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Volume Theory for Diffusion

자유 부피 확산 이론

  • 홍성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하이브리드연구센터)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액체 상태에서 물질이 확산되는 현상을 자유 부피의 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9년에 Cohen과 Turnbull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액체의 부피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분자가 차지하고 있는 점유 부피(Occupied volume)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부피(Free-volume)로서 무작정한 열적 유동에 의해서 재분배된다. 온도의 변화에 의해 부피가 변하는 것은 이 자유 부피의 변화때문이며, 점유 부피는 온도에는 무관함 것으로 갖주하였다. 분자가 액체 상태에서 이동하려면 이웃에 충분한 크기의 자유 부피 공간이 존재해야한다. 따라서, 분자의 확산은 분자가 이들 자유 부피 공간들로 도약하는 것이다. Cohen-Turnbull의 이론에서는 순수한 액체의 자기 확산 계수(Self-diffusion conefficient)는 자유 부피의 무작정한 유동에 의하여 임계 크기의 공간이 생성되는 확률과 관련이 있다. Cohen-Turnbull 자유 부피 이론은 그 후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수정되었고, 그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Fujita의 이론과 Vrentas-Duda의 이론이다. 두 이론 모두 확산 데이터를 correlation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Vrentas-Duda의 이론만이 확산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고분자와 용매의 도약 단위의 몰 질량이 같을때에 Vrentas-Duda의 이론은 Fujita의 이론과 같아지므로, Fujita의 이론은 Vrentas-Duda의 이론의 특수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rentas-Duda 자유 부피 이론만을 다루기로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J. Chem. Phys. v.31 M. H. Cohen;D. Turnbull
  2. Fortschr. Hochpolym. Forsch. v.3 H. Fujita
  3. J. Chem. Phys. v.42 P. B. Macedo;T. A. Litovitz
  4. J. Chem. Phys. v.44 H. S. Chung
  5. Macromoecules v.4 H. L. Frisch;D. Klempner;T. K. Kewi
  6. J. Polym. Sci.: Polym. Phys. Ed. v.15 J. S. Vrentas;J. L. Duda
  7. J. Polym. Sci.: Polym. Phys. Ed. v.14 J. S. Vrentas;J. L. Duda
  8. J. Polym. Sci.: Polym. Phys. Ed. v.21 C. W. Paul
  9. CRC Crit. Rev. Solid. State Mater. Sci. v.11 H. L. Frisch;S. A. Stern
  10. J. Rheol. v.30 M. Litt
  11. Physical Properties of Polumers F. Bueche
  12. J. Phys. Chem. v.65 R. J. Bearman
  13. J. Chem. Phys. v.10 P. J. Flory
  14. Macromolecules v.26 J. S. Vrentas;C. M. Vrentas
  15. J. Macromol. Sci. Rev. Maromol. Chem. v.C4 R. N. Haward
  16. J. Chem. Soc. S. Sugden
  17. Rauchemie der Festen Stoff W. Biltz
  18. J. Am. Chem. Soc. v.77 M. L. Williams;R. F. Landel;J. D. Ferry
  19. AIChE J. v.28 J. L. Duda;J. S. Vrentas;S. T. Ju;H. T. Liu
  20. Viscoelastic Properties of Polymers(3rd. Ed.) J. D. Ferry
  21. Ind. Eng. Chem. Res. v.34 S. U. Hong
  22. J. Appl. Polym. Sci. v.26 S. T. Ju;H. T. Liu;J. L. Duda;J. S. Vrentas
  23. Rubber Chem. Technol. v.39 C. J. Sheehan;A. L. Bisio
  24. Rubber Chem. Technol. v.50 R. A. Orwoll
  25. Z. Physik v.22 H. Vogel
  26. J. Appl. Phys. v.22 A. K. Doolittle
  27. Ind. Eng. Chem. Res. v.36 S. U. Hong
  28. Ind. Eng. Chem. Res v.31 J. M. Zielinski;A. J. Benesi;J. L. Duda
  29. Polym. Int. v.39 S. U. Hong;A. J. Benesi;J. L. Duda
  30. AIChE J. v.18 F. A. L. Dulien
  31. Ind. Eng. Chem. Prod. Res. Dev. v.20 S. T. Ju;J. L. Duda;J. S. Vrentas
  32. AIChE J. v.38 J. M. Zielinski;J. L. Duda
  33. J. Appl. Polym. Sci. v.61 S. U. Hong
  34. Ph.D. Thesi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S. T. Ju
  35. Macromolecules v.22 S. Pickup;F. D. Blum
  36. Ber. Bunser-Ges. Phys. Chem. v.83 R. Kosfeld;L. Zumkley
  37. Macromolecules v.20 J. S. Vrentas;C. M. Vrentas
  38. J. Polym. Sci.: Polym. Phys. Ed. v.30 J. S. Vrentas;C. M. Vrentas
  39. J. Polym. Sci.: Polym. Phys. Ed. v.22 J. S. Vrentas;J. L. Duda;H. C. Ling
  40. J. Appl. Polym. Sci. v.30 J. S. Vrentas;J. L. Duda;H. C. 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