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험소비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6초

30대 젊은이가 생산현장의 중심에

  • 윤병선
    • 월간양계
    • /
    • 제36권5호통권415호
    • /
    • pp.108-110
    • /
    • 2004
  • 사료가격 인상. 외국산 축산물의 유입. 힘들게 생산해도 판로가 없다.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일본 역시, 사료원료의 수입과 외국산 농축산물이 수입 그리고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부진, 저난가 사료가격 인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일본 산란계 농가의 현황을 알고 싶어서 농장에 체류하면서 일본 산란계 농장을 경험하였다. 필자가 방문한 곳은 고상식계사로 250,000수 수용이 가능하고 자체 GP시설을 가동하면서 판매점으로 직판하는 곳이었다.

  • PDF

미술관 도슨트 안내를 경험한 관람객 반응 연구 - 지오르기(Giorgi)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 (A Study on the Response of Visitors Who Experienced Art Museum Docent Guid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 박수진;고정민
    • 예술경영연구
    • /
    • 제57호
    • /
    • pp.5-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에서 도슨트 프로그램이 관람객에게 어떠한 경험을 제공하는지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에 의해 알아보는 것이다. 직접 경험한 적이 있는 6명의 관람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총 6개의 범주와 21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대상자가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것은 지식정보습득, 우연성, 동행자의 유도, 습관성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었다. 둘째, 도슨트 안내에 참여하면서 직접 느끼게 된 경험을 보면, 도슨트로 인해 적극적인 전시 관람을 하게 되고 교육적인 효과를 느끼며, 흥미가 생기고 호기심이 생기게 되는 것을 느꼈다. 셋째, 도슨트 안내 참여 후의 반응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 외에도 도슨트의 읽는 듯한 설명, 마이크 시설의 문제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슨트 안내가 전시 관람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경험한 관람객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슨트의 해설과 프로그램의 시스템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에서는 미술 관련 전공자와 비전공자 사이의 견해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홀트의 체험소비의 틀에 의해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도슨트 경험이 종합적인 소비 행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consumption Propensity to spend on shopping live broadcast of in Chinese Women on selection attributes of beauty products

  • Ying, Qiaomeng;Kim, Ky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9-156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 쇼핑 생방송에서 뷰티제품 소비경험이 있는 20, 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제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21년 4월 29일에서 5월 25일까지 위쳇(WeChat), 왠쥬엔씽 프로그램(wenjuanxing program)을 이용하여 조사한 57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20~25세, 대학교, 50~100만원 미만 높게 조사되었다. 소비성향은 내적 추구 소비 3.76점, 충동적인 소비 3.63점, 외적 추구 소비 3.56점, 뷰티제품 선택속성은 제품 내적 속성 3.91점, 제품 외적 속성 3.69점으로 평균 높게 나타났다. 뷰티제품 선택속성의 제품 외/내적 속성은 모두 소비성향 정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소비성향의 외적 추구 소비, 내적 추구 소비, 충동적인 소비 모두 제품 외/내적 속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 쇼핑 생방송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제품 선택속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하였다. 중국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라 뷰티제품 브랜드, 품종, 디자인 등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쇼핑 생방송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주택화재 예방을 위한 저소비 전력의 광전식 단독경보형감지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hoto-electric Single Station Smoke Alarm of Low Power Consumption for Residential Fire Prevention)

  • 박세화;조재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6-53
    • /
    • 2010
  • 주택화재 예방을 위해 10년 동안 전지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도록 회로 설계된 저소비 전력의 광전식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개발 경험을 보고한다. 시장규모가 국내에 비해 100배 이상 큰 일본을 대상으로 인증을 받도록 개발되었고, KFI 규격과 JFEII에 대한 시험 규격 비교 검토도 수행되었다. 감지기의 경보는 부저와 표시 LED를 통해 표현되며, 경보와 고장 및 화재 시의 동작 주기와 동작 시간이 기술되어 있다.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해 적용된 주요 전자 회로 부분과 구현된 감지기의 동작 특성 분석 결과가 나타나 있다. 또한, 구현된 감지기의 소비 전류 측정값과 전지의 방전 특성 실험 결과를 통해 10년 동안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대학생의 여가 활동으로서 스포츠 미디어 선택 요인이 인터넷 스포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ctors for Choosing Sports Media as a Leisure Activity of College Students on Internet Sports Consumption)

  • 황선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44-251
    • /
    • 200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 유형, 스포츠 미디어 이용 정도, 인터넷 스포츠의 이용 정도 및 스포츠 미디어로서 인터넷을 선호하는 선택 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그 선택 요인이 인터넷 스포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 지역의 대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12부를 제외한 40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은 여가 활동으로서 스포츠활동에 가장 많이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서핑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여가 활동으로서 인터넷 서핑이 여학생과 남학생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였고 여학생의 스포츠 활동은 6위에 머물렀다. 대학생들은 스포츠를 직접 관람하기보다는 직접 참여하거나 미디어를 통하여 스포츠를 접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또한 스포츠를 경험하는 미디어에 있어서는 여전히 TV가 인터넷 보다 우위에 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인터넷을 이용한 스포츠 미디어를 선호하는 요인 분석 결과, 정보 수집, 간접 경험, 그리고 접근 용이로 구분되었다. 이 요인들이 인터넷 스포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정보 수집의 용이함 때문에 인터넷 스포츠를 선호하고 이 요인은 인터넷 스포츠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은 인터넷이 스포츠 미디어의 중요한 소비 영역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인터넷은 여가 스포츠 산업에서 점점 더 성장하는 새로운 영역이기 때문에 더욱 많은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다.

소비가치와 경험적 제품평가가 희소성 메시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 김인혜;강여선;최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6호
    • /
    • pp.1133-1149
    • /
    • 2011
  •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towar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collaboration using limited edition in global SPA brand.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it shows that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are co-related to the intention of purchase, especially, brand familiarity and reputation influenced scarcity valuation in the affirmative and both emo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influenced the intention of purchase under scarcity messag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however, turns out to be not significant although its effect is directionally supported that is purchase intention was high when scarcity message is shown. Moreover, emotional epistemic group was influenced by scarcity message so we found that consumers value is changed to emotional with subjective. This result indicates that we need the scarcity message typ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to increase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ESM을 통해 본 취업/비취업주부의 소비생활경험 및 주관적 삶의 질 -쇼핑활동을 중심으로- (The Consumption Experience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of Korean Housewives through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focused on shopping activity)

  • 유현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9-36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Korean housewives' consumption experience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Perceived quality of life wa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motivation, affect, efficiency, and activation. The study results are: 1. Housewives spare their time for physiologic activities(22.9%), household activities(20.1), and personal activities(10.1%) in sequence. 2. Although the motivation that housewives do shopping activities is coming from a sense of duty,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during shopping is showing far more positive affect than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during other activities. In this context, shopping activities are interesting in that they are thought of a kind of entertainment as well as work. 3. With an analysis of covariance, housewives' perceived quality of life has an effect on everyday life in that 4 perceived qualities of life such as motivation, affect, efficiency and ac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여성 소비자의 소비경험을 통해 본 "사치"의 의미분석 (Consumption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Luxury" of Women)

  • 유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115-130
    • /
    • 2008
  • By conducting an ethnographic interviewing for women who had been traditionally recognized as the subject in consumption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that they had on luxuries and necessities, this study tried a naturalistic interpretation on a meaning of "(small) luxury" recently well known to everybody. The target of interview included 20 women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region. The sampling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an age, marriage,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level, etc. The data analysis had the process of drawing a final theme after having a domain analysis and a taxonomy analysis. In so doing, (1) women's experience of consuming life was described; (2) The analysis was made on what they would pursue in a consuming life, with a focus on a symbolic nature of a consumption; (3) Lastly, through a naturalistic interpretation, a theme regarding a meaning that a "luxury" had for them was drawn. As a result of an analysis, 12 domains and 5 taxonomies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it, 3 themes were deduced with respect to a meaning that a "luxury" had under the women's experience of consumption.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에 대한 만족과 지식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ilver Consumer's Product Satisfaction and Knowledge on the Health Functional Consumer's Well-being)

  • 이순금;김용만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131-140
    • /
    • 2011
  • 본 연구는 자금의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소비자의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마케팅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실버마케팅과 소비자웰빙의 연관성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 만족을 결정하는 소비 전(全) 단계의 여러 가지 만족 요인이 실제로 소비자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차적으로 실증 분석하고, 둘째, 제품 만족요인에 의해 소비자 웰빙을 가져오는 그 과정에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제품지식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차적으로 실증 분석하는 데 둔다. 따라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만족은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1과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지식에 따라 제품만족이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과 통계적 실증분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연구가설 1은 채택되었으며, 연구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건강기능제품의 효율적 웰빙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제품의 실버소비자 웰빙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 사이클 전반에 걸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구입-준비-소비-유지-처분 전(全)단계에서 소비자의 장기적인 만족을 위한 건강기능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웰빙은 다양한 욕구의 총합으로 구성되므로, 긍정적 정서적 경험의 증대와 부정적 정서적 경험의 저감의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실버소비자의 지식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실버소비자의 제품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친숙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그들의 제품지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단,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소비자의 높은 지식은 건강기능제품의 준비만족과 유지만족에의 관점에서만 소비자웰빙에 긍정적인 효과의 강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제품지식이 준비단계의 욕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유지단계의 정보 이용에 더욱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선험적 인식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실버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만족, 제품지식 및 소비자웰빙에 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시의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소비와 관련하여 제품만족의 전 단계가 소비자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그 과정에서 제품지식 수준의 조절변수 효과가 부분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는 점이 웰빙마케팅 연구에 기여하는 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리나라 20대 소비자의 명품 및 명품모방품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20's Consuming Behaviors in Luxuries and Imitations)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84
    • /
    • 2015
  •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명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2,30대의 젊은 소비자들은 강한 명품소유 욕구를 가지고 있어 본 연구는 20대의 소비성향에 대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소비자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명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경험, 주로 구매하는 품목, 월 용돈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명품모방품에 대해서도 구매경험과 주 구매품목, 구매이유를 살펴봄으로써 명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소비자들은 사회비교추구성향을 보이는데, 특히 젊은 세대는 상대적으로 통제감이나 자기효능감이 강하지 못하므로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린 과시소비에 쉽게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 명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실증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은 명품을 품질이 우수하거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남학생은 품질이 우수한 브랜드를, 여학생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를 명품브랜드의 특성으로 꼽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명품브랜드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데, 월 용돈이 많을수록 구입경험도 많았다. 응답자들이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 의류, 시계/보석, 화장품/향수 등의 순이었고, 성별 및 용돈수준별로도 주요 구입품목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명품모방품의 구입경험자는 많지 않았으며, 주로 구입한 품목은 패션용품이었고 구입이유로는 가격대비 품질 및 경제적인 이유를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비교적 높은 용돈수준의 응답자들이 명품모방품 구입경험이 높은 점은 흥미롭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서 명품 및 모방품의 구매의도가 높았다. 학년별 명품 및 명품모방품의 구매의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용돈에서는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즉, 명품의 구매의도는 용돈이 높을수록 증가하고 명품모방품의 경우는 그 반대였지만 특정 용돈수준에서는 높아서 비선형적(non-linear)인 트랜드를 보였다. 이는 명품모방품 구입경험 조사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명품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