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동기화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Change De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and Update of Spatial Information using 4S-Van (4S-Van을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과 갱신을 위한 변화탐지 시스템의 개발)

  • Hwang, Tae-Hyun;Joo, In-Hak;Choi, Kyoung-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7-5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4S-Van에 의하여 수집된 동영상으로부터 공간정보, 특히 도로 표지판을 구축하고 갱신할 수 있는 변화탐지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4S-Van은 차량의 위치/자세정보와 영상을 동기화하여 취득하고 이로부터 공간객체의 위치정보를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4S-Van에서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구축하고 갱신하는 작업은 수동 입력에 의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으로부터 표지판 정보를 구축 및 갱신할 때 수동 입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축한 결과를 제시한다. 4S-Van 데이터로부터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사진측량기술과 영상처리기술을 결합하여 공간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새로 취득된 동영상에서 객체의 변화를 탐지함으로써 해당객체의 정보만을 새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표지판 정보의 효율적 구축과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Visual Editing Tool for SMIL (SMIL 스크립트 생성을 위한 시각적 편집도구)

  • Kim, Young-Hwan;Lim, Myung-Su;Kang, Suck-Chan;Lee, Nam-Ock;Lim,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72-1177
    • /
    • 2000
  • 본 논문은 SMIL의 작성 시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편집 도구를 제안한다. SMIL은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SMIL은 텍스트 편집기를 통하여 작성되는데 이는 작성에 있어 직관적인 면이 없어 많은 불편함을 갖는다. 따라서 시각적 편집 도구가 필요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SMIL의 작성을 프리젠테이션과 하이퍼 프리젠테이션의 두 측면에서 설계하였으며 시각적 편집 도구 구현에는 멀티미디어 아이콘 프로그램 도구인 VIP를 확장하여 완성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VIP를 확장함으로써 SMIL 번역이라는 기본 목적 외에 부가적으로 MuX의 공간적 동기화에 관련된 기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 PDF

A Method to Manage Local Storage Capacity Using Data Locality Mechanism (데이터 지역성 메커니즘을 이용한 지역 스토리지 용량 관리 방법)

  • Kim, Baul;Ku, Mino;Min, Du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324-327
    • /
    • 2013
  • Recently, due to evolving cloud computing technology, we can easily and transparently utilize both local computing resource and remote computing resource in real life. Especially, enhancing smart device technologies and network infrastructures promote an increase of needs to share files between local smart devices and cloud storages. However, since smart devices have a limited storage space, storing files on cloud storage causes a starvation problem of local storage. It means that users can face a storage-lack problem even a cloud storage service provide a huge file storing spac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method to manage files between smart devices and cloud storages. Our approach calculate file usage pattern based on recently used date, and then this approach determines local files being migrated. As a result, our approach is sufficient for handling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big data storage farm and local thin client which contains limited storage space.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Spatial Position Compensation for Virtual Reality and Real Space Synchronization (가상현실과 실공간 동기화를 위한 공간 위치보정 측정 방법론에 대한 연구)

  • Park, Kee-Jin;Lee, Byoung-Hwak;Kim, Nam-Hyuk;Yoon,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7 no.6
    • /
    • pp.136-143
    • /
    • 2018
  •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realize a virtual reality, a method of implementing a visualization environment through an HMD (Head Mounted Display) is widely used. However, in the current visualiz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HMD, the user feels dizziness when worn, It has the disadvantage of imposing restrictions on.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realize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environment through multi-screen environment which improves the experience effect of virtual environment by using existing screen instead of visualization through HMD, and compensates for shortcomings of HMD method. In order to realize a multi-screen environment as a highly visualized environment, a technique for match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multi-screen with the spatial position of the virtual environment is required. To do this, we need an efficient method to precisel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space, and we propose a spatial position compensation methodology that can efficiently and precisel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real space and reflect it in the virtual environment.

Motivation and Meaning of the Elderly Women's Line Dance Experience (여성 노인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 탐색)

  • Kim, Young-Mee;Oh, Jin-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2
    • /
    • pp.471-47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meanings would be brought to the old females' lives, who took part in the line dance as programs for senior's health. 6 the old females were selected. Research materials were gather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by researcher.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elderly's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line dance were found to be solicitation of the surroundings, recovery and maintenance of health, and participation in pursuit of happiness. Second, the elderly's line dance experience was changed the perception of dance. Third, line dance improv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body and appearance. Fourth, the line dance experience provides a space for making new friends. Fifth, the line dance experience improv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immersion through dance. Sixth, the support and praise of the family increased self-esteem and improved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mplementation of Process States Analyzer for Schedulability Analysis of Real-Time Process (실시간 프로세스의 스케줄가능성 분석을 위한 프로세스 상태 분석기 구현)

  • 서상진;서동진;최동한;김춘배;박흥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208-212
    • /
    • 1999
  • 실시간 스케줄가능성 분석에 대한 기존의 방법들은 프로세스의 모든 상태공간을 추적하거나 고정 우선 순위 스케줄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 및 공간에 대한 복잡성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대수의 전이규칙을 이용하여 프로세스의 최소 수행시간, 주기, 마감시간, 동기화 시간을 고려하여 실시간 프로세스가 마감시간을 지키는가를 판단하고, GUI 환경을 기반으로 스케줄이 불가능한 프로세스에 대해 스케줄 가능하게 하는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들의 상태 공간을 화면상에 표시해 주는 실시간 프로세스의 상태 분석기를 구현한다.

  • PDF

Analysis of future technologies based on TSI technology in Hollywood SF movies (헐리우드 SF영화에 나타난 TSI기술 분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 Kim, Joo-Han;Lee, Yun-Mi;Lee, Eunnar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705-712
    • /
    • 2007
  • 최근 뉴미디어 제품 디자인을 위한 텐저블 인터페이스(Tangible Interface)에 대한 연구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미래 미디어에 있어서 텐저블 인터페이스가 매우 중요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재 텐저블 인터페이스의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며 기술에 대한 의미, 컨셉트, 방향 등이 점점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감공간기술(Tangible Space Initiative)이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현실의 사회상과 다양한 미래기술을 반영할 수 있는 SF영화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에 나타난 실감공간기술과 유사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적용된 감각, 전달된 정보의 종류, 세부 기술, 실감공간기술의 세가지 기본 컨셉트(사람과 사물의 상호작용,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 사람과 정보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미디어 이용 동기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유형화 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CAD System (컴퓨터 지원 협동 CAD시스템에 관한 연구)

  • Yoon, Bo-Yul;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5-238
    • /
    • 2000
  •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유된 가상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컴퓨터 지원 협동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래픽 분야와 CAD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협동 CAD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웹 상에서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협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VRML과 Java3D API를 이용하여 쉽게 도형을 생성하고 편집하여 전송하거나 출력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채팅을 통해 인터액티브 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클라이언트는 자바 애플릿을 통해 웹 상에서 접근하고 서버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을 통제하는 접속관리자, 작업 그룹의 동기화를 유지하며 공유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관리자, 그리고 3차원 도형 객체를 생성해 내는 솔리드 모델러로 이루어져 있다.

  • PDF

Multi-view Video Codec for 3DTV (3DTV를 위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 기법)

  • Bae, Jin-Woo;Song, Hyuk;Kim, Jeong-Su;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1-2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DTV를 위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기는 다수의 카메라 입력에 대하여 기존의 MPEG 기반의 부호화 기법에서 사용된 시 ${\cdot}$ 공간적 중복성 제거와 각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간의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여 부호화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각 시점 영상간의 공간적 중복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전역 시차보상(global disparity compensation)된 집적영상(Accumulated Image)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TV 전송 표준인 MPEG-2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TV 표준을 크게 수정하지 않고 3DTV를 구현 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MPEG-2 기법으로 각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을 각각 부호화한(simulcast 기법) 결과와 비교하여 객관적 화질면에서 우수하였으며, 각 시점간의 동기화 문제도 해결 할 수 있었다.

  • PDF

Virtual space in XR (Extended Reality) of K-pop content: Focusing on lighting systems using Art-Net (XR(확장현실) K-pop 콘텐츠에서의 가상공간 : Artnet을 활용한 조명 시스템 중심으로)

  • So, Jae-Woo;Kwon, KiSeok;Park, Seonggyu;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32-133
    • /
    • 2021
  • XR(가상 및 확장현실)에서의 리얼타임 그래픽은 조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인물이 공간감이 느껴지지 않거나 스킨톤이 맞지 않아 이질감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Art-Net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제 조명과 가상조명에서의 배경 및 인물의 컬러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Art-Net 시스템을 통해 인물의 공간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는 이의 몰입감을 높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