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학문헌(經學文獻)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공혈형 내측 활막추벽 증후군 - 1례 보고 - (Fenestrated Medial Plica Syndrome - A Case Report -)

  • 배대경;전명호;표나실;이정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0-154
    • /
    • 1999
  • 공혈형 내측 활막추벽은 내측 활막추벽의 한 형태로 흔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여 직경 5mm에서 3-4cm 되는 것도 있다고 보고된다. 그 증상은 비특이적이나 다양한 내측 슬관절 증상을 유발하여 다른 슬관절 내장증의 원인들과 감별 진단이 요구된다. CT scan, MR imaging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결정적인 진단은 관절경술에 의해 이루어지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이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관절경적 절제술을 이용하여 치료를 시행하면 지속적이고 만족스러운 임상 호전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된다. 본 정형외과 교실에서는 그 빈도가 흔하지 않은 양측 슬관절 공혈형 내측 활막추벽 증후군이 관찰되어 관절경적 절제술을 시행하고 술후 및 외래 추시시 즉각적이며 극적인 임상 호전을 보인 1례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임상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관절 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국소형 건막 거대세포종 - 2례 보고 - (Localized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Arising from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 2 Cases Report -)

  • 구본섭;김경철;이호중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6-149
    • /
    • 1999
  • 국소형 건막 거대세포종이 체중 부하에 관여하는 큰 관절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며 슬관절의 경우 지금까지 4례만이 보고되고 있다. 슬관절에서 국소형 건막 세포종이 발생할 경우 관절통, 종창, 잠김, 불안정감 또는 신전제한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 십자인대파열 혹은 반월상연골 파열이 있는 경우와 감별하기는 어렵다. 저자들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때 국소형 거대세포종 2례를 우연히 관찰하였다. 두 경우 전방십자인대에서 발생하였으며, 관절경하에서 절제한 후 병리학적으로 진단을 확인하였다. 종양의 완전절제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에 동시 발생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Simultaneous Bucket-handle Tears of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윤정로;김택선;양재혁;강규복;김영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28
    • /
    • 2010
  • 대부분의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은 전방 십자인대와 동반하여 발생하며, 전방십자 인대의 급성 손상 시는 외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 흔한 반면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 시는 내측에서 흔히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본 손상의 발생기전, 임상증상,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특이 소견 및 치료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원위 대퇴부 후방에 발생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Endoscopic Treatment of Extensive Deep Abscess in Distal Posterior Thigh - A Case Report -)

  • 전호승;송지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4-87
    • /
    • 2013
  • 원위 대퇴부 후방은 주요 신경과 혈관이 위치하고 있고 여러개의 힘줄들과 근육들이 위치하여, 심부 근막 내에 농양이 발생시 근막, 힘줄과 근육을 따라 근위 대퇴부, 슬와부, 근위 하퇴부 후방 및 무릎 관절의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단순히 항생제 투여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수술적인 배농과 변연 절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슬와부의 주요 신경과 혈관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저자들은 64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좌측 원위 대퇴부의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주요 신경, 혈관 등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관절 후외방 불안정성의 치료 (Treatment of Posteolar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Knee)

  • 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4
    • /
    • 2011
  • 슬관절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흔치 않으나 심한 불안정성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 및 진단과 치료 방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주로 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후외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었을 경우에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패에 이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의 진단은 신체 검진, 방사선 소견,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이루어 진다. 후외방부 구조 손상의 치료 방법은 손상 시기 및 손상 정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최근의 해부학적 재건술은 다양한 결과를 보이던 이전의 비해부학적인 재건술에 비하여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에서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 추시를 시행한 임상 연구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저자는 후외방부 구조와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문헌들을 정리하고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견관절 전방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 Hill-Sachs 병변 - 증례 보고 - (Double Hill-Sachs Lesion in a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Patient -A Case Report -)

  • 김용민;박경진;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홍경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4
    • /
    • 2011
  • Hill-Sachs 병변은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병변으로 상완골두의 후외방 골결손으로 지칭된다. 처음 탈구되는 환자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탈구가 진행될 될수록 진행하여 탈구의 수와 Hill-Sachs 병변의 관찰정도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ll-Sachs 병변의 위치와 유무는 견관절 불안정성에 중요한 의미를 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저자들은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동반된 이중 Hill-Sachs 병변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복근 파열 후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1예 보고 - (Endoscopic Treatment of Extensive Deep Abscess Occurred in Hematoma After Rupture of Gastrocnemius Muscle - A Case Report -)

  • 전호승;문찬삼;노행기;전성광;김종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0
    • /
    • 2011
  • 광범위 심부 농양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절개 및 배농이 원칙이다. 그러나 철저한 절개배농을 위해서는 피부 절개의 범위가 커지게 된다. 또한 큰 절개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은 수술 영상 및 시야 확보가 힘든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수술 과정에서 정상 조직에 대한 추가적인 손상과 큰 절개 반흔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저자들은 비복근 파열로 인한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기존에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71세 남자에서 발생한 후방십자인대 대퇴골 부착부 견열 골절 - 1례 보고 - (Femoral Bony Avulsion Fracture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a Seventy one Year Old Man - A Case Report -)

  • 이영현;안길영;남일현;문기혁;김기철;이채경;이상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8-130
    • /
    • 2010
  • 후방십자인대의 대퇴골 견열 골절은 성인에서 매우 드문 손상이다. 과거 슬관절 손상으로 인해 관절 운동의 부분적 제한이 있던 71세 남자 환자가 약 2미터 높이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내원하였다. 촬영한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후방십자인대 대퇴골 부착부 견열 골절을 확인하였다. 관절경 시술 하에 두개의 강선으로 대퇴 내과를 통하여 고정하였다. 술 후 1년째 강선 제거술 및 2차 관절경 검사로 골절 부위의 유합을 확인 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Brodie 농양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소파술 - 증례 보고 - (Endoscopic-Assisted Curettage of Brodie Abscess in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구정회;조형래;박만준;최승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38
    • /
    • 2007
  • Brodie 농양은 빈도가 흔하지 않고, 독성이 적은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아급성 혹은 만성 골수염의 국소형으로 소아나 청소년의 하지 장골 특히 경골의 골간단과 골단 부위에 호발하나 성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시 병변의 위치가 근위 경골 골간단 후방에 위치한 경우 개방적 소파술로는 병소 접근이 어렵고 신경 혈관 손상 및 주위 조직 오염의 위험성이 있다. 본원 정형외과에서 48세 남자에서 발생한 경골 근위부 골간단 후방부의 Brodie 농양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사용하는 표적 기구(Rigid fix system, Mitek, Johnson & Johnson, Norwood, MA)를 이용하여 병소에 손쉽고 정확하게 삽입구를 만들어 내시경 시야 하에서 염증 및 육아 조직을 제거하여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26개월 여아에서 발생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의관절경적 치험례 -증례보고- (Arthroscopic treatment for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 26-month-old girl -A case report-)

  • 이병일;최형석;민경대;조영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4-59
    • /
    • 2002
  • 소아에서의 슬관절 탄발음은 주로 원판형 연골에 의해서 발생되며 슬관절의 신전제한은 원판형연골의 파열을 강력히 시사하는 소견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3세미만 소아에서의 보고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또한 3세 미만의 증상이 있는 원판형 연골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정설이 없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들은 신전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25개월 여아에서 자기 공명영상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을 확인하고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시행 후 2년 9개월간 추시 한 바 합병증이나 증상의 재발없이 임상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