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려요인

Search Result 6,08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ies (LGB) in Korea: A Qualitative Meta-Summary (국내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요약)

  • Pyo, Sohwi;Lee, Seul Ah;Jang, Aekyung;Lee, Joonwoo;Lee, Eunbi;Yang, Eunjoo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8 no.2
    • /
    • pp.241-272
    • /
    • 2022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meta-summary method to systematically integrate the findings of the heterogeneou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lesbian, gay, and bisexual groups in Korea. The integrative investigation of the universal or unique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internal experiences and support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Using a qualitative meta-summary,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abbriviate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or impede the sexual identity acceptance and integration of LGB individuals. First, a total of 9 studi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up to 2021 were identified through the research database. The included studies were critically evaluated by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 tool. A total of 179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findings of each study and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generated. The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sychological factors that promote or imped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or impede it. These four main categories and corresponding factors in each category were expla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해외판매법인의 현지유통경로선택에 관한 연구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해외판매법인을 중심으로-

  • 이장로;박범수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152-1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해외 판매법인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현지유통경로선택시 시장요인과 제품요인 그리고 경쟁 포지셔닝에 따라 초래되는 특성들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별 현지유통경로선택에서의 차이분석에서는 경쟁 포지셔닝에 따른 현지 유통경로 선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장요인과 제품요인, 그리고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두 기업이 아직 현지시장 적응정도가 낮고, 제품은 차별화 되지 않았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기업수준에서의 요인별 분석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우, 제품요인과 TV부문의 시장요인,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현지유통경로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자레인지 부문에서는 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LG전자는 삼성 전자와는 달리 현지 유통경로 선택에서 어떤 유의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 PDF

Comparison of Grade of Raw and Red Ginseng on each Factor of Quality in Korean and American Ginseng (고려인삼과 미국삼의 품질요인별 수삼 및 홍삼등급 비교)

  • Chung, Chan-Moon;Shin, Ju-Sik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4 no.4
    • /
    • pp.229-233
    • /
    • 2006
  • Comparison of the grade of raw ginseng and that of red ginseng was investigated.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nd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m L.) Coefficient of body term, length of main stem and weight of raw ginseng were used as the classifying criteria of the root size and grades. Korean ginseng distinguished the distribution of weight size from that of American ginseng. Korean ginseng distributed largely in middle and large root size, and American ginseng distributed largely in middle and small root size. American ginseng had shorter length of main root, bigger diameter of main root and mor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than Korean ginseng. The quality of Korean ginseng was better than that of American ginseng. In Korean ginseng, high quality of red ginseng above second grade (Jisam) was obtained, but low quality of red ginseng under third grade (Yangsam) in American ginseng. In Korean raw ginseng, the coefficients of body form of middle weight and large weight size were under 0.5, but those of American ginseng was over 0.5. So American ginseng were not adequate to produce good red ginseng. Those factors as length of main root and weight of main roo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qualify of red ginseng in both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Coefficient of body form was leading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red ginseng. To improve the quality of red ginseng, coefficient of body form, weight of main root and length of main root were controlled adequately in both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A psychological study of determinant factors on drunk-driving judgements (음주운전 결정요인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 최상진;손영미;김정인;박정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33-47
    • /
    • 2001
  • 본 연구는 운전자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음주운전결정요인에 대해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심층면접과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얻은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사회심리적 요인들을 종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는 음주운전 경험이 있는 운전자 136(남자 122명, 여자 13명)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운전자들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1) 음주정도, 2) 음주 후 경과시간 정도, 그리고 3)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4) 집과의 거리 정도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잘못된 신념'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에 비해 음주단속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음주단속과 교통사고 발생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의 운전실력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목전단기이익 추구 경향성'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음주 후 차를 두고 갈 경우 야기되는 비용부담,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그리고 집과의 거리 정도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마신 술의 양(음주량)에 대해 더욱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음주운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in Chemical Industry (화학산업의 국제 기술이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Chung, Joong Kyu;Han, Sang Ko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6
    • /
    • pp.191-198
    • /
    • 2018
  • Technology transferors and technology transferees decide to transfer technology with various motivations as they share benefits and risks. On top of economic benefit factors and risk factors provided by technology transferees, technology transferors also make technology transfer decisions by taking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ies and systems, as well as their management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chnology transfer in the chemical industry and the influence on the technology transfer intention are analy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transfer are economic benefit factor, technological factor, risk factor, and socio-cultural factor.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between the technology transferors and the technology transferees are that the economic benefit factors are more considered by the technology transferees and the technological factors are more considered by technology transferors in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transferees shows the stronger intention to enter technology transfer than the technology transferors.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Cloud Deployment Model in Financial Companies (금융회사 클라우드 운영 모델 결정 방법론)

  • Yongho Kim;Chanhee Kwak;Heeseok Lee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4
    • /
    • pp.47-68
    • /
    • 2019
  • As cloud services and deployment models become diverse,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cloud computing selection options. Therefore, financial companies need a methodology to select the appropriated cloud for each financial computing system. This study adopted the Balanced Scorecard (BSC) framework to classify factors for the introduction of cloud computing in financial compani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evaluation items are layered into the performance perspective and the cloud consideration factor and a comprehensive decision model is proposed.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 system of financial company is divided into three: account, information, and channel system, and the result of decision making by both financial business experts and technology experts from two financial companies were collected. The result shows that some common factors are important in all systems, but most of the factors considered are very different from system to system. We expect that our methodology contributes to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adoption.

방제단계 측정도구 개발에 필요한 주요요인 선정에 관한 연구

  • Mun, Jeong-Hwan;Yun, J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8-9
    • /
    • 2012
  • 우리나라 해양에서 발생 가능한 기름유출사고를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여 대비 대응이 가능한 방제세력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 3단계를 구별하는 기준은 "유출량"이다. 그러나 유출량 외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누락되어 있는 실정이다. 1967년 이후 발생한 주요한 20건의 해양오염사고에서 대규모의 유출량을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라도 환경적으로 유출지점이 연안에서 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피해가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은 사고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해양에서 발생 오염사고는 오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름의 유출량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해역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방제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방제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고려요소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 PDF

The Return Migration of Koreans in Central Asia to the Russian Far East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러시아 극동 지역 귀환 이주)

  • Lee, Chai-Mun;Park, Kyu-Tae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4
    • /
    • pp.559-57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plain and discuss the return migration of Koreans in Central Asia to the Russian Far East. The Koreans' return migration is explained by the combination of push and pull factors inherent in the host and home countries. The structural or institutional push factors in Central Asia include the linguistic policy of a country, civil war, ethnic conflicts, while the micro ones are the Koreans' high concern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a socio-economic status. The macro pull factors operated in the Russian Far East are the permission to use the housing facilities and land previously controlled by military authorities and the laws of recovering the koreans' basic right and honor, while the micro ones are the networks of relatives and friends living in Central Asia and the Russian Far East. The two aspects related to the Koreans' return migration are also discussed. Firstly, the return migration of Koreans in Central Asia is interpreted as a migration of ethnic affinity.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district of Koreans in the Russian Far East is discussed.

  • PDF

고령자들이 웰스테크(디지털 자산관리) 자문·일임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및 요인에 대한 연구

  • Gwak, Jae-Hyeok;Dong, Hak-Rim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89-195
    • /
    • 2021
  • 최근 고령화로 인한 수명연장은 노후생활비용 부담의 가중을 통해 고령자들의 노후파산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위협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사적자산의 안정적, 장기적인 관리와 증식이 필수적이다. 자산관리 자문/일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지만 과거에는 서비스 이용가능 대상이 대형 금융기관을 거래하는 거액자산가들로 국한되어 있었다. 그런데 최근 기술혁신과 더불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웰스테크(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어, 이를 활용하면 보다 많은 고령자들이 자산관리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이유로 최근 주목받는 웰스테크(디지털 자산관리) 자문/일임 서비스에 대한 고령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및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이론 중 소비자가 얻는 혜택과 희생을 모두 고려하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lue Based Model)'을 기본 모형으로 하되 웰스테크(디지털 자산관리) 자문/일임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격효용성'을 혜택 요인에 추가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희생 요인에 '인지된 위험'을, 별도의 요인으로 '사회적 영향'을 각각 추가하였다. 예상되는 연구결과로는 지각된 혜택에 해당하는 유용성, 즐거움, 가격효용성은 모두 인지된 가치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지각된 희생에 해당하는 기술성과 인지된 위험은 모두 인지된 가치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가변수인 사회적 영향은 인지된 가치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mixed model for repeated split-plot data (반복측정의 분할구 자료에 대한 혼합모형)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1-9
    • /
    • 2010
  • This paper suggests a mixed-effects model for analyzing split-plot data when there is a repeated measures factor that affects on the response variable. Covariance structures are discussed among the observations because of the assumption of a repeated measures factor as one of explanatory variables. As a plausible covariance structure, compound symmetric covariance structure is assumed for analyzing data. Th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REML)method is used for estimating fixed effects in th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