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층적 의사결정법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1초

MCDM에 의한 환경오염 기여도 순위평가 및 적용 (Prioritization of Environmental Contribution by Region through MCDM)

  • 김종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2호
    • /
    • pp.245-269
    • /
    • 2004
  • 환경보전 활동을 위한 노력도 교부금과 같은 예산의 지역간 배분에 있어 감안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 개발활동만 기준하여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환경변수를 예산 배분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각 지역별 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지역간 환경 기여도의 평가방법론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최대최소법, 최대최대법, 단순가중치법, 계층가중치법과 같은 네 가지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구시의 환경 기여도를 평가해 본 결과, 극단적 상황이 예상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단순가중치법과 계층가중치법을 우선해서 대구시 환경 기여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른 기준을 감안한 예산배분은 개발에 치중된 재정지원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한 지역개발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기업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AHP기법 기반의 시스템 우선 순위선정 방법 (AHP-based Priority Decision Method for Enterprise Ontology System)

  • 최병진;김진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299-302
    • /
    • 2007
  • 최근 기업 정보에 대한 온톨로지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업의 투자 비용과 시간을 고려한 온톨로지 구축 대상 선정을 위한 효율적인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톨로지 구축 방법론에서 제시한 대상선정 기법은 전체를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영역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요소를 포함하는 다기준 의사결정에서 정량적인 평가를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기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계층화분석법)기법을 온톨로지 구축 대상 선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온톨로지 적용대상의 우선순위를 결정지을 수 있으며, 기업의 온톨로지 구축시 목표와 전략에 맞는 대상선정의 정량적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HP 기법을 활용한 인텔리전트 생존보호체계 생존성 결정인자 상대적 중요도 결정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rvivability Determinant in the Intelligent Warrior Platform by Using AHP Method)

  • 김태양;김주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5-254
    • /
    • 2021
  • The intelligent control algorithm based on the real-time biological monitoring system has been emphasized to enhance the survivability of the combat warrior in the future combat fields. In this stud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was deployed to categori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urvivability, then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s between them. A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process, the historical survivability determinants were firstly categorized, which was nextly judged their relative importance by the experts in the actual fileds through the survey of AHP. In this process, the consistency of the survey was investigated to filter out the error. As a result, the global priority of factors can be acquired to establish the optimized operational concepts in the intelligent warrior platform.

LTE/WLAN 이종망 환경에서 범용링크계층과 통합무선자 원관리 기법이 적용된 VHO 방안 연구 (Vertical Handover between LTE and Wireless LAN Systems based on Common Radio Resource Management (CRRM) and Generic Link Layer (GLL))

  • 김태섭;오룡;이상중;윤석호;류승완;조충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48
    • /
    • 2010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3세대 진화망인 LTE(long-Term Evolution), WiMAX/WiBro, 차세대 WLAN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All-IP 기반의 핵심망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중첩된 다양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거나 단말의 이동에 따라 중첩된 여러 접속망들 중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 접속하는 수직적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각각의 네트워크가 독자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독립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왔으므로, 이종망 환경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끊김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네트워크의 무선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이러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적 이동성을 위한 범용링크계층(GLL)과 통합무선자원관리(CRRM) 방식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와WLAN 사이에서의 수직적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핵심 기술 및 통합망의 구조, 그리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수직적 핸드오버 제공을 위한 통합망의 구조와 통합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정의하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범용링크계층을 기반으로 정책기반과 다기준 의사결정법(MCDM)을 혼합한 수직적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수신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하는 방법과 다기준 의사결정법 방법에 비해 데이터 처리량, 핸드오버 성공확률, 서비스 사용비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on the 4th Generation Light Source)

  • 백철우;황지호;박수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05-1026
    • /
    • 2005
  • On the contrary to the expansion of feasibility studies on public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there is few feasibility studies on S&T, especially large-scale basic research faciliti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we tried the first feasibility study on large-scale basic research facilities, that is, the 4th Generation Light Source. First, it is validated whether the construction of 4th Generation Light Source is economically feasible and second, if economically feasible, the optimal place and time for construction are analyzed by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onstruction is economically feasible irregardless of scenarios on future bio-medicine industry growth and to construct at Pohang in 2006 is optimal strategy.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feasibility studies on large-scale basic research facilities are expected to be more expanded and developed.

  • PDF

퍼지 R.P.R(Relative Preference Ratio)기법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의 공법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selecting scheme using Fuzzy Relative Preference Ratio method)

  • 이동운;김경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5호
    • /
    • pp.143-150
    • /
    • 2004
  • 본 연구는 다기준의사결정문제인 건설 프로젝트의 공법선정문제에 있어서 퍼지계층분석법 및 그 결과 생성되는 각 공법별 퍼지 점수의 상대평가를 위해 퍼지 선호도 함수를 적용하여 상대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건설 공법 선정에 대한 퍼지계층분석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최종적인 공법선정을 위해서 각 공법별로 도출된 퍼지 점수의 순위결정기법으로 절대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비교 대상공법에 대한 일관적인 순위결과를 산출해 내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공법선정과정의 전반적인 타당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분야의 MCDM(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순위 결정기법에 R.P.R(Relative Preference Ratio)기법을 도입하여 각 공법에 대한 퍼지 점수를 상대 평가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설 공법선정기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창호공법의 선정문제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AHP를 이용한 항만 리모델링 비시장적 편익요인 분석연구 (Analysis on Non-Market Benefit of Port Re-Modeling Factor Using AHP)

  • 양창호;여기태;정현재;김호균;손유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57-62
    • /
    • 2011
  • 녹색물류 개념의 등장으로 항만산업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 기존의 항만 리모델링 경제성 분석의 연구들은 주로 시장적 가치요인들을 비용-편익분석등과 같은 분석기법을 통해 경제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환경적 가치와 같은 비시장적 가치요인들에 대한 분석들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되어왔던 해양환경과 친수시설, 이용자들의 후생과 관련된 요소들로 분류된 비시장적 편익요인을 중심으로 추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비시장적 측면에서 인천내항의 리모델링 타당성 분석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서식지 평가법(HEP)과 3D 공간보간법(Kriging)을 이용한 제주도 바다숲 입지적합성 평가 (Loc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n Marine Afforestation Using Habitat Evaluation Procedure(HEP) and 3D kriging: A Case Study on Jeju, Korea)

  • 이진형;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71-785
    • /
    • 2014
  • 바다사막화 현상인 갯녹음이 심화됨에 따라, 바다숲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조성지 선정과정은 행정적 편의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입지적합성 분석 연구도 그 중요성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학적 요구치, 해저지형, 인문 사회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합리적인 바다숲 입지적합성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연구지역인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갯녹음 현상이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연안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기에 바다숲 조성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다. 서식지 평가법(HEP), 3D 공간보간법(kriging) 그리고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AHP)이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해양공간의 특성을 반영하는 3차원 공간분석을 실시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현실적인 분석을 도모하였다. 분석결과, 조천연안이 서귀포 표선연안에 비해 입지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천연안은 최대 61%의 감태 서식적합도를 나타냈으며, 해저지형 조건을 충족하였고, 인문 사회환경 기준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재정적으로 효율적인 바다숲 입지선정을 가능케 하고, 합리적인 입지를 통한 연안 생태계 복원 및 어촌계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사용자 요구분석을 통한 리모델링방법 선정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of Remodeling Method by User's Request Analysis -Focused on Apartment House-)

  • 윤여완;박도경;양극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28
    • /
    • 2004
  • Lately construction industry tends to prefer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rather than new 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of buildings due to strengthening of several restriction related to real estates along with prolonged depression. And also, remodeling of building costs less and creates less wastes compared to reconstruction and so it is more profitable in financial and environmental view. However remodeling is process of creating new environment with existing building. Therefor remodeling must follow the procedure realizing problem and fix the problem based on through investigation on existing building and users requirement must be faithfully reflected. Specially in case of apartment houses, since vagueness on ownership and management authority on common parts exists. Hereupon, in this study we are to present the procedure of analyzing apartment house remodeling method through user requirement by approaching to several considerable factors in user request side.

퍼지 AHP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위험도 평가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iving Risk Assessment Model for Autonomous Vehicles Using Fuzzy-AHP)

  • 김시원;권재경;황재성;이상수;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92-207
    • /
    • 2023
  • Lv.4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위하여 안전한 도로환경과 자율주행차량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의가 필요되고, 미래 교통안전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자율주행차량의 안전한 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험도 평가모델이 요구된다.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위험요소를 선정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으나,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발생 원인과 운행 자료 구득에 어려움이 있어 자율주행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정성적 자료로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의사결정자의 애매모호한 언어적 표현, 불확실함을 정량적 수치로 변환하는 퍼지-계층화 분석법을 통해 다기준 의사결정에 있어 기존의 계층화 분석법(AHP)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상위·하위속성들의 가중치 도출 과정을 거쳐, 물리적 인프라인 도로선형이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위험도에 가장 중요한 위험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위험도 범례를 통하여 평가 대상지 5곳에 대한 자율주행차량 운행 위험 여부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