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점유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는 보행자 시설 중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해 공학적으로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시설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한 외국의 조사방법과 분석방법을 참조, 비교하여 서비스 수준 결정기준을 정하고 용량 값을 산출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적정한 설계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계단의 경우 효과척도로 보행 교통량을 그리고 대기공간에 있어서는 1인당 점유면적을 사용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계단에서의 보행량은 보행자가 군을 형성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최대 보행량에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하여 보행자 군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였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1인당 점유면적을 한국인의 평균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계단과 대기공간에 있어서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외국의 경우와 다른 값을 나타내는데, 계단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계단 폭에 따라 최대 보행 교통량의 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한사람이 점유 할 수 있는 용량상태에서의 공간이 0.2$m^2$/인으로 외국의 경우보다 적게 나타난다.

An Improved LOS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Walkways Using Pedestrian Space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선 연구)

  • JUN, Sung Uk;SON, Yonug 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2
    • /
    • pp.168-179
    • /
    • 2016
  • This study describes an improved model for estimating pedestrian LOS (Level of Service) by utilizing the space occupied by pedestrians. The method introduced the concept of conflict along the bi-directional pedestrian flow which enables calculating conflict area and average travel time in walking. Especially, the method incorporates the idea of generalized density concept which can consider effective walking area and pedestrian flow rates that might vary during the analysis period. After establishing methodology, adjustments of pedestrian LOS criteria in term of walking space occupied by pedestrians were performed. As a result, walking-occupied space at capacity level is 0.68 and corresponding pedestrian flow rate was calculated as 80 persons/min/m, while different pedestrian-occupied spaces were ordered to classify LOS at the points where the gradient changes. Furthermore,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of service levels has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LOS categories at 5% significance level.

A Technique for Building Occupancy Maps Using Stereo Depth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 (스테레오 깊이 정보를 이용한 점유맵 구축 기법과 응용)

  • Kim, Nak-Hyun;Oh, Se-J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5 no.3
    • /
    • pp.1-10
    • /
    • 2008
  • An occupancy map is a representation methodology describing the region occupied by objects in 3D space, which can be utilized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object recogni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a technique for building an occupancy map using depth data extracted from stereo images. In addition, some techniques are proposed for utilizing the occupancy map for the segmentation of object regions. After the geometric information on the ground plane is extracted from a disparity image, the occupancy map is constructed by projecting each matched point to the ground plane-based 3D space. We explain techniques for extracting moving object regions using the occupancy map and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using real stereo images.

금강하류의 포구 취락 -입포를 중심으로-

  • 방갑주;박종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8-151
    • /
    • 2003
  • 인간은 일찍이 지표상에서 하천, 동굴, 구릉 및 산록 등에 다양한 거주 공간을 형성하여 왔다. 물론 이러한 공간의 점유는 단순한 의미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식량 구득을 위하여 경지가 필요하였고, 그렇지 못한 장소는 잉여 물자의 물물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장소를 점유하게 되었다. 하천이나 바다에 의해 분리된 지역 간의 교류는 배라는 교통수단이 필수적이다. (중략)

  • PDF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Service for the Pedestrian Queuing Area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 Jungeun Yoon;Kyeongjin Lee;Hyoungsuk Jin;Heecheon You;Ilsoo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1
    • /
    • pp.1-12
    • /
    • 2024
  • Pedestrian facilities encompass pedestrian roads, stairs, and queuing areas exclusively designed for pedestrian use.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provides guidelines for analyzing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analysis methods tailored specifically for pedestrian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 new standard of pedestrian space to account for changes in the Korean body ellipse. Furthermore, based on this newly defined pedestrian space, we proposed a new standard value for the level of service of queuing areas. The results of on-site survey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level of service can effectively reflect the actual walking situation.

Detection of Unauthorized Facilities Occupying on the National and Public Land Using Spatial Data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한 국·공유지 무단점유 시설물 탐색)

  • Lee, Jae Bin;Kim, Seong Yong;Jang, Han Me;Huh,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2
    • /
    • pp.67-74
    • /
    • 2018
  • This study has proposed a methodology to detect suspicious facilities that occupy national and public land by using the cadastral and digital maps. First, we constructed a spatial database of national & public land based on the cadastral maps by linking its management ledger. Using the PNU (Parcel Number) code as a key field, the data managed by different institution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spatial information DB (database) and then, the use or nonuse state of each parcel is confirmed on the cadastral map. Next, we explored the suspicious facilities that existed in the unused parcel by utilizing the digital topographical map. Then,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applied for various regions and tested its feasibility.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digital maps and to manage the national and public land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Free-Volume Theory for Diffusion (자유 부피 확산 이론)

  • 홍성욱
    • Membrane Journal
    • /
    • v.8 no.1
    • /
    • pp.1-10
    • /
    • 1998
  • 액체 상태에서 물질이 확산되는 현상을 자유 부피의 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9년에 Cohen과 Turnbull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액체의 부피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분자가 차지하고 있는 점유 부피(Occupied volume)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부피(Free-volume)로서 무작정한 열적 유동에 의해서 재분배된다. 온도의 변화에 의해 부피가 변하는 것은 이 자유 부피의 변화때문이며, 점유 부피는 온도에는 무관함 것으로 갖주하였다. 분자가 액체 상태에서 이동하려면 이웃에 충분한 크기의 자유 부피 공간이 존재해야한다. 따라서, 분자의 확산은 분자가 이들 자유 부피 공간들로 도약하는 것이다. Cohen-Turnbull의 이론에서는 순수한 액체의 자기 확산 계수(Self-diffusion conefficient)는 자유 부피의 무작정한 유동에 의하여 임계 크기의 공간이 생성되는 확률과 관련이 있다. Cohen-Turnbull 자유 부피 이론은 그 후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수정되었고, 그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Fujita의 이론과 Vrentas-Duda의 이론이다. 두 이론 모두 확산 데이터를 correlation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Vrentas-Duda의 이론만이 확산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고분자와 용매의 도약 단위의 몰 질량이 같을때에 Vrentas-Duda의 이론은 Fujita의 이론과 같아지므로, Fujita의 이론은 Vrentas-Duda의 이론의 특수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rentas-Duda 자유 부피 이론만을 다루기로 하겠다.

  • PDF

Wider Depth Dynamic Range Using Occupancy Map Correction for Immersive Video Coding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점유맵 보정을 사용한 깊이의 동적 범위 확장)

  • Lim, Sung-Gyun;Hwang, Hyeon-Jong;Oh, Kwan-Jung;Jeong, Jun Young;Lee, Gwangsoo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13-1215
    • /
    • 2022
  •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은 제한된 3D 공간의 다양한 위치의 뷰(view)들을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사용자에게 임의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6 자유도(6DoF)의 몰입감을 제공한다. MIV 의 참조 소프트웨어인 TMIV(Test Model for Immersive Video)에서는 복수의 뷰 간 중복되는 영역을 제거하여 전송할 화소수를 줄이기 때문에 복호화기에서 렌더링(rendering)을 위해서 각 화소의 점유(occupancy) 정보도 전송되어야 한다. TMIV 는 점유맵을 깊이(depth) 아틀라스(atlas)에 포함하여 압축 전송하고, 부호화 오류로 인한 점유 정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깊이값 표현을 위한 동적 범위의 일부를 보호대역(guard band)으로 할당한다. 이 보호대역을 줄여서 더 넓은 깊이값의 동적 범위를 사용하면 렌더링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TMIV 의 점유 정보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이를 보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깊이 동적 범위 확장에 따른 부호화 성능을 분석한다. 제안기법은 기존의 TMIV 와 비교하여 평균 1.3%의 BD-rate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