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배치

검색결과 1,202건 처리시간 0.03초

격자 기반의 디지털 사진 시각화와 계층적인 클러스터링 방법 (A Grid-based Digital Photo Visualization and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 류동성;정우근;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5호
    • /
    • pp.616-620
    • /
    • 2010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수의 디지털 사진을 관리하기 위해서, 이벤트 혹은 날짜에 따라 각 사진들을 폴더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관리해야할 사진의 개수가 수백에서 수천 장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진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촬영 시각과 사진의 색상 차이를 이용하여, 유사한 사진들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는 2D 격자 공간 기반의 사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2차원 격자 공간에 배치된 각 사진들을 계층적으로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세부 단계별 분류 기능을 지원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배치된 사진들에 대한 시간 일관성과 사용 공간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승용 자동차 임대업 사업소의 지역적 체계 (Regional Office System of Car Rental Industries)

  • 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3-386
    • /
    • 2005
  • 승용 자동차 임대업의 본사와 영업소의 배치를 통하여 사무소의 지역적 체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승용 자동차 임대업의 공간적 특성은 서비스 생산자가 국지적 시장을 벗어나기 위하여 주식회사, 합자회사 등을 설립하여 기업조직의 재구조화를 도모함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본사가 있는 지역 내 및 지역 외 특정지역에 영업소를 배치시켜 광범위한 공간적 분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분업은 최근 여가활동의 증가 등으로 수요증대에 따른 사무소간의 승용 자동차의 단기간 제공 등에 의한 네트워크의 형성이 규모의 경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물배치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ies Arrangement of Container Terminal)

  • 김우선;정승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3-143
    • /
    • 2004
  •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시설물배치의 중요한 목표는 단위물류영역별로 각각이 서로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인 이동시간의 최소화와 역주행방지, 기존공간의 최적활용, 작업자의 편익과 컨테이너 취급비용의 최소화로 컨테이너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컨테이너터미널시설물의 합리적인 배치가 기본이 돼야 한다. 따라서, 합리적인 배치를 위해서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종사자 및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현장에서의 경험적인 지식을 이용한 접근방법과 물류흐름의 동선 및 체계의 계량적분석이 가능한 수학적인 체계적 분석방법을 결부 시켜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물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인 지식과 수학적인 분석 방법이 결합된 시설물배치의 체계적접근방법을 이용한 연구흐름도를 작성하고, 분석절차에 따른 시설물배치과정을 수행했다.

  • PDF

초등학교 배치특성을 고려한 사이공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세종시 신설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of In-Between Space Considering the Sit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Focused on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6
    • /
    • 2018
  •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배치계획에 따른 사이공간 현황과 계획방향에 관한 사례연구로 24개 학교의 사이공간 유형을 분류하고 5개 학교를 대상으로 구성현황과 이용빈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사이공간 내부의 구성이 학습기능보다 놀이, 휴식의 기능에 이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다양한 놀이기구 및 휴게공간의 계획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이공간에 계획된 필로티 공간은 높은 이용빈도를 보이는 반면 그에 접해 있는 사이공간의 이용빈도가 낮아 필로티 공간에서의 활동을 사이공간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획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공간을 통과동선으로 이용하는 경우(E2, E3)는 놀이, 휴게공간과 영역을 구분하여 사이공간의 기능적 독립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넷째, 사이공간의 과도한 조경면적이 이용빈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활동영역을 충분히 확보한 후에 조경영역을 계획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이공간으로의 다양한 진입동선을 확보해야하는 것으로 주진입로에서 단절된 배치의 경우 사이공간을 둘러싼 교사동 각 부분에서 부출입구를 계획해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이용빈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프로그램에 따른 공간배치의 유효성 평가 위한 BIM기반 병원건축 전문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노인전문병원 설계경기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xpert System for Validation of Spatial Layout in Terms of Space Program in Healthcare Architecture based on BIM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Design Competition for Seoul Geriatric Hospital -)

  • 박영섭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14
    • /
    • 2010
  • The planning and design of healthcare architecture generally requires the participation and consultation of skilled experts since it has more complex space program than any other buildings. Therefore, the computer-based expert systems for the planning of healthcare architecture have been tried continuously. The recent development of BIM technologies and object-oriented CAAD systems is leading these attempts to realize gradually. Thus,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the new evaluation model and system of the spatial layout, which are based on the validation of space program that developed in earlier studies, are applicable to real examples of design competition. Through this simula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expert systems for the planning of healthcare architecture and ac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system for the integrated design environment based on BIM technologies in the near future.

수퍼요트의 공간배치와 실내공간구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Arrangement and Interior Space Division of Superyachts)

  • 이한석;변량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24-231
    • /
    • 2007
  • Superyachts are passenger vessels whose hull exceeds 24m. They are a kind of luxurious leisure ships. Interior designers can contribute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of superyacht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pace elements and their organization of superyachts for putting the base of superyachts interior design.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interior space division by structural elements such as the watertight bulkheads and decks. In this study we analyze general arrangements, floor plans of decks, of 31 superyachts and extract space elements and their disposition in three dimension. On the basis of the space arrangement we classify the types of space organization of superyachts. And then we inquire the interior space division of superyacht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ship. The watertight compartments made by the bulkheads and decks have a great effect on interior space design in super yac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At first, the small-size superyacht has 3 decks and the midium or large-size superyachts has 4decks. Second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decks the superyachts has several typical patterns of space organization. Thirdly, in general there are 5-6 watertight compartments on a deck depending on the superyachts scale. Finally, there are distinct separation between the passenger's movement and the crew's movement on the ship.

3차원 지형공간정보 기반 지붕형 태양광 어레이 배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ing of Roof-Top Photovoltaic Arrays Arrangement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 김세종;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51-159
    • /
    • 2011
  •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건축물 인증제도, 공공건축물 신 재생에너지 투자의무비율 확대 등 다양한 건축물 신 재생에너지 설비투자 지원정책으로 건축물 지붕을 활용한 태양광 사업 추진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 지붕을 활용한 태양광 설비는 인접 건축물 또는 자체 구조물이나 시설에 의한 정밀한 음영분석이 필요함에도, 설계자의 경험이나 단순 그래픽툴에 의해 배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소요되는 에너지 일부를 지붕형 태양광 설비에 의한 생산전력으로 대체하고자 할 때, 특정 선정기준에 따른 태양광 어레이의 최적 배치안을 선정하는 프로세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비닐하우스의 형태와 배치에 따른 지붕면 피크외압계수 특성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eak External Pressure Coefficient Working on Roof Surface according to the Shape and Layout of Green Houses)

  • 유기표;백선영;김영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9-66
    • /
    • 2010
  • 국내 전체 시설원예에서 파이프 골조로 시공된 비닐하우스가 99.2%이며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동형 유리온실이 대부분이다. 이에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동형 연통형 단동형 3개로 구성된 배치형 비닐하우스의 지붕면에 대한 피크외압계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단동형이 연동형보다 30%정도 큰 피크외압계수로 분포하고 있었다. 배치형 비닐하우스의 지붕면 피크외압계수도 3개동 모두에서 단동형보다 크게 20-30%정도 크게 분포하고 있었다.

  • PDF

해양플랜트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Barge of Offshore Plant)

  • 이한석;강영훈;도근영;허동윤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47-756
    • /
    • 2010
  • 본 논문은 해양플랜트 전용거주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은 Accommodation Work Barge, Accommodation Pipe Lay Barge, Multi-purpose Accommodation Barge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commodation Work Barge를 대상으로 실적선 GA도면 분석을 통해 거주구 공간구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거주구 공간구성은 거주자의 생활 편리함과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은 수평적 공간배치 보다는 수직방향에 따른 층별 공간배치에 있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은 '거주공간', '서비스공간', '업무공간'이 층별로 집중되어 나타나는 '집중형'과 각 공간이 층별로 분산되어 나타나는 '분산형'으로 구분된다.

현대 아파트 평면도와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배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Modern Apartment Floor Plan and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Floor Pla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1-278
    • /
    • 2019
  • 본 연구는 현대의 대표적인 주거양식인 아파트 공간과 우리 전통미를 살린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 배치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각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파트 공간은 생활의 편리함과 용도의 명확한 구분 때문인지 공간이 세분화된 반면에 전통한옥 평면은 각 실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아파트보다 각 실의 공간이 세분되지 않았다. 2)한옥평면도에서 대청이 거실로 변화하였을 뿐 두 평면도 모두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거실공간이 통합도가 가장 높았다. 3)한옥공간은 서로 공간이 통하는 통합성 성격이 강하지만 현대화된 한옥표준설계도는 분격성 공간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아파트에서 안방의 통합성이 높았고 한옥평면도에서는 침실과 안방은 분격성이 높았다. 5)한옥평면도에서는 옛날과 달리 툇마루의 기능이 많이 감소한 반면에 사랑방에 부속된 누마루가 분격성 공간으로 분류되었다. 아파트에서는 피난공간이 분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옥표준설계도는 현대의 생활에 적응하면서 변화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