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가중치

Search Result 6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Using GIS-Based AHP Method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 Kim, Tae Jun;Lee, Geun S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4D
    • /
    • pp.695-702
    • /
    • 2006
  • In GIS-based Spatial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SDSS), the Boolean logic by conventional simple overlay method contains two problems. One is losing lots of information in analysis process, the other is unable to reflect of weighting values between evaluated items. Therefore, evaluation system as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needs to improve these problems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enefit of AHP method and GIS spatial analysis in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First, the weighting value of AHP for topography, distribution grade of water, property of soil and slope items are evaluated throughout survey to experts of soil, crop and agricultural management fields. On the basis of these weighting value of AHP by items,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black raspberry cultivation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benefit of AHP method, the current cultivating map of black raspberry is constructed in Ssangchi-myeon district. In comparison with site analysis of Boolean logic, site analysis of AHP method shows more realistic.

Binary Neural Network in Binary Space using NETLA (NETLA를 이용한 이진 공간내의 패턴분류)

  • Sung, Sang-Kyu;Park, Doo-Hwan;Jeong, Jong-Won;Lee, Joo-Tar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431-434
    • /
    • 2001
  • 단층 퍼셉트론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 간단한 패턴을 인식하는 학습 기능을 가지고 있기 장점 때문에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단층 퍼셉트론은 한 개의 소자를 이용해서 이진 논리를 가중치(weight)의 변경만으로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영상처리, 패턴인식, 장면인식 등에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 역전파학습(Back-Propagation Learning)알고리즘이 이진 공간내의 매핑 문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역전파 학습알고리즘은 연속공간 내에서 긴 학습시간과 비효율적인 수행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은 간단한 이진 공간에서 매핑하기 위해서 많은 반복과정을 요구한다.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에서는 은닉층의 뉴런의 수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순위(prior)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입력층과 출력층내의 뉴런의 수에 의존한다. 따라서, 3층 신경회로망의 적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는 은닉층내의 필요한 뉴런수를 결정하는 것이고, 회로망 합성과 가중치 결정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찾지 못해 실제로 그 사용 영역이 한정되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분류를 위한 새로운 학습방법을 제시한다. 훈련입력의 기하학적인 분석에 기반을 둔 이진 신경회로망내의 은닉층내의 뉴런의 수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NETLA(Newly Expand and Truncate Learning Algorithm)라 불리우는 기하학적 학습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Weighting Factor for Integrative Space Evalu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 Based on Occupant Survey in Residential Buildings of USA - (주거공간에서의 통합적 실내평가를 위한 공간별 가중치 산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미국 중서부 주거건물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

  • Yoon, Sung-Hoo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0 no.5
    • /
    • pp.34-41
    • /
    • 2011
  • Today, residential building is considered of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pace of their quality of life and health. Residential buildings should provide comfortable environments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their occupants. And good residential buildings are made by appropriately combining residential spaces, such as living room, master bedroom, bedroom, kitchen, restroom, and so on. These combinations in residential building are must be compatible with the activities of the occupants and their need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space priority between residential space in residential buildings depending on occupant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Especially, this research is to find space weighting factors for integrative evalu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based on occupant survey. These weighting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residential spaces for integrative residential space evaluation. And,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will help designers and researchers to find space planning strategies in residential building, and develop new integrative evaluation framework for improving residential quality from the occupants' point of view.

Tree Build Heuristics for Spatial Partitioning Trees of 3D Games (3D 게임 공간 분할 트리에서 트리 빌드 휴리스틱)

  • Kim, Youngsi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4
    • /
    • pp.25-34
    • /
    • 2013
  • Spatial partitioning trees are needed for processing collision detections efficiently. In order to select split planes for spatial partitioning trees, the tree balance and the number of polygons overlapped with the split plane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heuristic algorithm controlling weight values of tree build criteria is proposed for spatial partitioning trees of 3D games. As the weight values are changed, tree build time, T-junction elimination time which can cause visual artifacts in splitting polygons overlapped with the split plane, rendering speed (frame per second: FPS) according to tree balance are analysed under 3D game simulations.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Data in Not Covered Area by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시나리오 데이터 누락지역의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최적 공간보간기법 선정)

  • Jang, Dong Woo;Park, Hyo Seon;Choi, Jin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14
    • /
    • 2015
  • 공간보간기법은 미계측지역의 강수예측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RCP 8.5 시나리오에 의한 남한상세 강수자료 중 지형이 복잡한 도서지역에서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 누락격자에 대하여 최적의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여 강수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합한 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데이터 누락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최신 행정구역도에 맞추어 $1km{\times}1km$ 격자를 한반도 전체지역에 맞추어 생성된 격자를 사용하였다. ESRI사의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보간법은 역거리가중치법(IDW), 정규크리깅(Ordinary Kriging), 보편크리깅(Universal Kriging), 스플라인(Spline)이며 가장 적합한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데이터 중 해안선 주변 특정격자에서의 값을 누락시켜 공간보간기법을 통해 생성된 값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값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공간보간기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MAE(Mean Absolute Error), MSE(Mean Squared Error), PBIAS(Percent of BIAS), G(goodness of prediction)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점도 분석을 통해 실제값과 보간값의 오차율 평가를 병행하여 최적 공간보간기법을 결정하였다. 사용된 강수데이터는 RCP 8.5 시나리오에서 2015~2019년 중 강수가 높게 나타난 8월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안선 지역의 강수량 추정시 역거리 가중치법과 크리깅방법은 일부 지점에서 과다 추정되는 경향이 있고, 스플라인 방법이 전체적인 총 강수량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실제값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값과 보간값의 교차검증을 수행한 결과 정규크리깅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실제값과 유사한 범위내의 강수량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ng Rebuilding Priority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Spatial Weighting: A Case Study on Shinchun-Dong of Daegu Metropolitan City (공간 가중치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지역 우선순위평가: 대구광역시 신천동을 사례로)

  • Son, Seung-Hooi;Park, Ki-Heon;Um, Jung-Sup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6
    • /
    • pp.961-980
    • /
    • 2008
  • It is usual to prioritize the blocks to rearrange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responsible officer's intuition or a few specialist's experienced knowledg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rebuilding priority in the context of spatially weighted framework integrating resident's view. The spatial weighting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evaluation of dwelling environment was derived from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s view.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has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or the spatial weighting. The spatial weighting has frequently influenced in changing the rebuilding priority and was identified as the important predictor for the improvement sites of dwelling environment. The spatially weight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rebuilding priority area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thematic variabl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The spatially weighting derived by integrating various formats of spatial data into a comprehensive GIS database in particular, was ideally suited to displaying the objective distribution patterns for rebuilding prio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dealing with public complaints for rebuilding priority since it could provide objective evidenc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weighting.

A Pre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Prediction Accuracy in Collaborative Filtering (협력적 여과 시스템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전처리 방법)

  • 김교창;전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98-70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여과방식에서 고객의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해 상품의 선호도 값에 가중치를 반영하는 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고객별 상품의 선호도 값에 정보검색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벡터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며, 이를 통하여 특정 상품을 선호하는 고객과 전체 상품을 고루 선호하는 고객간의 차별화 값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선호도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기존의 협력적 여과 방식과의 실험을 통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이 제안하는 전처리 과정의 타당성과 비교우위를 검증한다.

  • PDF

Landslide Danger Mapping us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매핑)

  • Jo, Myung-Hee;Jo, Yun-Won;Kim, S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53-356
    • /
    • 2008
  • 최근 대규모 산림재해로 인한 산림환경 훼손 및 산림 농가의 피해는 물론 산림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매우 민감한 환경문제로서 국민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진군 전체를 대상으로 GIS 및 RS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사태 관련 인자들을 추출 하여 이를 기반으로 GIS 중첩 및 가중치 분석을 통하여 울진군의 산사태 발생 가능 위험지역의 분포도를 작성하고자 한다.

  • PDF

Modelling of Efficient Color Image Descriptor for Multi-resolution Database (다중-해상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칼라 영상 기술자의 모델링)

  • Lee, Yong-Hwan;Ahn, Hyochang;Cho, Hanjin;Lee, Jun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5-38
    • /
    • 2013
  • 최근, 대용량 영상 데이터베이스가 축적되면서 영상 인식과 영상 검색 분야가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디바이스에 따라 생성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새로운 칼라 기술자를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공간 칼라 정보에 대한 웨이블릿 변환과 채널 및 변환 서브밴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칼라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검색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유사한 특징 벡터 크기를 기준으로, 기존의 MPEG-7 등의 칼라 검색 기술자보다 다중-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향상된 검색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은 단일 특성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검색 기술자로써, 다중 특징으로 결합하기 위한 기본 기술자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Face and Emotion Recognition Using Eigenface (Eigenface를 이용한 인간의 얼굴인식과 감정인식)

  • 이상윤;오재흥;장근호;주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21-32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하에서 인간의 식별과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감정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CCD 칼라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원 영상으로부터 피부색을 이용해 얼굴영상을 얻는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주요 요소분석을 기본으로 하는 얼굴인식기술인 Eigenface를 사용하여 이미지들을 고차원의 픽셀공간으로부터 저차원공간으로의 변환하는 파정을 거친다. 제안된 개인에 대한 식별과 감성인식은 사용한 특징벡터들의 추출로 인한 Eigenface의 가중치와 상관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영상의 가중치로부터 개인에 대한 식별과 감성정보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응용가능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