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Discriminant Model for Changing Routes considering Driving Conditions and Preferred Media

주행여건과 선호매체를 고려한 경로전환 판별모형 개발

  • 최윤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문병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고한검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10.11
  • Accepted : 2010.12.0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raffic demands have been proceeding by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and reinforcing the road's competitiveness in the transport section, however, since it is preferentially required the extensive studies on the driver's behavior changing routes and its influence factors,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a discriminant model for changing routes considering driving conditions including traffic conditions of roads and driver's preferences for information media. It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in group classification with the CART analysis,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elements of the driving conditions and the preferred media affecting the change of paths are classified into statistical meaningful groups through the CHAID analysis, a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paths are examined. Finally, the extent that driving conditions and preferred media affect a route change is examined through a discriminant analysis, and it is developed a discriminant model equation to predict a route change. As a result of building the discriminant model equation, it is shown that driving conditions affect a route change much more, the entire discriminant hit ratio is derived as 64.2%, and this discriminant equation shows high discriminant ability more than a certain degree.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과 도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통정보 제공을 통한 수요분산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정보제공전략 수립과 운전자 경로전환 행태와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선결적으로 필요한 바,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소통상황을 포함한 주행여건과 운전자의 정보매체 선호특성을 고려하여 경로전환 판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ART 분석을 이용한 집단구분에서는 주행여건에 따라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CHAID 분석을 통해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행여건과 선호매체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별분석을 통해 주행여건과 선호매체가 경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고, 경로전환 예측 판별모형식을 개발하였다. 판별모형식 구축 결과, 경로전환은 주행여건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판별적중률(Hit Ratio)은 64.2%로 도출되어 본 판별식은 일정수준 이상의 높은 판별력을 가지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윤혁.최기주.고한검(2010) "소통상황에 따른 정보매체별 우회이용률 분석", 대한교통학회지,제28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39-49.
  2. 손승녀(2010) "행동예측이론에 의한 운전자 경로전환 모형개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최윤혁.최기주.고한검(2009) "도로 소통상황과 우회율과의 상관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57-71.
  4. 김일평(2008) "우회행태분석을 통한 교통정보 제공전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최윤혁.최기주(2008), "고속도로 우회교통량 추정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9-88.
  6. 최윤혁.최기주.오승훈(2007) "운전자 경로전환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정보매체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7권 6D호, 대한토목학회.
  7. 김혜란.전경수.박창호(2004) "관측 교통정보를 이용한 통행중 경로전환행태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4.
  8. 최기주.장정아.김성현.김종식(2004) "VMS 우회정보 제공에 따른 우회율 분석(국도3호선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6D호, 대한토목학회.
  9. 최기주.장정아(2004) "게임이론에 기반한 VMS 운영모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2D호, 대한토목학회.
  10. 강병서.김계수(2009),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
  11. A. J. Khattak, Xiaohong Pan, Billy Williams, Nagui Rouphail, Yingling Fan(2008) "Traveler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s: Impact on Consumer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2069.
  12. A. J. Khattak, Koppelman, F. S., and Schpfer, J. L.(1993) "Stated preferences for investigating commuter's diversion propensity",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