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정원

검색결과 1,492건 처리시간 0.031초

성장기 아동에서 miniscrew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치아이동 (THE USE OF MINISCREWS FOR TOOTH MOVEMENT IN CHILDREN)

  • 김상민;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37-544
    • /
    • 2010
  • 교정치료에 있어서 고정원은 진단 및 치료계획에서부터 치료 종료 단계까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으로 고정원의 조절을 위하여 차등력, 차등모멘트, 구내 고정원, 구외 고정원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원치 않는 치아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의 협조도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환자의 협조도나 주변 치아에 의존하지 않는 골격성 고정원(skeletal anchorage)이 전통적인 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골격성 고정원의 종류로는 implant, onplant, miniplate, miniscrew 등이 있다. 이 중에서 miniscrew는 환자의 협조도 감소, 술식의 간편성, 저렴한 비용, 식립부위의 다양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교정치료 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이소성 맹출 경로를 보이는 상악 견치와 매복된 하악 견치의 견인, 정출된 상악 전치의 압하에 miniscrew를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icro-Implant Anchorage(MIA)를 이용한 Sliding mechancis (A new protocol of the sliding mechanics with Micro-Implant Anchorage(M.I.A.))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77-685
    • /
    • 2000
  •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의 경우 확실한 고정원으로서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고, 또 임상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임프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무치악이 존재해야 하거나 하악구치 후방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있고, 값이 비싸며, 골융합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지는 않다. 최근 몇몇 임상가에 의하여 수술용 titanium microscrew 나 miniscrew를 교정치료시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골융합성 임프란트보다 수술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치조골 어느 부위든지 식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M.I.A.(Micro-Implant Anchorage)를 고정원으로 사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를 치료하였다. 상악의 M.I.A.는 상악전치의 후방견인의 고정원으로 사용되었고 하악의 M.I.A.는 하악 제1대구치의 직립과 제2대구치의 압하이동의 고정원으로 사용되었다. 하악 구치가 직립됨에 따라 하악골의 전상방 회전이 일어나 SNB각의 증가로 이어지고 ANB각의 감소를 가져 왔다. M.I.A.는 치료 전기간동안 안정되게 유지되어 교정치료의 고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M.I.A.를 고정원으로 사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법은 환자의 협조도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고, 비교적 빠른 시기에 많은 안모의 변화를 가져와 환자의 협조도를 끌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상악 6전치를 동시에 후방견인하므로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호선의 교환이 적어 chair time이 짧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MIA는 치아이동의 고정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MIA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한 교정치료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서 쉽고 효율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PDF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영구 대구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the Permanent Molar Using Skeletal Anchorage: A Case Report)

  • 모혜림;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2-432
    • /
    • 2019
  • 매복된 영구 대구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 자가치아이식, 매복치아의 발치 등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보존적인 방법인 교정적 견인이 권장된다. 그러나 매복된 영구 대구치의 교정적 견인 시 치아를 이용한 고정원의 확보는 고정원의 상실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골성 고정원 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영구 대구치가 맹출하지 않는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3명의 환자에서 매복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하여 교정 장치를 부착하고 골성 고정원 장치를 식립하여 성공적으로 견인하였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보철 수복용 임플란트의 교정치료를 위한 고정원의 활용 (Application of dental 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 강효진;박은진;김선종;방은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6호
    • /
    • pp.404-413
    • /
    • 2016
  • 보철 수복용 임플란트는 소실된 구강조직을 회복하는데 매우 예측 가능한 치료방법으로 특히 교정치료를 위한 고정원으로 사용되었을 때 원하지 않는 고정원의 위치변화 없이 원하는 치아의 움직임만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수복해야 할 무치악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장래 보철적 지대치로 이용될 임플란트를 교정치료 전에 미리 식립하여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한다면 고정용 나사 식립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없고, 교정력에 의한 고정용 나사의 탈락과 같은 부작용 없이 효과적인 고정원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정력은 골유착된 임플란트에 골소실을 야기하지 않으며 임플란트의 종류와 수술 방법, 치유 기간은 일반적인 치료과정 을 따르면 된다. 다만 한번 골유착된 임플란트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임플란트 식립 시기 및 식립 위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ndirect palatal skeletal anchorage (PSA)를 이용한 골격성 I급 양악 치성 전돌 환자의 치험례 (Indirect palatal skeletal anchorage (PSA) for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 bialveolar protrusion)

  • 채종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8-464
    • /
    • 2004
  • 교정치료에 있어서 고정원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악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으나 대부분이 환자의 협조에 대한 의존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고정원 보강에 대하여 확신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원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과거의 골 융합성 임프란트와 달리 미니 스크류는 구강 내의 어느 부위에나 식립할 수 있을 정도로 식립 부위의 제한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titanium miniscrew를 구개 정중부의 약간 측방에 식립하고, indirect active P.S.A.(Palatal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 상악 구치부에서의 고정원 보강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치료 결과로 보아 PSA는 상악 구치부의 고정원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transpalatal arch system의 다양한 design을 응용한다면 효율적인 치아 이동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Miniplate anchorage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악 전방견인 치료 (MnBillnry protraction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children using miniplnte anchorage)

  • 차봉근;이남기;최동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73-84
    • /
    • 2007
  • 상악 전방견인 장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특히 상악골 열성장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 경우 증례에 따라 치아 치조성 이동을 허용하는 다양한 치료목표가 설정될 수 있으나, 상악골의 순수한 전방이동이 필요한 경우 다양한 구내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원 보강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고정원의 치아 치조성 이동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치아를 고정 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골개조(remodeling)가 상악복합체 뿐만 아니라 치주인대에서도 발생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부작용은 역동적인 치열 교환이 일어나서 치성고정원이 부족한 혼합치열기 또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악정형 치료가 시행되는 경우에 많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사용이나 피질골절단술, 신연골형성술 등의 외과적 방법을 응용하여 전방견인을 시도할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악정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골 고정원 (skeletal anchorage)을 이용한 상악 전방견인 치료의 외과적 교정적 치료 술식을 증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l/Al$_2$O$_3$가 코팅된 금속형 저압차 반응기의 질소 산화물 선택적 제거 반응에의 적용 (Evaluation of Al/Al$_2$O$_3$- Coated Wire-mesh Honeycomb for NOx SCR)

  • 최진성;양경식;정종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7-448
    • /
    • 2003
  • SOx 등과 함께 대기오염 발생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NOx를 제거 하고자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NOx가 배출되는 유형에 따라 발전소, 보일러 및 산업체와 같은 고정원에서 배출되는 경우와 자동차나 선박과 같은 이동원에서 배출되는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 고정원에서 NOx를 제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암모니아에 의한 NOx의 선택적 제거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고정효과 분석을 이용한 공무원과 민간부문 임금격차 추세 추정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Wage Gap Trend in Korea - New evidence from the fixed effect analysis -)

  • 한종석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1호
    • /
    • pp.69-97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공무원과 민간부문의 임금격차 추세를 고정효과 방법으로 추정한다. 관측되지 않은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제거하고 시간에 따른 임금격차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로그 임금 차분을 이용한 고정효과 방법을 사용한다. 고정효과 추정 결과,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공무원과 민간부문의 임금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OLS 추정에서 나타나는 역 V자 형태(2007년을 기점으로 공무원 임금 프리미엄이 감소)의 추세도 고정효과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PDF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이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 (The skeletal cortical anchorage using titanium microscrew 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9-706
    • /
    • 1999
  •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의 경우 확실한 고정원으로서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고, 또 임상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임프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무치악이 존재해야 하거나 하악구치 후방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있고, 값이 비싸며, 골융합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지는 않다. 최근 몇몇 임상가에 의하여 수술용 titanium microscrew 나 miniscrew를 교정치료시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골융합성 임프란트보다 수술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치조골 어느 부위이든지 식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사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교정치료 동안 협조도가 고갈된 환자를 치료하였다. 6개월간의 titanium microscrew로 부터 가해진 교정력에 의하여 상악 전치부는 4 mm후방 치체이동과 압하이동을 얻었다. 통상의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역할을 하는 상악 구치부도 1.5 mm후방이동 되었다. titanium microscrew는 치료기간 동안 움직임없이 잘 유지되었다. 비록 과학적으로 밝혀져야할 임상적인 문제가 있기는 하나, skeletal cortical anchorage는 확실한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