생겨나면서 접근성과 같은 계량적인 측정이 요구되지만, 대부분 접근성과 관련된 연구들은 2차원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루어 졌을 뿐 3차원 공간상에서의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사례가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Space Syntax에서의 접근성 산출방법과 이를3차원 공간 내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공간간의 거리, 방향전환, 층간 이동 등의 부하를 고려함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캠퍼스 건물모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