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Interior Design centered on a Color Coordinate Digital Wall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 김주연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현수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daptable digital wall model whose color can be changed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emotional state of a user. This study addresses how to capture a specific user's emotion through the web and use it for modifying VR model mainly for color adaptation. This adaptation process of a VR model consists of three phases: 1) identification of the user's emotional state projected onto the list of emotional keywords 2) translation of those captured emotional keywords into a pertinent set of color coordinations, and finally, 3) automated color adaptation process for the given model. This process derives an on-line viewer's emotional state, which can be utilized to find a new color scheme reflecting the identified emotion.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감성에 반응하는 디지털 벽면을 통하여 색채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연구 단계로는 첫째, 감성 어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한다. 둘째,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 배색의 데이터를 형성한다. 셋째, 자동적으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감성어휘에 따라 색채감성공간을 연구한다.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