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배색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거실공간의 배색기법에 따른 감성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motion and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Color-combinations applied to Living room)

  • 강선아;조현승;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6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 인테리어에 대한 감성어휘모형을 도출하고, (2)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한 후, (3)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으며,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거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위한 배색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테리어를 기술하는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이들로부터 대표적 감성어휘를 추출, 감성어휘척도를 구성하였다. 감성조사분석을 통해 '따뜻하다-차갑다'(제 1차원), '고급스럽다-소박하다(제 2차원)', '현대적이다-고전적이다'(제3차원)의 세 차원축이 도출되었고, 이렇게 도출된 감성공간 상에 감성어휘들을 대응시키고, 9개의 감성 범주로 구분함으로써 감성어휘모형을 개발하였다. 한편,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하여 배색자극물을 개발하고, 감성어휘모형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색 감성모형에서 도출된 9개의 감성범주와 그에 대응하는 배색을 기반으로 하여 거실용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미지에 따른 배색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Interior Design centered on a Color Coordinate Digital Wall)

  • 김주연;이현수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1-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성에 반응하는 디지털 벽면을 통하여 색채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 단계로는 첫째, 감성 어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한다. 둘째,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 배색의 데이터를 형성한다. 셋째, 자동적으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감성공간을 연구한다.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 PDF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Color Coordination Digital Wall)

  • 김주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4
    • /
    • 2002
  • 디지털 삶에서 인간들은 더 이상 보호막으로써의 건축 환경이 아닌 함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감성반응 환경을 요구한다. 즉, 실내 공간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사람들의 기분을 만족시키기 위해 건물이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쉬지 않고 변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 PDF

웹게임 기반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론 -공간배색과 감성언어를 중심으로- (Methodology of Online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Webgame towards Spacial Color Combination and Affective Word)

  • 강승묵;김해윤;박경수;박영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3-1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게임을 이용한 새로운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웹 게임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배경을 중심으로 공간 디자인 요소와 감성언어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의 한계인 불성실한 응답의 문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조사방법론 제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기존 텍스트 기반의 설문 조사 방법과 온라인 설문조사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그 단점에 해당하는 오류를 개선할 수 있는 웹 게임 기반의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는 주거 전통 상업 환타지 등 4가지 공간과 감성어휘들 간의 상관관계를 가우스분포의 위치 결정값을 기초로 감성어휘 데이터베이스가 구현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 선호도 조사와 같은 모집단 예측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

감성생리 실험을 이용한 실내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Interior Color Design based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 김주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1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감성실내 공간색채에 대한 연구로 심리설문반응과 생리 신호 분석을 통하여 감성색채데이터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생리신호반응 분석 중 뇌파측정과 7점 척도 SD 스케일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상적인 감성어휘와 정량적인 생리신호 결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직관적이며 주관적인 색채 배색디자인과 심리분석의 색채연구결과에 비해 본 연구는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방법 및 주관적인 감성어휘를 연결짓는 것으로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감성에 미리 반응하는 감성 지능형 환경디자인에 중요한 페이지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건강 증진 환경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채 배색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퍼지이론을 이용한 색채계획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lanning System Based on Fuzzy Set Theory)

  • 엄진섭;이준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5-6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퍼지이론을 이용하여 방이나 사무실 등의 색채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로 조화로운 색채공간으로 설계해 가는 의사결정 보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란 색채공간이 주는 여러 가지 감정효과를 의미하고 이는 '낭만적인','우아한' 등의 형용사로 표현되며 조화로운 배색이란 원하는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색채계획이 조화를 이루는 배색을 의미한다. 개발된 색채계획 시스템은 색채공간을 그리기 위한 2차원 그래픽 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입력하는 입력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색을 결정하는 주색 결정부, 주색과 조화를 이루는 조화색 결정부, 추천된 색을 수정하는 미세 색조정부 등의 5가지 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색채계획 시스템은 인테리어 디자인의 색채계획에 있어서 일반사람들이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패션 디자인, 상품 디자인 등의 유사한 색채계획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거으로 기대된다.

  • PDF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와 선호도 -스타일리시의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를 중심으로- (Space Image and Preference of Stylish Hotel -Focusing on Verbal Image and Color Image of 'Stylish'-)

  • 장미정;장영순;이진민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49-58
    • /
    • 2011
  • 본 연구는 스타일리시 호텔에 대한 공간이미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며, 아울러 선행연구인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스타일리시의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에 관해 조사 결과 중 미니멀스타일배색에 대한 검증연구이다. 연구결과 성별 및 연령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와 언어이미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대표 언어를 추출한 결과, 개성적인, 감각적인, 심플한, 도시적인 등으로 인식하여 공간이미지에 대해 스타일리시하게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공간이미지와 선호도에서는 로비공간의 B호텔, 식음공간의 C호텔, 객실공간의 A호텔로 나타났으며, 색채이미지와 선호도에서는 각각 고명도 저채도, 저명도 저채도로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연구의 가장 스타일리시 한 것으로 인식한 미니멀스타일배색과 동일한 결과로 응답자들은 스타일리시 호텔의 공간이미지에 대해 언어적으로는 세련되고 감각적이며 개성적인 것으로 인식하면서 시각적으로는 고명도 저채도, 저명도 저채도의 공간을 스타일리시 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향후 스타일리시한 공간 연출 및 디자인 마케팅을 위해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상업공간 플라워 디스플레이의 계절별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Color Image of Flower Display in Commercial Spaces)

  • 양희선;왕경희;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3호
    • /
    • pp.3-17
    • /
    • 2020
  • 국내외 대표적 상업공간인 백화점과 호텔, 판매장의 플라워 소재를 사용한 계절별 디스플레이 사례의 색채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플라워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출시 계절, 형태, 질감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에 적합한 배색과 감성형용사를 적용한 색채계획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배색을 적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수집한 48개의 국내외 상업공간 플라워 디스플레이 사례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1차 전문가 설문을 통해 사례에서 연상되는 형용사 추출 및 계절감 좌표를 수집한 뒤 2차 일반인 설문으로 추출한 감성형용사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대표적인 색상, 톤을 추출하였고 계절별 감성형용사 언어도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워 소재의 형태나 질감에만 의존하여 진행되던 플라워 디스플레이에서 색채계획이 선(先) 진행되어야 목적한 감성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재택근무 공간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Harmony Scheme of the Home Office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 정현원;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62-1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color of home office and the trendy color with special comparison of office and library colors, and to suggest the harmony of color combination of home office based on the emotional color of this analytical data. this study, the Color Syntax Program, digital tool for color analysis of images i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in color of home office images shows three color classifications of YR-Y, Y-GY, R-YR, and with relatively high ratios of YR-Y in the color of home offices, and B-PB, GY-G in offices and libraries. Secondly, from the point of emotional aspect, the trendy color of the home offic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olor image categories: 'natural', 'peaceful', 'mild', and 'noble'. Under those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s 10 color harmony scheme that can be applied to color of home office interior design.

대학생들이 전통공간의 색채로 인식하는 배색팔레트 조사 (A study on color palette as a traditional color by university students)

  • 조재경;이지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03-406
    • /
    • 2008
  • Living in the present, specially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we have to look back our tradition in many aspects. And we try to find out our own identity. Color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decide what is traditional or not. And it‘s a prominent factor for design subject visually. With the color from traditional residence, we will figure out traditional color and it‘s combination which the people prefer today, so we can applicate and develop it in the present design. Using color palette which has extracted from traditional building and space, a survey has done of university students for finding out which they think of traditional color. The result showed that Y-R type and Y-R type in color palette was the most traditional things by th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way of clarifying that university students think what is the traditional color and color palet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