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프장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3초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초기유출수 특성 (First-flush Runoff Characteristics of NPS from golf course)

  • 신민환;최재완;최용훈;서지연;이재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29-11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와 정책제안의 원활하고 합리적인 추진을 위해 토지피복분류체계의 대분류중 초지에 해당하고 중분류 중 골프장에 해당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총 27번의 강우사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에 대하여 유량과 수질농도를 측정하였다. 유량측정은 웨어를 통한 수위를 측정하여 유량으로 환산하였고, 수질항목은 $BOD_5$, $COD_{Mn}$, DOC, SS, T-N, T-P, $NH_3$-N, $NO_3$-N, $PO_4$-P 등 9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초기세척효과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누적오염부하량/누적유출량 그래프를 도식화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발생한 5~82 mm의 강우로 인해 6.6~2,082 $m^3$의 유출이 발생하였다. 발생된 유출수의 농도는 $BOD_5$ 1.8~11.3 mg/L, $COD_{Mn}$ 19.2~51.4 mg/L, DOC 11.0~31.0 mg/L, SS 2.2~57.3 mg/L, T-N 1.545~16.098, T-P 0.230~4.528 mg/L, $NH_3$-N 0.076~5.285 mg/L, $NO_3$-N 0.122~2.905 mg/L, $PO_4$-P 0.005~2.631 mg/L로 나타났다. 초기유출수의 세척효과는 27번의 강우사상동안 SS 항목의 경우 17번, $NO_3$-N 11번, $NH_3$-N 4번 등이 발생하였다. 초기세척효과가 발생한 강우사상은 초기의 오염원 농도가 중 후반 농도보다 농도가 높음을 의미하므로,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는 초기에 발생하는 오염원에 초점을 두고 처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S와 질소계열의 농도가 높은 것은 골프장의 잔디관리를 위한 농약이나 제초제 등의 사용과 토양유실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사용방안과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골프장의 지렁이 샘플링과 종류 조사 (Sampling of Earthworm Using Tea Tree (Camellia sinensis) Extract and Occurrence of Earthworm in Turfgrass of Golf Courses)

  • 하종원;홍용;이상명;추호렬;김진호;이동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1-198
    • /
    • 2010
  • 골프장 잔디에서 효과적으로 지렁이를 추출하는 방법과 골프장의 잔디에 서식하는 지렁이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차나무추출물이 mustard oil이나 formalin에 비하여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의 추출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차나무추출물 1000배 처리가 (4 L/m2)가 500배와 2000배 처리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다. 토양 내 서식 깊이가 얕을수록 추출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차나무추출물 처리 후 추가적인 관수는 추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우리나라 10개 골프장에는 4속 8종의 지렁이가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 변이성지렁이(Amynthas heteropodus)가 6개 골프장에서 147개체가 채집되어 우점종이었으며 염주위지렁이(Drawida japonica)가 3개 골프장에서 13개체가 채집되었고, 외무늬지렁이(A. hilgendorfi)와 똥지렁이(A. hupeiensis)가 2개 골프장에서 채집되었다. 차나무추출물로는 똥지렁이가 탈출되지 않았다.

경사도 분석에 적용하는 단위격자크기가 골프장의 입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환경적 측면에서)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Location Evaluation of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Unit Grid Size applied in the Slope Analysis(In flank of Environment))

  • 엄대용;이병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67-4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건설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 검토과정에서 입지 및 환경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는 지형의 경사도 분석에 적용되는 단위 격자크기에 따라 상이한 입지평가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성 사전 협의를 통과하여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협의가 진행 중인 12개 골프장을 대상으로 단위격자 크기의 변화에 따른 경사도 비율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지형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단위 격자크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 골프장 사업지에 대하여 도출된 단위 격자크기를 적용하여 환경성 평가의 협의 가능 여부를 재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경사도의 분석을 위해 설정한 단위 격자크기가 커질수록 경사도가 높은 구역의 경사도 비율이 저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설정 중 $5m{\times}5m$의 격자크기를 적용하였을 경우가 실제 지형에 가장 근접하는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므로 이를 환경부에 건의하여 경사도 분석을 위한 단위 격자크기의 기준을 $5m{\times}5m$로 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단위격자 크기를 적용하여 연구대상 골프장에 대한 경사도 비율을 재분석할 경우, 4개소의 골프장이 관련 규정의 협의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환경적 측면에서 골프장 입지로서 부적절한 입지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IPA기법을 이용한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의 골프장 선택속성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olf Course Selection Attributes,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Chinese Golfer by IPA)

  • 임상;조상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10-723
    • /
    • 2023
  • 본 연구는 IPA 기법을 이용하여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의 골프장 선택속성 요인에 대한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처리 및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직원 예절, 만족도는 식당 및 식음료 가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지속유지에는 8개, 집중개선은 14개, 낮은 우선순위는 5개, 과잉노력지양은 3개의 선택속성이 분포하였다. 셋째 비용, 접근성, 코스시설, 부대시설, 캐디 전문성, 이용객 관리의 만족도가 재방문과 추천 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인 골프장 이용객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골프문화가 다른 국가에서 연구된 선행연구와는 그 결과를 비교하는데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문화의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골프장 조경수를 가해하는 해충 종류에 관한 연구 (Study on Insect Pests of Landscaping Trees in Golf Courses)

  • 김종주;이동운;추호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7
    • /
    • 2007
  • 본 연구는 골프장의 조경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의 종류와 피해를 조사하여 골프장 조경수 해충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양산의 통도골프장과 진해의 용원골프장, 경북 경산의 대구골프장, 부산 금정의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 수행하였다. 조사지 골프장의 22목 33과 54속 88종의 조경수에서 확인 된 해충은 6목 34과 44속 60종이었다. 대부분의 조경수에서는 2종 이하의 해충이 확인되었으나 아까시나무, 벚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해충들은 2종 이하의 조경수를 가해하였으나 주둥무늬차색풍뎅이는 41속 67종의 조경수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조사 골프장의 조경수에서는 딱정벌레목과 매미목 해충이 36.4%와 36.3%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발생 빈도가 높은 해충은 9%였고 매우 드물게 발생한 해충은 73%였다. 섭식형태별 해충의 비율은 저작형이 49%, 흡즙형 해충이 51%였다.

골프장 공사의 실적공사비에 의한 개산견적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Factor Model Based on Actual Work Cost for Golf Courses)

  • 박종혁;박홍태;전용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20-627
    • /
    • 2010
  • 본 연구는 공사조건이 유사한 특정지역의 골프장 건설공사에 대해 실적공사자료를 공사규모와 시간을 고려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식을 토대로 초기계획단계에서 골프장건설 공사비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즉, 골프장 건설공사를 하는데 실제 투입된 실적공사자료들을 비교.분석하고 건설공사비지수를 고려하여 골프장 건설공사의 초기계획단계에서 건설공사비를 추정할 수 있는 공사비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8개의 골프장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으로 골프장 공사비예측을 위한 비용-규모 지수 n을 구한 결과, 총공사비 0.72, 순공사비 0.67로 도출되었다.

골프장내 수계의 환경친화적 복원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Water System in Golf Courses)

  • 최경영;주영규;김수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3-264
    • /
    • 2006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골프장은 법적, 경제적 이유로 건설부지가 계곡과 능선 또는 봉우리를 포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계곡과 능선은 생태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훼손하는 것은 생태환경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 공사로 인해 발생하는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계곡 또는 하천이 하던 생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생태복원형 하천을 환경보상적 차원에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골프장 내의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과 적합한 공법 및 사례를 통하여 골프장건설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과 조화를 통하여 최적의 골프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설계도면 실례를 들어 제안하였다.

스크린골프장 서비스품질이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reen Golf Course Service Quality on Revisit)

  • 이국권;박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43-348
    • /
    • 2023
  • 본 연구는 스크린골프장 서비스품질이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300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부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많은 설문지 53부를 제외하고 총 24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크린 골프장 이용자들은 주로 친구, 지인, 친목단체가 주로 이용하였으며, 정보는 인적, 인터넷으로 많은 정보들을 얻었으며, 서비스품질 중 공감성, 신뢰성이 스크린 골프장 재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이용자들은 품질이 좋은 서비스를 경험하면 만족감과 서비스 품질이 높으면 신뢰를 가지며, 충성도 형성과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과 홍보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품질이 나쁜 서비스를 경험하면 고객들이 실망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악평을 남길 수 있으며, 이는 신뢰를 떨어뜨려 재이용의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골프장 재이용을 높이려면 품질 관리 및 고객들의 의견과 피드백을 수용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 및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스크린 골프장의 재이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크린골프장 서비스품질 하위요인 유형성, 응답성, 확신성이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유의하게 나오지는 않았지만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경쟁이 치열한 스크린골프장 업계에서의 생존력을 키우고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재이용할 수 있도록 경영전략을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골프 코스 구성 요소의 정량적 변화 분석 -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Changes of Elements on Golf Cours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mbership Golf Courses in Capital Area, Korea -)

  • 노준택;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2-126
    • /
    • 2012
  • 본 연구는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81 개소를 대상으로 1964년부터 2011년까지 조성된 한국 골프장 및 골프 코스 구성 요소의 시계열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을 통해 한국 골프 변천사에 대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골프장 조성 및 골프 코스 구성 요소의 정량적 변화에 관련된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고, 회귀분석 등 통계분석을 통한 골프 코스 구성 요소의 시계열적 변화를 도출한 뒤 두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 고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코스 변화와 관련된 환경 요인은 '제도 및 정책', '경제 성장과 국민소득', '골프장 이용객 ', '골프 용구', '해외 골프대회 유치와 국내 토너먼트 대회 개최' 등 5 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장의 입지 유형은 평지형에서 산지형으로 변화여 갔고, 규모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골프 제도 및 정책, 경제 성장 등의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홀의 면적, 길이, 개수의 변화 등의 골프 코스 구성 요소는 ' 제도 및 정책', '골프 인구의 증가', '골퍼들의 기량 향상', 국내외 골프대회 개최에 따른 '골프 경기의 난이도 증가', '해외 골프 코스 디자이너들의 국내 디자인 참여 기회 증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용구의 발달과 골퍼들의 비거리의 증가는 벙커 수와 면적의 증가, 홀의 길이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못(pond) 등 수공간의 면적 증가 추세는 친환경에 관련된 골프 제도, 골프 대회 등의 증가에 따른 심미성 제고 등과 함께 디자인 트렌트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향후 과제로는 골프 코스 디자인의 변화 추세에 대한 정성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몇몇 골프장에서 발견된 잔디선충 (Turfgrass Nematodes Isolated from Some Golf Courses)

  • 강영진;이동운;추호렬;권태웅;신종창;신홍균;최일근;최영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2_3호
    • /
    • pp.81-85
    • /
    • 2003
  • 골프장 잔디에 발생하는 식물기생선충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안양베네스트골프장과 동래베네스트골프장, 가평베네스트골프장의 금잔디와 크리핑벤트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와 캐슬파인골프장의 크리핑 벤트그라스에서 조사하였다. 잔디 생육 부진지에서는 가는 주름선충(Criconema sp.)과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 나선선충(Helicotylenchus sp.),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뿌리썩이 선충(Pratylenchus sp.), 참선충(Tylenchus sp.), 위축선충(Tylenchorhynechus sp.)이 확인되었으며, 캐슬파인골프장 그린의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목초위축선충(Tylenchorhynechus dubius)에 의한 피해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금잔디에서는 뿌리혹선충, 나선선충, 줄기구근선충, 뿌리썩이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뿌리혹선충과 참선충, 위축선충, 가는주름선충, 줄기구근선충, 나선선충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선충들 중 뿌리혹선충이 가장 심각한 선충이었으며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