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ponse of Visitors Who Experienced Art Museum Docent Guid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미술관 도슨트 안내를 경험한 관람객 반응 연구 - 지오르기(Giorgi)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

  • 박수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고정민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Received : 2021.01.05
  • Accepted : 2021.01.29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 docent programs provide to visitors in museums by mean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visitors who had experienced firsthand. As a result of the coding based upon Giorgi's method, it was divided into 6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reason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docent program was due to factors such as information, coincidence, induction of companions, and habits. Second, from participating in the docent guide, they felt that the docent led them to actively visit the exhibition, get the educational effect, and generate interest and curiosity. Third, looking at the re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docent guid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influence, the docent's reading-like explanation and the problem of the microphone facility were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visitors who recognized that the docent guide was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and experienced positive reactions. 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commentary of docent, there was a difference of views between art-related majors and non-majo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ccording to Holt's frame of experiential consumption, it was found that the docent experience was a comprehensive consumption behavior appearing in all four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에서 도슨트 프로그램이 관람객에게 어떠한 경험을 제공하는지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에 의해 알아보는 것이다. 직접 경험한 적이 있는 6명의 관람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총 6개의 범주와 21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대상자가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것은 지식정보습득, 우연성, 동행자의 유도, 습관성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었다. 둘째, 도슨트 안내에 참여하면서 직접 느끼게 된 경험을 보면, 도슨트로 인해 적극적인 전시 관람을 하게 되고 교육적인 효과를 느끼며, 흥미가 생기고 호기심이 생기게 되는 것을 느꼈다. 셋째, 도슨트 안내 참여 후의 반응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 외에도 도슨트의 읽는 듯한 설명, 마이크 시설의 문제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슨트 안내가 전시 관람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경험한 관람객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슨트의 해설과 프로그램의 시스템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에서는 미술 관련 전공자와 비전공자 사이의 견해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홀트의 체험소비의 틀에 의해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도슨트 경험이 종합적인 소비 행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민경(2006), 국립 현대미술관의 도슨트 프로그램 사례 연구, 「교원교육」, 4, 241-257.
  2. 김누리(2015), 미술관 관람객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도슨트 프로그램 전략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문성(2019), 미술관 도슨트의 역할갈등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윤희.서용구(2016), 미술 전시 관람객의 체험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6(1).
  5. 김지호(2015), 미술관 교육에 있어 동시대미술의 소통적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예술연구」, 12, 137-160.
  6. 문근실(2011), 영국에서 박물관 다문화정책의 발생 배경과 이론적 논의, 「민속학연구」, 28, 193-218. https://doi.org/10.35638/KJFS..28.201106.008
  7. 박수지(2019), 관람객 중심 박물관에서 참여적 박물관으로의 확장적 발전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신재(2017), 미술관 도슨트의 미술작품 해설 유형이 관람자 감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인숙.천경희.홍연금(2013), 윤리적 소비자가 경험하는 행복한 소비의 특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16(4), 1-27.
  10. 양지연(2003), 미술관 관람객 연구의 성과와 과제: 20세기 이후 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 68-97.
  11. 유아림.김세준(2018), 미술관 전시 경험을 통한 관람객 감정 연구, 「예술경영연구」, 48, 5-45.
  12. 이정수(2020), 미술관 도슨트 프로그램 사례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통계청(2019), 「지난 1년간 관람 횟수 [미술전시회]」
  14. 홍미은(2010), 현상학적 공간 지각 특성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향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Anderson, G. (Ed.). (2004), Reinventing the Museum: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the Paradigm Shift. Walnut Creek, CA: Alta Mira Press.
  16. Giorgi, A. P., & Giorgi, B. M. (2003).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In P. M. Camic, J. E. Rhodes, & L. Yardley (Eds.),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Expanding perspectives in methodology and design, 243-27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3).
  18. Hooper-Greenhill, E. (2000), Museums and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London: Routledge.
  19. Palamara, A. (2018), Docent program as communities of practice, The Museum Review, 3(1). Retrieved November 30, 2020, from http://articles.themuseumreview.org/tmr_vol3no1_palamara
  20. Rudham, G. B. (2012), Preserving race and class: A critical ethnography of urban art museum docents, backstage and frontstage performances, Retrieved November 2, 2020, from http://lps3.search.proquest.com.libproxy.hongik.ac.kr/docview/ 1428171257?accountid=16209
  21. Wendling, L. M. (1991), The critical thinking level and teaching behaviors of museum docents: Assessment, inter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inking. Retrieved November 2, 2020, from http://lps3.search. proquest.com.libproxy.hongik.ac.kr/docview/303960931?accountid=16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