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학교 가정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7초

구안법을 응용한 고등학교 가정과 교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 Method Applied in Teaching Clothing and Textiles for Better Learning Effect at a High school)

  • 이춘화;이전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9-44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in teaching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For this study, total 205 girls’high school students in the 2nd grade, among whom 103 students of 2 classes were in Chonju and 102 students of another 2 classes in Kunsan, were selected. Each one classes apiece of two areas were control group. Lessons on laundering were given to students in Chonju and lessons on arrangement of clothing were given to ones in Kunsan. The project Method of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t-test after the written examination, Practitude, creative ability and intere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practical attitude, creative ability and interest than the control group. 2. Teaching through project method will give changes to the students’attitude toward their household affaires. 3.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improved if lessons applied by project method is given, as the recognisable effect rises through the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empirical method.

  • PDF

세 가지 행동체계에 따른 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 조사 (Teachers’ Meeds Assessment on Food/Nutrition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ree Systems of Action)

  • 유난숙;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3-9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termination on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s contents on food/nutrition. For this purpose, the Home Economics teachers’needs assessment was performed in view of three(technical, interpretive, emancipatory) systems of ac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564 questionnaires sent to Home Economics teachers of 396 secondary school selected by systemic random sampling 362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and 33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statistical tool, SPSS/PC(sup)+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 most important system of action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on the contents of food/nutrition was interpretive action, followed by emancipatory action. Technical action was turned out to be the least important system of action. 2.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ontent of interpretive action was the most achieved action in the text book. The least achieved action was emancipatory action, and the middle was technical action. 3. The needs related to contents of emancipatory 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pretive action. The lowest needs was the contents related to technical action. 4. Home Economics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and situation variables make no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chievement in the text book, and the needs of food/nutrition contents.

  • PDF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상용식품의 1인분량 설정 및 영양성분 함량 산출 (Determination of Single Serving of Cooked Food and Its Nutritive Values Calculation Presented in Home Econmics Text Books)

  • 강희자;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food composition table based on commonly consumed single serving size of cooked food so the people can easily use the table in each meal. With this revised food composition table, everybody can easily calculate how much they eat, and plan the menu according to how much they need, so hopely contribute to reduce the leftover foods. Eighty-nine kinds of prepared food dishes were selected based on 13 home economics text books of the junior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oked food dishes comprise various kinds of rice dishes, korean style soups and stewes, fried, roasted or steamed fishes, vegetables and meats, and desserts. Single serving size of cooked food dishes are presented below: 1) rise : 180∼250g, 1(1/3)∼1(2/3)cup 2)soup:320∼400g, 1(1/2)∼2cup 3)pan fried fish or vegetable : 40∼70g 4)deep fried vegetable, fish or meat; 60g 5)kimchi :50g Single serving size of all other dishes are presented based upon the most commonly consumed amount in each meal by adult male.

  • PDF

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과목 선택 결정 요인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 The Science of Home-Economics’ 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정화;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70
    • /
    • 2000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Choice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factors make high school students decide to select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one of the course among various in-depth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curriculum.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463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ttend in a college-bound high school in Taegu.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nd non-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in learning motivation to 5 units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student’s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role and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mother’s academic career,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students’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relatively were, in descending order,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oeducational school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o the ‘food’unit. student’s attitude for sex-role,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 PDF

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pplying Role Play to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e unit ‘Family Relations’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o help the students cultivating proper values and self-esteem, maintaining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 not only by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in family, but also by acquiring role play, and is to wisely cope with many problems occurring in social life,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hose living in modern society. But at present it is hard for the students to gain those abilities mentioned above, for the present unit ‘Family Relations’lays special emphasis only on memorizing specific knowledge about the understanding of a family. To improve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ole play model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present problems of our various family relations,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suggests lesson model of role play and its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dures: the ‘Family Relation’unit of the present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urveyed students to discover the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now experiencing in their family relations. Accordingly, a new lesson model of the ‘Family Relation’area, applying role play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lesson plan, two-hour classes were experimented and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by students.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부모됨의 준비에 관한 내용분석: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함의 (Content Analysis of 'Preparing for Parenthood' Chapte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mplications for Pre-Parent Education Aimed at Adolescents)

  • 김소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73-9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to implement pre-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regular classes at school. This was achieved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reflected th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The main texts and activities of chapters with 'preparing for parenthood' in the title from 12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three pre-parent education goals of develop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arenthood, learning parenting knowledge and skills, and reinforcing parental capa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 contents and activities reflected the thre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in a balanced manner. Second, both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extbooks tried to motivate students to perceive parenthood and parenting through reflection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s. Third, because the textbooks encouraged students to consider parenthood and parenting,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undertaking pre-parent education to reinforce their parental capacities. Using such textbooks in regula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is expect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parenthood and shape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accordingly, thereby allowing adolescents to prepare themselves for parenthood and become good parents.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 Hope as a mediator)

  • 오연경;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강원지역의 중 고등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t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수준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교적응 중 학교교사 요인에서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여학생 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청소년들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희망 수준이 낮았고, 희망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적응력도 낮았다. 이러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및 학교적응의 관계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희망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10-가 교과서 복소수 단원에 관한 논리성 분석연구 (A Search for an Alternative Articulation and Treatment on the Complex Numbers in Grade - 10 Mathematics Textbook)

  • 양은영;이영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357-374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서 처음 소개되는 복소수 단원의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 등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 학생들의 '수준'과 교육과정의 흐름에 맞게 논리적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학생들의 '수준'이란 실수에서 복소수로의 새로운 수 체계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정한다. 즉,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전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때 복소수 단원의 목표는 새로운 수의 확장에 따른 대수적 구조의 보존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표에 맞게 복소수의 정의와 연산, 그 연산에 대한 성질이 교과서에서 서술되는 방식이 수학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논리적인 비약(gap)이나 순환논증의 오류를 가지지 않고 적절하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16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크게 다섯까지의 분석 대상을 찾아내었다. 첫째는 허수 단위 i의 도입과 음수의 제곱근, 둘째는 복소수의 정서방식에서 실수와 순허수의 정의 방식, 셋째는 복소수의 사칙 연산, 넷째는 복소소의 연산에 관한 성질에서의 대소 관계와 역원의 표현 방법, 마지막으로 대수적 구조의 보존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 관점에서 살펴본 위의 5가지 대상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방식은 논리적 정확성의 문제와 순환논리의 오류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고, 연구자가 일부 논리적 비약(gap)으로 판단한 것이 있는데, 이는 오류가 아닐 수 있으나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에 있어 논리적으로 전후가 맞지 않는 전개과정 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PDF

도시지역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과 그의 관련요인 (Psychosocial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a City)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34-740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지역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대전광역시의 남 여 고등학생 514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건강군이 6.4%, 잠재적 스트레스 군이 72.4%, 고위험스트레스 군이 21.2%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별 고위험스트레스 군의 분포는 교우관계 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형제자매가 없다는 군에서, 가정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위험스트레스 군에 속할 교차비는 교우관계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학교생활에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형제자매가 있다는 군보다 없다는 군에서, 가정생활에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생활만족도, 교우관계, 형제자매유무 및 가정생활만족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 노희연;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1-1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 식 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 의 주 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 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11. 지역사회 양육지원서비스 개발 실습'이다. 프로그램의 들어갈 최종 내용요소들은 분석단계에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11개 주제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분배된 후 선정되었다.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은 해당 주제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구상되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학습활동은 1) 부모 됨 관련 실천적 문제를 포함한 사례 활용, 2) 학습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교류활동, 3) 부모 됨 관련 학습내용을 활용한 실생활 프로젝트 활동, 4) 고등학생 학습자의 현재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 그리고 5) 자녀 발달을 지원하는 가정교과 내 의 식 주 실습활동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은 앞서 설정된 설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이에 총 11개 주제에 따른 17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과 정안 및 학습자료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수업흐름 및 교사 참고자료를 포함하며, 수업 도입부에 가상의 자녀로부터 수업관련 메시지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정리단계에서는 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장의 형태로 해당 차시의 내용 정리 및 예비부모로서의 다짐을 하는 것을 기본 틀로 하였다. 학습자료는 학습활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을 포함하며, 정규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물 두 가지 측면에 대해 가정교과 전문가 13인으로부터 5점 리커트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개발과정에 대한 기초분석 평가결과 평균 4.61점, 내용타당도 지수 97.4%였으며, 프로그램 결과물에 대한 평가결과는 평균 4.37점 내용타당도 지수 86.9%였다. 이와 같은 값은 이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그 결과물에 대한 타당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확보됐음을 나타내며, 이에 이 연구의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 교육 프로그램으로 타당하고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