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곡면 구조물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복합재 구조물의 모서리 곡면 부위에 대한 두께방향 응력 연구 (Study on through the thickness stresses in the corner radius of a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

  • 김성준;황인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665-672
    • /
    • 2013
  • 적층된 복합재 구조물의 강도와 강성 저하를 발생시키는 중요원인 중의 하나는 복합재 층 사이에 발생하는 층간 분리이다. 적용되는 대부분의 복합재 구조물은 어느 정도 곡률을 가지고 있다. 만약 굽은 복합재 구조물이 굽힘 하중을 받게 되면 평평하게 되려는 현상 때문에 두께 방향의 수직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최대 응력이 발생되는 곳에서 층간 분리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굽은 복합적층 보의 반경방향 응력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층간 분리 응력에 미치는 적층 순서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층간분리 응력의 크기와 위치를 이론적인 해와 유한요소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고 비교하였다.

선내 곡률 반경에 적용 가능한 플렉서블 표면파 공진기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 for metal surface with radius of curvature)

  • 공진우;이학곤;김학선;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3-114
    • /
    • 2022
  • 본 연구는 선박의 내부의 비금속 재질 등으로 인하여 표면파 공진기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표면파 공진기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제작 및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계 제작된 플렉서블 공진기의 곡면구조에서 실험한 결과 평면구조에서 평면형 공진기보다 성능은 열화되지만, 곡면구조에서 평면형 공진기 대비 높은 전송속도를 확인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평면형 표면파 공진기가 부착되기 어려운 구조물에서도 금속체 표면파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선실 선교 등 내부가 비금속 포장재로 되어 있는 공간에서도 내부의 연결된 금속 파이프를 통해 선박 전 구간에서 최적의 금속체 표면파 통신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축소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내력과 균열진전에 대한 개구부모서리 균열제어 띠의 영향 (Effect of Crack Control Strips at Opening Corners on the Strength and Crack Propagation of Downsized Reinforced Concrete Walls)

  • 왕혜린;양근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40-4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내력, 변형 및 균열진전에 대한 개구부 모서리의 사인장 균열 제어를 위한 다양한 보강방법들이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개구부 모서리의 사인장 균열제어 보강방법으로서 이 연구에서 제안한 균열제어 띠, 기존의 경사보강근 배근방법, 그리고 응력분산곡면판을 선택하였다. 균열제어 띠에서는 균열치유 기능성이 부여된 것도 함께 고려하였다. 개구부 주위의 체적변화 및 균열 폭 진전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구부 모서리에서 사인장 균열 유도를 위한 축소 벽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균열제어 띠는 경사보강근 및 응력분산곡면판에 비해 개구부 주위의 체적변화 감소 및 개구부 모서리 균열 폭 제어에 효율적이었다. 균열 치유 기능이 포함된 균열제어 띠는 사전 실험에서 발생한 균열들을 치유하면서 축소 벽체의 내력 향상 및 균열 폭 감소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제주시 탑동 호안 월파 대응 방안에 관한 모형실험 (A Study on Experiment for Countermeasures to Overtopping at Tapdong Revetment in Jeju)

  • 고혁준;김정록;조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3-1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 탑동 호안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월파 피해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한 수리모형실험을 다루었다. 모형실험에서는 입사파의 주기 변화에 따른 탑동 호안의 반사율을 피복석 설치 유무에 대해 측정하였다. 또한 50년 반복주기 NE 설계파를 기준으로 선정된 파고와 주기 변화에 따른 월파량 및 탑동 호안 구조물 내 파압을 상부구조물의 높이 증가와 곡면 돌출부의 형상을 바꿔가면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상부구조물의 높이 증가와 곡면 돌출부의 형상 변화가 월파량을 감소 측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타원체의 역방향 산란 해석 (High-Frequency Analysis of Electromagnetic Backscattering from an Ellipsoid)

  • 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85-688
    • /
    • 2005
  • 대표적인 이중곡면 산란체인 타원체를 표준 구조물로 설정하여 역방향(backscattering)에서의 고주파 전자파 산란 해석을 위한 creeping wave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타원체는 비행기나 미사일 형태의 몸체를 모델링하는 기본 구조물이다. 시뮬레이션으로 타원체 표면에서의 geodesic path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얕은 타원포물곡면쉘의 동적 불안정 현상의 규명을 위한 비선형 동적 응답의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Nonliner Dynamic Response for Dynamic Instability of Shallow Elliptic Paraboloidal Shells)

  • 김승덕
    • 전산구조공학
    • /
    • 제8권2호
    • /
    • pp.153-161
    • /
    • 1995
  • 세계적으로 대공간 구조물의 건설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 추세와 함께 붕괴 사고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의 구축을 위해서는 사고 및 붕괴의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규명을 위하여 대공간 구조물의 붕괴 메커니즘의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Step 하중 하에서의 동적 파괴 메커니즘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주기성을 가진 동적 외력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Step 하중하에서의 메커니즘과는 매우 다르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는 주기성을 가진 동적 외력에 의한 얕은 EP 쉘(Elliptic Paraboloidal Shell)의 동적 불안정 현상을 Fourie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즉 1 자유도의 얕은 EP 쉘의 동적 좌굴 현상과 파라메트릭 공진 현상과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선형 응답의 연속 스펙트럼(runing spectrum)을 이용한다. 연구 결과, 동적 불안정 현상은 외력의 성질에 따라 크게 다른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Roof Truss Sliding 공법 적용사례 연구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 Great Hall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oof Truss Sliding Method in the Incheon International Amort Transportation Center - Great Hall)

  • 이동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214-221
    • /
    • 2001
  •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의 Great Hall은 3차원의 입체적 곡면 Truss로 구성되어 있고, Great Hall Roof Truss는 최대 경간162m, 480Ton인 Truss을 포함한 13개의 Main Steel Truss로 구성되어 있다. Great Hall Roof Truss는 총 중량 6,300Ton, 9,600 Pieces로 1개의 절점당 최대 13개의 다른 부재가 접합하게 되어 있고, 12개의 Fabric 기초에 의해 지지된다. 경제적인 효과와 공기적 측면을 고려하여 기존 재래식(가설 Bent) 공법보다 Block화 공법 및 Sliding공법을 채택하였다. Roof 구조물은 3,550Ton과 2,700Ton 중량인 두 Block으로 나누고 구조물 외부에 설치 된 Giant Sleigh에 선 조립 후 Tandem Pulling Jack과 Strand를 이용하여 181m를 Sliding하여 본 구조물의 위치에 설치되었다.

  • PDF

자유 곡면으로 구성되는 3차원 구조물에 대한 자동 요소 분할 (Automatic Mesh Generation fo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Consisting of Free-Form Surfaces)

  • 이준성;;박면웅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65-75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an automatic finite element(FE) mesh generation fo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consisting of free-form surfaces. This mesh generation process consists of three subprocesses: (a) definition of geometric model, i.e. analysis model, (b) generation of nodes, and (c) generation of elements. One of commercial solid modelers is employed for three-dimensional solid and shell structures. Node is generated if its distance from existing node points is similar to the node spacing function at the point. The node spacing function is well controlled by the fuzzy knowledge processing. The Delaunay method is introduced as a basic tool for element gene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FE meshes for three-dimensional solid and shell structures holds great benefits for analyses. Practical performances of the present system are demonstrated through several mesh generations for three-dimensional complex geometry.

  • PDF

셸 구조물의 중간면에 대한 삼각형 셸 요소망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Triangular Shell Element Meshes on Mid-Surface in Shell Structure)

  • 문연철;양현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1권4호
    • /
    • pp.451-460
    • /
    • 2007
  • The surface of 3D shell structure is created by using NURBS and nodes for generating finite element mesh on the surface are created by using external node offset method. In so do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nodes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 is searched and then the coordinates of nodes ar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mid point of them in the middle of top and bottom surface. Triangular elements are formed on mid surface, and the average aspect ratio of the generated triangular elements are over 0.9.

유한요소법의 기본리론과 응용(II) -방향변환에 따르는 변환 매트릭스-

  • 김항욱
    • 기계저널
    • /
    • 제17권1호
    • /
    • pp.40-44
    • /
    • 1977
  • 먼저번에는(대한기계학회지 제16권 제4호 1976) 유한요소법의 중심부를 통하는 기본로선을 따라 가면서 기초 개념을 해설하였다. 이 해설에서 앞으로 취급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트러스 구조물의 정역학적 문제를 예제로 다루며 방향변환에 따르는 "변환매트릭스"해설 2. 기둥의 탄성 안정 문제를 예제로 다루며 비 선형 문제에서 등장하는 "추가 강성매트 릭스 (Incremental Stiffness Matrix)[N]의 해설 3. 1차원 문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유한요소 해설 4. 2차원 문제에 있어서 평면형을 갖는 여러 가지 유한요소 해설 5. 2차원 문제에 있어서 곡면형을 갖는 여러 가지 유한요소 해설 6. 유한요소법의 발전 전망 7.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에 있어서의 여러문제 해설의 대상자는 공과대학 기계계열의 상급학년 학생 또는 고체역학 부문에 경력을 갖는 기술자 들로서 이 부문의 기본지식을 갖고 있는 자로 한다. 이번회에는 유한요소의 자유도 즉 미지상 수로 다루어지는 자변수의 좌표축이 바뀔 때 부수적으로 등장하는 변환 매트릭스에 대하여 해 설한다.트릭스에 대하여 해 설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