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로요인

검색결과 1,322건 처리시간 0.03초

주행여건과 선호매체를 고려한 경로전환 판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scriminant Model for Changing Routes considering Driving Conditions and Preferred Media)

  • 최윤혁;최기주;문병섭;고한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47-158
    • /
    • 2010
  •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과 도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통정보 제공을 통한 수요분산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정보제공전략 수립과 운전자 경로전환 행태와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선결적으로 필요한 바,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소통상황을 포함한 주행여건과 운전자의 정보매체 선호특성을 고려하여 경로전환 판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ART 분석을 이용한 집단구분에서는 주행여건에 따라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CHAID 분석을 통해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여건과 선호매체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별분석을 통해 주행여건과 선호매체가 경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고, 경로전환 예측 판별모형식을 개발하였다. 판별모형식 구축 결과, 경로전환은 주행여건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판별적중률(Hit Ratio)은 64.2%로 도출되어 본 판별식은 일정수준 이상의 높은 판별력을 가지고 있었다.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한 플랫폼 설계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tform Design Factor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Horse Industry)

  • 김미경;박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43-353
    • /
    • 2022
  • 본 연구는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하여 향후 플랫폼을 설계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대중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최적의 플랫폼 설계에 대한 혜안을 제시하기 위해 말 산업의 플랫폼 설계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하여 말 산업에 대한 관심이 있는 국내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2.0 Ver를 활용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유용성이, 주변 경로 중 정보원천의 유희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대해서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최신성이, 주변경로 중 정보원천의 매력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말 산업 플랫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향후 말 산업에 대한 구매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말 산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를 위하여 말 산업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재미있게 풀어낼 수 있는 콘텐츠 설계가 필요하며, 실질적인 수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말 산업과 관련한 최신동향을 상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플랫폼이 보다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디자인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경로분석을 이용한 교육품질요인의 인과관계 분석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quality factors using path analysis)

  • 이홍우;이진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2-83
    • /
    • 2003
  •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리더쉽, 과정개선, 교육환경, 지역참여, 학생성과 및 교육품질 만족 등의 교육품질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품질요인들을 몇개의 측정변인으로 측정하고 SEM(구조방정식모형) 분야에서 가장 효율적인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 품질요인간의 인과관계분석을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요인들로 구조방적식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품질요인들 간에는 뚜렷한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교육리더쉽이 중요한 원인변인이었으며 이것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서 교육품질에 영향을 주는 전형적인 한국교육현상을 반영하고 있었다.

  • PDF

최단경로 알고리듬에 의한 교환국별 적정 교환회선수의 결정

  • 백관호
    • ETRI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06-114
    • /
    • 1992
  • 교환기는 통신시스팀의 꽃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비중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교환국별 교환회선수의 결정은 통신시스팀의 기본구조, 나아가서는 고객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이론의 최단경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교환국별로 소요되는 적정 교환회선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취업자의 사회 연결망 활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Seekers'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s)

  • 김성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209-230
    • /
    • 2003
  • 이 연구는 1996년 "아시아 사람들의 직장 생활에 관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취업시장에서 사회 연결망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취업자를 하위 범주로 나누지 않고 보았을 때는, 사회 연결망이 공식 경로와 직접 접촉보다 더 중요한 취업방법임을 알 수 있다. 다항 로짓 분석 결과는 대체로 취업시장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취업자 범주가 사회 연결망을 덜 활용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것은 한국의 취업시장이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뚜렷하게 나뉘어 있으며, 더 나은 사회 경제적 보상을 가져다 주는 취업시장에서는 공식 경로를 통한 경쟁이 주된 취업방법이라는 한국의 취업시장의 특징을 보여준다.

  • PDF

경로분석을 이용한 TQM실행요인, 생산관리 목표와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분석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TQM Implementation Factors, Managerial Goals of Produc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Path Analysis)

  • 이진춘;이상진;이홍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27
    • /
    • 2005
  • 본 연구는 TQM의 실행요인이 생산관리 목표의 달성을 통해 조직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가설을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한 논문이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이 단편 적으로 실행요인과 성과간의 단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서 검정하던 것을 탈피하여 전체 요인들 간의 포괄적인 인과관계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이들 가설들의 실증 분석을 위해, ISO인증을 받은 98개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을 해본 결과, 원인변인인 TQM 실행요인은 생산시스템의 목표들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생산 목표들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TQM 실행요인은 생산조직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 PDF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 양순옥;조해련;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01-5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시와 농촌의 지역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902명(도시: 571명, 농촌: 331명)의 노인으로 구성하였다. 2011년 7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시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농촌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도시와 농촌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도시의 경우는 우울,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만성질환 수, 흡연이 영향요인이었고, 농촌의 경우는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교육수준이 영향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와 농촌 모두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농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러한 지역별 차이를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 -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 (Burnout Process Model of Social Workers: Analysis of the Paths from the Job-related Stressors, Job-stress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to Burnout)

  • 이명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5-34
    • /
    • 2004
  • 사회복지사들의 소진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직업과 관련된 8가지 스트레스요인(업무모호성, 업무과중, 문제해결의 어려움, 클라이언트와의 갈등, 수퍼바이저의 지지결여, 기관내 의사소통의 폐쇄성, 관료주의, 무책임성), 4종류의 매개요인(직무스트레스, 전문직역할수행, 기관정책 준수, 클라이언트에 대한 편파성)과 소진의 4구성요인(신체적 탈진, 심리적 탈진, 비인간화, 개인전 성취)으로 이루어진 포괄적인 연구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사회복지사 207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최적 이론구조모델이 선정되었다(df=66, $x^2$=63.250, GFI=0.962, CFI=1.00). 자료분석 결과, 소진은 업무모호성과 업무과중, 문제해결의 어려움, 클라이언트와의 갈등, 수퍼바이저의 지지결여, 기관내 의사소통의 폐쇄성 등의 직업관련 스트레스요인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진을 결정하는 감정적 경로의 매개변인인 직무스트레스는 전문직 역할수행과 기관정책 준수의 정도를 증가시키며, 소진(신체적 탈진, 심리적 탈진, 비인간화)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진과정의 인지적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전문적 효능성은 전문직역할수행의 정도가 높고 기관 정책준수의 정도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편파성이 낮을 경우 증대되며,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성 청년의 노숙진입 시기에 따른 노숙 경로 (Pathways to homelessness: The case of young adults in Korea)

  • 김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151-181
    • /
    • 2016
  • 본 연구는 최초 노숙진입 시기 차이에 따른 남성 청년 노숙인 두 그룹의 노숙경로를 밝혀 구체적인 노숙의 원인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노숙 원인에 대한 논의는 구조냐 개인이냐의 이분법적 원인론에 머물러 있거나 노숙에 영향을 미친 복잡한 원인을 다루지만 결국 이를 단순화시켜 설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각 청년노숙인 사례의 노숙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사례의 생애 경험의 맥락 속에서 노숙에 영향을 미친 핵심위험요인의 연대기적 배열을 통해 좀 더 세밀하게 위험요인간의 인과성을 추적하여 노숙진입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년기에 노숙에 진입한 그룹(A1)과 10대 때부터 노숙을 경험한 바 있는 그룹(A2)은 노숙의 진입 경로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양쪽 모두 청년기에 극한의 상태인 노숙을 경험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자의 경우는 가족, 사회로부터 입은 외상으로 인해 정신적인 고통에 시달리고 이로부터 이탈해 고립을 경험하다 노숙에 이르게 된 경우로 대표된다면 후자의 그룹은 이미 청소년기부터 위기청소년의 상황이 시작되었고, 학교, 가정에서의 불안정성이 매우 높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기의 노숙 경험이 청년기로 곧장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았지만 비노숙 기간이 잠시였을 뿐 청년기에 노숙으로 재진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성인기의 삶의 토대를 다져야 하는 청년기에 극단의 상황에 처한 청년들의 위험요인과 진입경로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사례관리, 상담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노인의 성별에 따른 서비스 질과 사회적 지지가 경로당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Hall by Gender of the Senior Citizen)

  • 강태석;조월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41-4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서비스 질과 사회적 지지가 경로당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거주하는 경로당 이용 노인 309명이며, 설문조사는 2019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특성에서 여성 노인의 생활형편과 주거형태가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에서 여성 노인의 친구요인이 이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셋째, 서비스 질에서 남녀 노인의 신뢰성과 보증성이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경로당이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여가시설로서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생활형편과 주거형태가 안정되며, 친구요인을 활성화하는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며, 신뢰성과 보증성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