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tax-based Accessibility for 3D Indoor Spaces

3차원 내부공간에서의Syntax기반의 접근성 산출

  • 김혜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공간정보공학과) ;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공간정보공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공간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Recently 3D GIS and its applications are getting attention increasingly as various ubiquitous-related techniques for 3D spaces are being developed. Although they call for quantitative measures such as accessibility, most accessibilityrelated studies are limited to 2D networks, not 3D indoor space levels.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ccessibility index applicable to 3D models. We first examine the theory of Space Syntax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measure the connectivity or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segments in urban or architectural environments. Then, we expand the principle to a more general form so it can be applied to both street and indoor space levels. We incorporate different types of impedances in moving between places including distances, turns and transfers between floors into the traditional Space Syntax that measures the spatial depths solely based on the structural forms. Finally, we illustrate the use of the proposed measure comparatively using a campus building.

유비쿼터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로써 최근 3차원 GIS와 어플리케이션들은 점차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복합 건물들이 생겨나면서 접근성과 같은 계량적인 측정이 요구되지만, 대부분 접근성과 관련된 연구들은 2차원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루어 졌을 뿐 3차원 공간상에서의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사례가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Space Syntax에서의 접근성 산출방법과 이를3차원 공간 내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공간간의 거리, 방향전환, 층간 이동 등의 부하를 고려함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캠퍼스 건물모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