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Posteolar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Knee

슬관절 후외방 불안정성의 치료

  • Kim, Jin G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김진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1.05.25
  • Accepted : 2011.07.3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Injury of posterolateral corner is unusual, but it can cause disability due to severe instability and cartilage damage. However, the anatomical struc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have not defined clearly yet.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is regarded as the one of main factor to the results of failure in cruciate ligament reconstcution if it was undiagnosed and untreated. Diagnosis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is consists of physical exam, radiographic finding,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The treatment method of of postetolateral corner injury depends on the time and severity of injury.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posterolateral corner shows the better clinical outcome than non anatomical reconstructions, but the clinical results of long term follow up is still needed.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s and to organiz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erolateral corner injury.

슬관절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흔치 않으나 심한 불안정성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 및 진단과 치료 방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주로 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후외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었을 경우에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패에 이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의 진단은 신체 검진, 방사선 소견,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이루어 진다. 후외방부 구조 손상의 치료 방법은 손상 시기 및 손상 정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최근의 해부학적 재건술은 다양한 결과를 보이던 이전의 비해부학적인 재건술에 비하여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에서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 추시를 시행한 임상 연구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저자는 후외방부 구조와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문헌들을 정리하고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