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ssues on Underground Spa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tilizing Social Media Data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의 주요 이슈 고찰

  • 최해옥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 백성준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6.04.25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issu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lated with the underground space after happenings of sinkholes in Jamsil area in July, 2014.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keyword network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social issues regarding the underground space have been dealt wit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and group density to know the attributes of the network. The results show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steadily helpful to the local governments for establishing the socialized law for the underground spac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laws and technologies as to the underground space issues cooperate each other in the future. It also shows that the government should enact the policies and the national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에 관한 주요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를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을 사용하였고 트위터를 통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은 2014년 잠실 싱크홀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로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계량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네트워크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중심성 지수, 그룹밀도 분석을 통해 지하공간과 관련된 이슈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중앙정부의 정책 관련 항목은 지자체 정책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앙정부는 예방차원에서 특별법을 바탕으로 예방체계를 구축하여 지자체가 지하공간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대응 관리하도록 법에 근거한 예방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중앙 정부가 연구관련 분야를 강화함으로써 지하공간 관련 안전대책을 구축하는 데 법과 기술이 서로 협력하여 발전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봉(2011), "수치정사영상을 이용한 3 차원 객체모델"
  2. 김병선, 정민우, 전상은, 신동빈 (2015),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리공간정보의 글로벌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 제23권 제1호, pp.69-77.
  3. 김홍기 (2014), 빅데이터 환경에서 이슈 분석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송명수, 이성호 (2014), 지하공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dsurn,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15권 제6호, pp.57-65.
  5. 이경철, 장용구, 송지혜, 강인준 (2014), 급경사지방재를 위한 급경사지 정보 및 지하공간정보 DB 구축과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15권 제7호, pp.13-21.
  6. 이미나, 박천일, 문지영 (2014), 트위터와 신문의 이슈 속성 비교 연구: MBC 파업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3-55.
  7. 이수범, 강연곤 (2013), 국내 일간지의 트위터 이슈에 관한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28-53.
  8. 홍주현 (2013), 트위터를 통한 이슈의 확산 네트워크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2호, pp.351-400.
  9. 황재윤 (2013), 부산시 지하공간의 효율적 개발 방향, 터널과지하공간, 제23권 제5호 통권 106호, pp.347-352. https://doi.org/10.7474/TUS.2013.23.5.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