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산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33초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lpine Plants of Mt. Halla, Cheju Island, Korea)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1-208
    • /
    • 1998
  • 제주도의 기온온난화가 한라산 고산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하나로 한라산 고산식물 8종의 수평 및 수직 분포역과 생육환경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 상태에 있는 고산식물들에 관한 생물지리학적 기초 자료와 정보가 축적되었다. 한라산 고산식물은 분포특성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그 중 70퍼센트 정도가 한반도의 고산지나 일본열도의 것들과 공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빙하기 동안 동북아시아에서 한반도를 거쳐 제주도로 유입되었고, 일부는 일본열도에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이들 고산식물은 열악한 기후, 척박한 토질과 지질 그리고 동결과 융해가 반복되는 주빙하성 환경에 적응하여 산정부 일대에 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와 과거 및 현재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여, 한반도의 자연환경 변천사를 파악하고, 기온온난화가 지속될 때 한라산 고산경관과 생태계가 당면할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7-370
    • /
    • 2002
  • 한반도 고산대와 아고산대에 자라는 극지 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의 종 구성과 외관형, 분포를 생물지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은 한랭한 기후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외관형과 생리생태적 조건을 지녀 북한 북부지방에 주로 자라지만 남한의 설악산, 한라산, 지리산 등의 고산대와 아고산대에도 자란다.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은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혹독한 추위를 피해 극지 주변으로부터 유입되어 한반도를 1차 피난처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홀로세에 들어서 기온이 따뜻해지자 대부분 극지.고산식물은 극지 주변으로 복귀했으나, 일부는 한반도의 산정을 피난처로 삼아 정착하여 이제는 해발고도 1,500-1,800미터 이상의 고산대와 아고산대에 격리되어 분포한다. 플라이스토세의 기후변화에 따라 식물들이 남하와 북상을 거듭하면서 고립 격리된 일부 종이 국지적인 산악환경에 적응하여 특산종을 형성한 것으로 본다.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 가운데 상록활엽성 관목은 대체로 키가 작고, 땅위를 기며, 잎은 추울 때 말리고, 잎에는 털이 많아 보온과 수분을 모으는데 알맞은 형태와 같은 한랭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외관형을 가졌다. 오늘날의 지구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극지와 고산에 격리 분포하는 극지.고산식물과 고산식물의 운명은 위태로워질 것이다. 특히 한반도를 지구상 극지.고산식물의 지리적 분포의 남방한계선으로 삼은 많은 종들이 피난처를 찾지 못하고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어 이에 대한 조사 연구가 절실하다.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5-3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의 고도별, 사면별, 계절별 기온(일평균, 일최고, 일최저) 분포와 고산식물의 수직적 분포역을 기초로 고산식물별 온도적 범위를 분석한 후 제주도의 온난화에 따른 한라산 고산식물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고산지에서의 고도별 기온 분포와 수직적 기온 체감이 환산되어 산악지역에서의 기온 분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확보되었다. 한라산에서의 100m당 기온체감율은 일평균기온이 -0.58$^{\circ}C$, 일최고기온이 -0.53$^{\circ}C$ 범위내에서 분포가 주로 결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최고기온 체감율이 고산식물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의 모니터링과 경관 보전 측면에서 유용한 생태적 정보를 축적하여, 한라산에 분포하는 희귀하거나, 멸종위기 상태에 있는 고산식물들의 보전과 관련된 지식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극지.고산식물 월귤의 격리 분포와 기온요인 (Disjunctive Distribution of Vaccinium vitis-idaea and Thermal Condition)

  • 공우석;임종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5-510
    • /
    • 2008
  • 월귤은 극지 고산식물로 북극권과 고산대에 주로 자라며, 한반도에서는 북한의 고산대와 아고산대, 남한의 설악산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 암석지, 귀때기청봉 등 아고산대 그리고 홍천의 산록에 자란다. 월귤이 격리 분포하는 강원도 홍천군 해발고도 350m 부근 애추 말단은 풍혈이다.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널리 분포했던 월귤은 홀로세에 기후가 온난해지면서 한반도 북부와 중부의 고산대 및 아고산대와 함께 여름이 서늘한 홍천 풍혈 주위를 후빙기 피난처로 삼아 빙하기 유존종으로 격리 분포하게 되었다. 월귤의 남한계선이며 하한계선인 홍천에 자라는 군락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설악산 아고산대와 1,200m의 해발고도 차이가 있으므로 빙하기의 기온은 현재보다 $6.6^{\circ}C$ 내외로 낮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극지와 고산에 격리 분포하는 월귤은 여름 고온에 민감한 식물이다. 홍천의 산록에 자라는 월귤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생리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식물과의 경쟁에 밀려 사라질 수도 있다.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에서 홍천의 월귤 군락지에 대한 보호 관리가 필요하다.

설악산 아고산대 식생과 경관의 지생태 (Geoecology on the Subalpin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Mt. Sorak)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7
    • /
    • 2000
  • 설악산의 교목한계선, 왜성변형수, 편형수, 포복형 나무 등 기형 수목 형태는 아고산대의 생태적 점이대에 나타나는 식생 경관으로 지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자연유산이다. 아고산대의 기형 수목 형태는 주로 저온, 강풍, 건조 그리고 적설 등 겨울 기후와 관련되지만 다른 계절과도 관계된다. 설악산의 눈잣나무는 세계적 분포 남한계선으로 생물지리적으로 가치가 높으며, 아고산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외관형을 나타낸다.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과 경관은 과거의 자연환경 변천사를 복원하고, 현재의 환경을 이해하고, 미래의 환경 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는 지표로서도 중요한 자원이다. 차후 환경 변화에 따른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과 경관의 변화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PDF

<고산구곡가>의 성리학적 생태인식 (A study on the Metaphysics and Ecology of 'Gosangugokga')

  • 김상진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51-73
    • /
    • 2004
  • 문학 생태학이 환경오염과 자연의 훼손 등으로 말미암은 것이라면 <고산 구곡가>는 그 창작에서부터 천인물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생태주의의 기본 원리와 일치한다. <고산구곡가>가 천인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은 거기에 담겨진 율곡의 성리학적 사유로 말미암는다. 성리학자 가운데서도 율곡은 특히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그의 사유체계가 <고산구곡가>에 표현되었다. 따라서 <고산구곡가>를 통한 성리학적 생태인식의 고찰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산구곡가>에 나타난 생태적 인식으로 세 가지를 들었다. 첫째는 주거에 대한 인식이며, 둘째는 순환하는 사시의 아름다움이다. 이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바라봄으로써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노래하여 생태주의의 궁극적인 지향점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자연 등이 모두 조화를 이루며 더불어 사는 공간으로서의 인식이다. <고산구곡가>에 나타난 이러한 인식은 기본적으로는 성리학적 이념에 근거하면서 현대의 생태주의에서 표방하는 이상과 유사함으로써 생태주의 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라산 아고산대의 초지 훼손특성(제1보)

  • 김태호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107-109
    • /
    • 2002
  • 한라산 아고산대에는 등산객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인위적인 요인과 더불어 아고산대 특유의 열악한 기후조건과 식생의 느린 회복력 등의 자연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등산로를 중심으로 훼손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2000)의 최근 조사자료에 의하면, 해발고도 1,400m 이상 아고산대의 훼손면적은 225,870m2로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등산객이 이용하는 어리목과 영실 등산로 주변의 훼손면적이 50,000m2와 32,500m2로서 각각 전체면적의 22.1%와 14.3%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중략)

  • PDF

제주 고산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및 유입경로 연구 (Study on the Vertical Profiles and the Inflow Routes of Aerosols at Gosan, Jeju)

  • 김상우;원재광;이병일;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38
    • /
    • 2002
  • 제주도의 서단에 위치한 고산 측정소는 한반도와 중국대륙에 인접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을 연구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대기 중 에어러솔은 미량독성 물질의 장거리 이동시 그 운반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연구는 제주 고산에서 2002년 11월 2주간의 집중 측정기간동안 측정된 라이다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산 지역에서의 에어러솔 수직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제주도 고산에서의 에어로솔 조성 변화 고찰: 1992-2002년 TSP 측정자료 (Aerosol Composition Change at Gosan, Jeju: ISP measurement Data between 1992 and 2002)

  • 박민하;김용표;강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6-327
    • /
    • 2002
  • 제주도 고산은 지역자체내의 대기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배경농도지역이며, 지리적 특성상 동북아시아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특성을 규명하는데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산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장기간 TSP 측정자료가 모아졌으나, 아직까지 그 해석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과 이동특성에 관한 해석을 위한 역궤적 분석은 미흡하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1992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고산에서 측정한 입자상 무기이온 성분의 농도를 장기간의 역궤적 분석결과와 함께 통계적인 방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제주도 고산의 입자특성: 1992-2001년 측정결과 요약 (Aeroso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t Kosan, Jeju: Measurement Data between 1992 and 2001)

  • 박민하;김용표;강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6
    • /
    • 2002
  • 제주도 고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배경농도지역으로 동북아시아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특성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이 발표에서는 1992년부터 2001년까지 고산에서 측정한 입자상 무기이온 성분의 농도를 통하여 입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