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성과 측정

Search Result 1,36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ase Study of the Economic Performanc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in Public Sector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통합의 경제적 성과 측정 사례연구)

  • Jung, Hae-Yong;Ra, Jong-He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8 no.4
    • /
    • pp.185-204
    • /
    • 2010
  • This case study quantifies the savings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integration in National Computing & Information Agency (NCIA) of the Korea Government. It is based on the process of the NCIA development project that consolidating and integrating distributed 24 agencies. And it used the widely accepted Gartner TCO (Total Cost of Ownership) Solution and applies that methodology consistently before and after integration. Specific measurement items for examining the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saving cost are developed pilot test for 2 agencies through compare TCO before integration and TCO after integra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on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in NCIA are showed lots of economic cost reduction in TCO by integrating and consolidating each computing environment in agency. Especially in detail, NCIA realized the most savings in IT Capital Cost including development of hardware, software and recovery system. Also IT Support Cost and IT Administration Cost examined more savings than before IT integration.

  • PDF

토빈 Q와 대체적(代替的) 성과측정변수(成果測定變數)와의 관계(關係)

  • Kim, Woo-Taek;Jang, Dae-Hong;Kim, Gyeong-Su;Park, Sang-S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85-202
    • /
    • 1996
  • 기업의 경제적 성과측정 또는 경제적 척도로서 토빈의 Q는 가치에 대해 산출된 경제적 가치를 계산함으로써 이론적인 경제적 효율성의 개념에 가장 근접한 개념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계산이 어려운 토빈의 Q대신 실제로는 회계적 수익률, 주가 수익률 및 장부가격 대비 시장가치 비율(MB)등이 편의상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과 측정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들 세 유형의 변수들이 토빈 Q의 대용적(代用的) 변수(變數)로서 신뢰성과 유용성이 있는지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MB를 제외하고는 이들 변수들이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토빈 Q비율을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너무 미흡하여 토빈 Q의 대용변수로서 경제적 효율성의 판단기준으로 사용될 경우에 그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회계적 수익률은 토빈 Q비율에 대한 설명력이 현저히 낮을 뿐 아니라, 이러한 결과는 수익률의 이동평균을 사용하거나, 연구개발비나 계열기업집단의 소속여부에 의해 잠재적인 무형자산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수익률을 보완하여 사용하더라도 그 설명력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측정표준의 경제성연구

  • Kim, Dong-Jin;Kim,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6 no.3
    • /
    • pp.15-23
    • /
    • 1989
  • 제품제조에 있어 측정의 중요성과 그 경제적 특성에 비추어 주요 산업의 측정관련 투자실태를 파악하고 투자에 따른 그 기여도를 면밀히 분석 한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그 의미의 하나는 측정표준을 공급하고 있는 국가표준기관의 업무수행에 따른 파급효과를 측정하여 향후 국가표준체계의 확립에 필요한 공급기능의 수급자원의 결정에 주요 자료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측정관리의 효율화운동이 점차 확산됨으로써 개별 기업의 생산성 증대와 불량률 감소로 인한 원가절감으로 국산제품의 가격경쟁력의 우위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표준의 준용에 따른 측정표준과 관련된 측정투자의 비용과 그 수익성에 관하여 정확한 경제성의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 국가표준의 확립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표준의 확립 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측정투자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하여 측정표준에 관한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측정표준을 공급받고 있는 산업체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고 측정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일반 산업체에 주지하며 개별 업체의 이익과 국가경제의 부를 창출함으로써 국가표준의 확립효과를 크게 기대하게 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Potential Entrepreneurships in South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 비교 연구)

  • Ahn, Jinwon;Yoo, Daeh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21-223
    • /
    • 2016
  • 동아시아 경제권의 국가들 중에서도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측정하고 양국 잠재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적 기업가라고 여길 수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10명의 한국 대학생들과 157명의 중국 대학생들이 본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들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경제적자유(Economic Freedom), 개인주의(Individualism) 그리고 불확실성 회피성(Uncertatinty Avoidance)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경제적 자유,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한다'이며, 두 번째 연구가설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고 더 개인주의적인 문화에서 기업가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나며 확실성 회피성이 높을수록 기업가적 성향은 더 낮게 나타난다, 세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 정도가 중국 대학생들의 그것보다 더 높다'이다. 설문조사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 보다 자국의 문화에 대해 더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며 개인주의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불확실성 회피성에 있어서는 가설과 동일하게 중국 대학생들보다 한국의 대학생들이 자국에 대해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양국의 대학생들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있어서 각각 다른 문화적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경제적 자유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중국의 대학생들은 불확실성 회피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설과 달리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혁신성에 있어서는 양국 대학생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내재적 통제력에 있어서 중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Economic Measurement Model of R&D Project Performance (R&D 프로젝트 성과의 경제적 가치 측정 모델 연구)

  • Kim, Young-Myoung;Sung, Hankyu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1
    • /
    • pp.229-252
    • /
    • 2013
  • The aim for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actical model to measure the financial values of the achievements from corporate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Performance indicators for R&D projects were identified from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the evaluation methods to convert them into financial values were propo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cessive predictions and subjective expert assessments in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R&D projects of an IT company in Korea for its validity test. The model is expected to be a turning point in economic evaluation of corporate R&D projects in general due to its practical and reasonable scheme.

  • PDF

복합금융그룹의 부실위험

  • Jang, Uk;Park,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4 no.1
    • /
    • pp.119-1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복합금융그룹의 부실위험을 그룹전체기반 측도로 측정하는 방법론을 비교하고 국내 복합금융그룹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다. Joint Forum(2001a) 방법은 연결기준을 사용하여 그룹내 자본의 중복요소들을 상계한 후 필요자본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구한다. 신BIS 규제자본 방법은 Vasicek(1987)의 점근적 단일위험 모형을 가정하여 자산의 전체기반 위험을 측정하고 연결기준을 사용하여 자본의 중복계상을 배제하여 측정한다. 개별 경제적 자본 방법은 개별 경제적 위험을 수준별로 합산하여 전체기반 경제적 자본을 빌딩블록 방식으로 합산한다. 경제적 자본 방법은 위험 측정시 겪게 되는 극단적 손실 문제와 결합분포의 비대칭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측정시 포함시킬 수 있다. 국내 복합금융그룹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첫째, 개별 재무지표에서 복합금융그룹 소속회사들의 ROA, ROA 변동성 그리고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우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비중이 큰 은행산업에서 위 개별 재무지표는 복합금융그룹 소속회사에서 우량하게 나타난다. 둘째, 그룹전체기반 위험자본 측도로서 필요자본 대비 자기자본 비율과 연결기준 BIS비율을 살펴본 결과 은행계열 금융그룹의 부실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국내 복합금융그룹의 부실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금융그룹에 대한 리스크상시감시방안에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복합금융그룹 소속 금융회사에 대한 리스크 평가시 그룹전체기반 부실위험평가를 반영하여 이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권역별로 통일된 리스크감시를 위해 권역별 자기자본규제의 형평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PDF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Economic Valuation of Libraries (도서관 경제성 평가 연구의 비평적 분석)

  • Ko, Young-Man;Shim,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4
    • /
    • pp.27-52
    • /
    • 2011
  • The value of the library has always been recognized positively. Economic valuation of libraries and their services uses a concrete methodology that enables the quantification of library value and communication of said value among library stakeholder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economic valuation of the library based on a total of 89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quarter-century. Research on library valuation began in the mid-1990's with the formal exploration of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In the 2000's, various theories and methodologies were reviewed and put into actual measurement studies. The comprehensive review and analysis point to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onsistent and reliable set of methods, which will facilitate further application of methods and comparison of results.

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경제적 성과 측정 모형)

  • Ghang, Bong-J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3 no.1
    • /
    • pp.103-109
    • /
    • 2011
  • The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Korea is growing considerably, and the ODA projects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have the good performance to the recipient countries, because they have the direct and quick benefits. But there are no 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he ODA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conomic model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ODA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is study use the ROI model using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BSC model using non-financial information, and link each model closely. The ROI model using financial information is more relevant, because the benefits of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re distinct and quick to the recipient groups.

  • PDF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lended Value Orientation on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Yoo, Hanna;Jeong, EuiBeo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1
    • /
    • pp.213-227
    • /
    • 2022
  • Recently, research on social entrepreneurship, which simultaneously pursues social value creation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increased rapidly. Researchers conducted several empirical studies, noting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s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usually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entrepreneurs, which implies the limitations of the common method bia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that can explain the specific process in which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an entrepreneur, social entrepreneurship, affects the achievement of dual goal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performance increasing the objectiv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cluding blended value orientation(BVO), a characteristic of viewing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s a single th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VO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of social enterprises in South Korea and objective performance data. As a result, risk-taking, a sub-factor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at a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mproves BVO, and it affects soci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VO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overcome the common method bias as measuring subjectivity performance.

The Applicability and Limits of Housing Wealth as the Measure of Socioeconomic Status (경제적 지위 측정값으로의 주택자산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Lee, Myoung-Jin
    • Survey Research
    • /
    • v.8 no.2
    • /
    • pp.1-19
    • /
    • 2007
  • This paper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property scale, in particular housing price is useful as the measure of an individual's economic status. Its main object is to compare the distributions of the measure of housing wealth and other objective or subject measures, i,e., reported income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dditionally, their relations to other variables are examined. An analysis of distributions and cross-tables based upon national survey of 2005 family and the database of apartment price of Kookmin Bank are used. It is shown that the measure of housing wealth differs from other economic status measures in terms of distribution and the relations to other variables, such as attitude variables and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Its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measure of housing wealth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s as a new measure of an individual's objective economic status, in such a way to improve applicability of social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