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온다습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가잠의 Virus성 연화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ectious Flacherie Virus of Silkworm, Bombyx Mori L.)

  • 한계용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7
    • /
    • 1971
  • 최근 외국에서 Virus성 연화병을 발견하였으며 본병으로 인한 피해는 다를 연화병보다 매우 심하였음을 밝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발병여부조차 밝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므로 본 연구에서 Virus성 연화병이 발생하는가를 생물학적검정과 전자현미경 관찰로 구명하였고 가잠을 어떠한 불량조건으로 사육하였을 때에 유발현상이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그러고 연화병의 Virus와 연화병 잠체에 분리한 Bacillus spp의 세균과의 기동작용 및 Virus의 잠좌내감염방지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 Virus성 연화병이 발생하였으며 그 병원체인 Virus 입자는 구형이고 직경이 26~30m$\mu$이었음을 동정하였다. 2) 누에를 식상불족으로 인한 영양장해를 입히게 하거나 3~4 영기의 고온다습환경에서 사육하면 광의의 유발현상이 뚜렷이 나타냈음을 인정하였다. 3) Virus 또는 세균을 단독접종한 경우보다 혼합접종한 경우는 잠복기간이 짧고 발병율이 높은 결과를 얻어 Virus에 세균과의 기동작용이 이루워졌음을 인정하였다. 4) Virus의 잠좌내감염방지에는 소석회를 사용함이 효과적방법이 였음을 인정하였다.

  • PDF

치악산 국립공원의 야생버섯 발생과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Relationshps between Wild Mushroom Appearance and Meteorological Elements in Chiak National Park, Korea)

  • 심교문;김용석;김건엽;이덕배;강기경;소규호;이강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0-178
    • /
    • 2012
  • 야생버섯의 인위적 재배를 위한 기초 기상환경을 평가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 동안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치악산 국립공원 야영장 관리소 동쪽 150m에 위치한 정점 연구대상지에서 국지미기상과 야생버섯발생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야생버섯발생 조사는 6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씩 실시하였는데, 고온 다습한 7~8월에 야생버섯의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조사기간 중에서는 10월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발생빈도가 높은 B. citrina 등 9개종을 선발하여 야생버섯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국지 미기상을 평가하였다. 야생버섯의 발생에 영향을 많이 주는 버섯발생 전 기상요소는 일사량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습도관련 기상요소인 상대습도, 강우량, 토양수분 순이었으며 기온과 지온의 영향이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폭시수지가 도포된 폴리이미드와 스크린 프린팅 Ag 사이의 계면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Screen-Printed Ag and Epoxy Resin-Coated Polyimide)

  • 박성철;김재원;김기현;박세호;이영민;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46
    • /
    • 2010
  • 스크린 프린팅된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로 코팅된 폴리이미드 사이의 계면접착력을 $180^{\circ}$ 필 테스트를 통해 정량적으로 구하였다. 스크린 프린팅된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 코팅된 폴리이미드 사이 필 강도는 $164.0{\pm}24.4J/m^2$이었다. 오븐에서 $120^{\circ}C$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한 Ag/폴리이미드의 필 강도는 $220.8{\pm}19.2J/m^2$로 증가하였고, $85^{\circ}C/85%$ 상대습도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유지한 Ag/폴리이미드의 필 강도는 $84.1{\pm}50.8J/m^2$로 감소하였다.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과 XPS를 통해 박리된 시편 표면을 분석한 결과, 열처리 및 고온/다습조건처리 시 스크린 프린팅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 코팅층 사이의 계면접착력은 에폭시 수지와 수분 사이의 가수분해 결합 반응으로 인해 계면접착력 증가 및 감소하는 경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의 균류상(菌類相)에 관한 연구(硏究)(I) (The Fungal Flora of Mt. Gyeryong National Park(I))

  • 박종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9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국립공원(國立公園)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의 자연보존(自然保存) 및 자연학습원조성(自然學習園造成)의 기초확립(基礎確立)을 위(爲)한 사업(事業)의 일환(一環)으로서 동지역(同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균류(野生菌類)의 분포상(分布狀)을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1981年 7月부터 10月의 고온다습기(高溫多濕期)에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고등균류(野生高等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담자균(擔子菌) 19과(科) 53속(屬) 93종(種)과 자양균 5과(科) 7속(屬) 8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그중(中) 우점종(優點種)은 Laccaria, Marasmius, Amanita, Suillus, Boletus, Russula, Lactarius, Lycoperdon등(等)에 큰 군낙(群落)도 발견(發見)되었다. 본보고(本報告)에는 국내기록종(國內記錄種)만을 수록(收錄)하였다.

  • PDF

위성강우를 이용한 해외 유역 홍수량 추정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using Satellite-derived Rainfall in Abroad Watershed)

  • 김주훈;최윤석;김경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0-250
    • /
    • 2017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위성강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또다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KOICA 사업으로 진행중인 모로코 세부강 유역 홍수방지 마스터플랜 사업에서 모로코 세부강 유역의 2010년 홍수사상에 대한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일일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량을 추정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로코 세부강(Oued Sebou) 유역은 모로코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유역면적은 한강유역과 유사한 $38,380km^2$이고 하천연장은 450km로 모로코 국토면적의 약 7% 정도를 차지하며 모로코 농업생산의 중심지역이고 유역의 기후 및 기상 특성은 겨울철 온난다습하고 여름에 고온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강수량은 400mm이상으로 보고하고 있다(이산 등, 2015). 유역내 49개 관측소의 일일 강우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역 산술평균 강수량은 607.1mm/yr로 분석되었고, 2010년 가장 많은 강수를 기록한 지역은 Jbel oudka로 1874.1mm/yr였고,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한 지역은 Allal Al Fassi - Barrage로 289.9mm/yr로 나타났다. 2010년 홍수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12월 19일부터 2010년 1월 18일까지의 1시간 간격의 위성강우자료와 1일 관측 지상계측자료를 합성하여 위성보정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보정 방법은 순위상관방법을 적용하였다. 사용한 모형은 일본 ICHARM에서 개발한 IFAS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MapWindow 기반 GRM 모형(mwGRM)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세부강 유역 본류의 첨두유출량은 $6,010m^3/s$(mwGRM)과 $5,878m^3/s$(IFAS)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강우의 시계열적 정확도와 총강우량 등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

일본 오이타현 우스키 마애불상군의 환경변화와 염풍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Weathering and Environmental Variation on the Usuki Stone Buddha Statues in Oita, Japan)

  • 조지현;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677-685
    • /
    • 2020
  • 우스키 마애불상군의 모암은 아소-4 화산쇄설암층군에 속하는 암회색 응회암이다. 이 불상군은 상부에서 유입되는 강수와 지반에서 상승하는 지하수로 인한 백화현상과 암반의 토양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보존대책이 시급한 상태였다. 불상군 표면 염풍화의 주요 원인인 백색오염물에서는 세나다이트, 석고, 백운석이 동정되었다. 이들의 용출실험 결과, 세나다이트는 교반초기에 용해되었다가 4시간 이후 재용출되고, 석고는 2시간 교반까지 검출되다가 4시간 교반 후 용해되는 특성을 보였다. 백색오염물의 재결정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11개월간 미기후 환경을 모니터링한 결과, 봄철에는 세나다이트와 미라빌라이트의 상전이가 넓게 나타나고, 여름과 가을철에는 고온으로 인해 수용액 상태로 유지된다. 겨울철에는 온도가 하강하면서 미라빌라이트의 분포대가 가장 넓게 도시된다. 따라서 석불군 일대의 수분 이동통로를 차단하고 보호각 내에서 유지되는 다습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초정밀 관측이 요구된다.

고온다습처리 조건이 무전해 니켈 도금 박막과 폴리이미드 사이의 계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Humidity Treatment Conditions on Interfacial Adhesion of Electroless-plated Ni on Polyimide)

  • 민경진;정명혁;이규환;정용수;박영배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675-680
    • /
    • 2009
  • Effects of $85^{\circ}C/85%$ Temperature/Humidity (T/H) treatment conditions on the peel strength of an electroless-plated Ni/polyimide system were investigated from a $180^{\circ}$ peel test. Peel strength between electroless-plated Ni and polyimide monotonically decreased from $37.4{\pm}5.6g/mm$ to $22.0{\pm}2.7g/mm$ for variation of T/H treatment time from 0 to 1000 hrs. The interfacial bonding mechanism between Ni and polyimide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Ni-O bonding at the Ni/polyimide interface. The decrease in peel strength due to T/H treatment appears to be related to polyimide degradation due to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the interface and the bulk polyimide itself.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위한 IoT 기반의 스마트 배전반 개발 (IoT-based Smart Switchboard Development for Power Supply of Entertainment Devices)

  • 강윤정;이광재;최동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11-321
    • /
    • 2021
  • 본 연구에서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위한 스마트 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 개발하였다. 첫째,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열전 모듈에 의해 냉각 시 발생된 열이 배전반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하여 냉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래서 배전반 내부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여름철에 과도한 열로 화재가 발생하는 배전반의 온도 제어와 냉각 효과로 인한 습기 제거와 겨울철에는 냉각 대신 발열을 함으로써 배전반 내부 결로 현상 등의 여러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배전반 내부에 스며들 수 있는 염분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배전반 제어 시스템이다. 셋째,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필요시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에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IoT 제어 배전반으로 다양한 분야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 식품접객업소 식재료 안전관리 수행도 및 보관실태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Food Safety Performance and Food Storage Condition in Restaurants against Climate Change)

  • 이정수;배영민;윤재현;김보람;유진희;현정은;정순영;차명화;류경;박기환;이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201
    • /
    • 2014
  • 본 연구는 기후변화대응 고온 다습한 여름철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보기 위해 경기지역의 식품접객업소를 대상으로 식품접객업소의 식품위생관리 수행도 및 식품접객업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 5종의 구매 특성, 전처리 특성 및 보관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품접객업소의 조리종사자는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단지 6.8% 응답자만이 염소계 소독제를 전처리에 이용한다고 하였다. 식재료의 보관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식재료를 전처리 후 위생봉투와 밀패용기에 넣어, 냉장보관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6% 또는 14.9%의 응답자가 각각 전처리한 식재료를 주방 또는 식당에 상온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1.5%의 응답자는 조리 전 전처리한 식재료를 6시간 이상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시 살균소독제를 활용하여 소독을 실시하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하여 식재료를 적절하게 밀봉, 냉장보관 하여 빠른 시간 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동결 온도에서 다짐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il Compaction at Below-Freezing Temperatures)

  • 황범식;채덕호;김영석;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7-43
    • /
    • 2015
  •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며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 겨울에는 혹한의 날씨가 지속된다. 이러한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토공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지반의 동결 융해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시공 당시의 기온에 따른 지반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상온에서 다져진 지반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동절기 다짐의 경우 상온에서의 다짐과는 다른 지반상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동결 융해로 인한 강도 및 변형 특성 또한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나 이를 고려한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circ}C$$-8^{\circ}C$에서 주문진 표준사에 카올리나이트를 0%, 5%, 10%,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짐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상온($18^{\circ}C$)에서의 다짐곡선과 비교하여 온도 및 세립분 함량에 따른 다짐 효과를 살펴보았다. 시험 결과, 동결 온도에서 다짐 시 최대건조단위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8^{\circ}C$ 이하에서 다짐 시공 시 시방서의 다짐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