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층적 분석방법

Search Result 1,199,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validity of AHP and conjoint analysis: a case of cosmetics preference (계층적 의사결정과 컨조인트 분석의 타당성 비교: 화장품 선호 사례 조사)

  • Lee, Ji Hye;Jeong, Hyeong Chu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5
    • /
    • pp.921-933
    • /
    • 2016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omparisons of the personal preferences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conjoint analysis (CA) which contain very relatively small number of alternatives. However, a direct performance comparison is not easy because these two methods have a much different process to achieve the final decision. Therefore, we adopt a validity and reference method with empirical case study for cosmetics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case study, conjoint analysis has the merit of measuring internal validity; however, AHP has the merit of measuring predictive validity.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in Information Retrieval (정보 검색에서의 잠재 의미 분석 방법을 이용한 응집 계층 군집화 기법 연구)

  • Khiati, Abdel-Ilah Zakaria;Kang, Daehyun;Park, Hansaem;Kwon, Kyunglag;Chung, I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52-9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잠재 의미 분석 방법과 계층적 군집화 방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한 혼합형 군집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잠재 의미 분석 방법은 벡터 연산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문서 내에 있는 잠재적인 의미를 찾는 정보 검색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고전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언어의 유의성이나 다의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백-오브-워드(bag-of-word) 문제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방법인 문서 군집화를 위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계층적 군집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이를 통하여 분석된 군집의 질적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단층적 군집들이 많이 형성되어 세부적인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군집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합적인 방법으로 잠재 의미 분석 방법을 이용한 응집 계층 군집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잘 알려진 두 개의 데이터에 적용하고 기존의 방법과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군집의 질적 측면에서의 우수함을 보인다.

Design and analysis of Hierarchical Deformable Model (계층적 Deformable Model의 설계와 분석)

  • 강철구;김동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06-508
    • /
    • 1999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계층적인 형태의 deformable model을 이용하면 기존의 deformable model 방법이 가지고 있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가장 큰 문제중의 하나인 초기위치를 찾는 문제나 적용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인 형태를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찾고자 하는 문체가 증가될수록 더 많은 시간상/공간상의 이익을 볼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계층적인 형태로 deformable model을 구성하는 방법과 계층적 deformable model을 영상에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한 공간적/시간적 복잡도 분석을 통해 그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 PDF

A Bayesian Method to Semiparametric Hierarchical Selection Models (준모수적 계층적 선택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방법)

  • 정윤식;장정훈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1
    • /
    • pp.161-175
    • /
    • 2001
  • Meta-analysis refers to quantitative methods for combining results from independent studies in order to draw overall conclusions. Hierarchical models including selection models are introduced and shown to be useful in such Bayesian meta-analysis. Semiparametric hierarchical models are proposed using the Dirichlet process prior. These rich class of models combine the information of independent studies, allowing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both between and within studies, and weight function. Here we investigate sensitivity of results to unobserved studies by considering a hierachical selection model with including unknown weight function and use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to develop inference for the parameters of interest. Using Bayesian method, this model is used on a meta-analysis of twelve studies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types of flouride, in preventing cavities. Clinical informative prior is assumed. Summaries and plots of model parameters are analyzed to address questions of interest.

  • PDF

A Heuristic Leaf Ordering Algorithm for Hierarchical Clustering of DNA Microarray Data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계층적 클러스터링에 대한 리프오더링 알고리즘 개발)

  • 여상수;이정원;김성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706-708
    • /
    • 2002
  • D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들을 클러스터링하는 것은 유전자의 기능과 유전자의 네트워크를 파악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방법은 그러한 실험 분석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나온 결과 트리에 대해서, 트리의 리프 노드들을 재배열함으로써, 인접한 리프 노드들간의 거리의 종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문제인 리프오더링 방법을 다루었고, 새로운 리프오더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포함한 여러 리프오더링 방법들에 대한 실험 및 생물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 PDF

Control of Robot Hand Applied WWW Data used Analytic Hierachy Process (계층적 분석 방법에 사용되어지는 WWW 데이터 응용 로봇핸드의 제어)

  • Jin H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9-392
    • /
    • 2006
  • 원거리에서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이를 WWW 데이터를 이용 데이터의 불분명확한 점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덜 명확한 점이 있더라도 이를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데이터를 WWW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이를 좀더 발전시켜 로봇 제어를 할 수 있겠끔 데이터의 유동성을 보장하는 계층적 분석 방법에 접목시켜 로봇 제어를 할 수 있겠끔 하였다. 불분명확한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는 대신 계층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보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라고 말할수 있다. 단순한 WWW데이터 만으로 제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계층적 분석 방법에 사용하므로써 보강할수 있는 점을 확인하고 WWW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과도 결과를 비교 검토한다.

  • PDF

Microarray data analysis using rel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상대적 계층적 군집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군집분석)

  • Woo, Sook Young;Lee, Jae Won;Jhun, Myoungshic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5
    • /
    • pp.999-1009
    • /
    • 2014
  •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elps easily exploring massive microarray data and understanding biological phenomena with dendrogram. But, because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s only consider the absolute similarity, it is difficult to illustrate a relative dissimilarity, which consider not only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clusters, but also how distant are they from the rest of the clusters.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rel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proposed by Mollineda and Vidal (2000) and compared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relative hierarchical method using the simulated data and the real data in the various situations.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wo hierarchical methods was performed using percentage of incorrectly grouped points (PIGP), homogeneity and separation.

The Implementation of IPsec Engine integrated IP Layer on Linux (리눅스 커널에서 IP 계층에 통합된 IPsec 엔진 구현)

  • 박소희;나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28-231
    • /
    • 2001
  • 인터넷의 활용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인터넷에서의 정보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표준화된 인터넷 정보보호 프로토콜인 IPsec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IPsec은 현재 여러 가지 플랫폼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일반적으로 IP 계층에 통합하는 방법, BITS, BITW 중 하나의 방법론을 선택하고 있다. BITW는 outboard crypto processor를 사용하여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카드 내에 IPsec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효율성이 문제가 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IP 계층에 통합하는 방법과 BITS 방법을 중심으로 장단점을 분석한다. 이에 본 논문은 리눅스 커널 상에서 IPsec을 구현하기 위해 리눅스 커널 모듈을 분석하고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되는 IP 계층에 통합된 IPsec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ffiient Key Distribution for Layered video Multicast (계층 비디오 멀티캐스트를 위한 효율적인 키 분배 방법)

  • Im, Hyo-Jun;Kim, Jong-G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7 no.4
    • /
    • pp.476-481
    • /
    • 2000
  •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그룹의 공동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멤버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동적으로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경우에는 그룹의 공통키를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계산량과 메시지의 수가 그룹의 크기에 비례해 커지는 규모확장성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룹의 멤버나 키에 계층 구조를 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된바 있으나 계층 멀티캐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비디오 멀티캐스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두가지의 그룹 키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각 계층에 대해 별도의 키 계층 구조를 유지하는 계층별 키트리 방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하나의 공통 키트리를 유지하고 각 계층을 공통 키트리상의 서브트리로 유지하는 통합 키트리 방법이다. 성능분석결과 멤버가 그룹에 가입해 있는 동안 계층 상승을 자주하는 경우는 계층별 키트리 방법이 유리하며 계층의 개수가 많고 계층 상승이 잦지 않은 경우는 통합 키트리 방법이 효율적이다.

  • PDF

Development of Clustering Algorithm and Tool for DNA Microarray Data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타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및 도구 개발)

  • 여상수;김성권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0 no.10
    • /
    • pp.544-555
    • /
    • 2003
  • Since the result data from DNA microarray experiments contain a lot of gene expression information, adequate analysis methods are required. Hierarchical clustering is widely used fo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this paper, we study leaf-ordering, which is a post-processing for the dendrograms output by hierarchical clustering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NA microarray data analysis. At first, we analyze existing leaf-ordering algorithms and then present new approaches for leaf-ordering. And we introduce a software HCLO(Hierarchical Clustering & Leaf-Ordering Tool) that is our implementation of hierarchical clustering, some of existing leaf-ordering algorithms and those presented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