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유지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f the Landscape Agreement Project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 Shin, Min-Ji;Shin, Ji-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6
    • /
    • pp.129-139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landscape agreement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r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t this point of time when many landscape agreements are being concluded for landscape management, to analyze landscape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oblems of comprehensive and widespread landscape agreements and landscape types and to generalize landscape agreement contents. To begin, sustainable and pract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that local people can themselves participate and carry out were proposed,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guidelines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bout landscape management by citizen autonomy and participation. The guidelines considered what regional residents would follow by themselves, as well as what should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accessibility and symbolism of a building's appearance and external spaces designed with the motif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e guidelines also pay attention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facilities in order to maintain a pedestrian-friendly street environment which pursues designs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addition, the recommended guidelines that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are restricting the sizes of buildings, encouraging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details and external spaces to hide building facilities and block them from being exposed and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nature-friendly materials, and the management of neon signs in the landscapes and lighting time during the nigh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ocal residents need to improve the landscapes and change their consciousness by themselves to mainta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with a sense of tradition.

A Landscape Lighting Design Hold Management Cost Reduction Plan Review (경관조명 설계 시 유지관리비 절감 방안 검토)

  • Yun, Jae-Moon;Jang,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0-125
    • /
    • 2007
  • 경관조명은 야간관광자원 활성화를 통한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고,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며, 관광객들에게 도시 브랜드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관조명의 활성화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제 조명위원회(CIE)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도 및 휘도 기준을 조사하였으며, 한강상 교량과 일산호수공원의 일부 지역에 대한 경관조명 설치현황 및 전력요금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명연출방법'과 '조명자재 선정에 의한 방법'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 절감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각 회로를 세분화 하여 시간대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조명연출에 적합한 조명 자재를 선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the Urban Landscape (도시경관 관리를 위한 경관정보시스템의 개발)

  • 오규식;박경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5 no.2
    • /
    • pp.161-175
    • /
    • 1997
  • In spite of intense advances in the economy and technological progress which include massive and high-rise developments, landscape resources have either been destroyed or left to deteriorate. In recent years, efforts towards landscape management have emerged in the form of legislation and policies. However, relevant computer tools have unfortunately been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landscape management. In addition,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conducted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pertinent information has not been recorded or managed efficientl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managing urban landscape infOlmation and analyzing visual impacts in relation to urban development projects. Main functions of the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consist of the following: inputting and managing the attribute data as well as graphic data, querying attributes of urban landscape, and analyzing landscape impacts of development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downtown Seoul. Using the system, a series of visual impact analyses were implemented at major viewpoints in the area. The results have shown that valuable landscape resources could be damaged by proposed development projects. Thus, the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jor tool to manage urban landscape information efficiently and as the basis for decision-making regarding landscape simulation and visual impact analysis.

  • PDF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 Gwon, So-Hyeo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4-26
    • /
    • 2012
  • 항만은 해륙교통의 요충지로서 그리고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과 지역진흥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노후항만시설 및 쇠퇴공간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능의 상실은 물론 재해와 우범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항만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인 항만고유의 기능인 생산 및 물류의 지원과 아울러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풍부한 생활공간으로의 환경 친화적인 정비와 항만재개발이 필요하며, 미래지향적 종합항만공간으로의 기능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 녹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 대한 경관색채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경관조성방안에 대해 향후발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Weir Relocation for Scenery Improvement of Geum River (금강의 경관 향상을 위한 보의 위치변화)

  • Jeong, Sang-Man;Shin, Kwang-Seob;Park, Seok-Chae;Lee, Joo-Heon;Han, Kyu-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39-1243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는 기능을 상실하고 노후화된 보가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철거되거나 적정한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보는 상 하류간 단절을 가져와 하천 경관을 나쁘게 하고 국부적인 세굴로 인하여 하상을 불규칙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공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공산성이 위치하고 있는 금강의 중류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구간에는 2003년에 설치된 돌보를 기준으로 하류부에 불량한 경관이 발생하고 있다. 공산성 앞의 하천 구간은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돌보로 인하여 보의 상류는 충분한 유량으로 인해 하천경관이 좋은 반면, 하류는 경관을 위한 유지유량이 부족하여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경관 향상을 위한 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의 철거나 위치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주대교 아래에 설치된 보의 위치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키는 대안을 선정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보 위치변화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2차원 해석 모형으로는 하천의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SMS(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ver.8.1)의 RMA2와 SED2D를 이용하였다. 2차원 해석 결과 보를 공산성 하류로 이동시켰을 때 유량의 증가와 하상복원으로 인하여 수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구간에서의 모의 결과 보의 위치변화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공산성에서 바라보는 금강의 경관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rivation of Success Elements for the Sustainability of Landscape Agreements - A Case Study on Ongjin-gun Mungab Island and Suwon Gobuk Market - (경관협정의 지속성을 위한 성공요소 도출 - 옹진군 문갑도와 수원시 거북시장길 사례분석을 통하여 -)

  • Park, Hye-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6
    • /
    • pp.24-36
    • /
    • 2019
  • This study shows that the role of residents in landscape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lements that can continue the operation of landscape agreements and directions for promoting them. Therefore, 1)the operational elements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landscape agreements were proposed by way of literature research, expert interviews, and surveys. 2)The sustainable operation of elements of the landscape agreement were applied and best practices were developed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literature analysis. 3)The final plan operational elements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landscape agreements and the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were presented. As for the results, it was first presented that the elements of continuous operation of the landscape agreement, consisted of 3 major categories, 10 subcategories, and 25 details. These include resident awareness, practical applicability,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means, securing the budget, maintenance, public relations, expert support, dedicated support organization, sustainability of particip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It is a detailed list of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phase, maintenance phase, and conclusion phase. Second, it suggested the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landscape agreements be highly backed by the residents, and after reaching consensus on a landscape agreement, it is necessary that the agreement is based on contents that the residents can execute themselv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o prepare the basis for securing the budget for the continuity of work, preparation of the landscape agreements, and consultation and activity costs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In addition, continuous exchanges and capacity building among residents have signed landscape agreements, and step-by-step support from expert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involvement of residents is necessary. Third, even if a landscape agreement is concluded in connection with public projects, it is understood that the residents have the capacity to participate and can continue to support the administration and experts to enable the continued operation of the landscape agreement.

Elicitation and Evaluation of Landscape Components for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Centered on Rural Tourist Attractions of China-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및 평가 -중국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 Sun, Chang Juan;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5
    • /
    • pp.937-945
    • /
    • 2016
  • Recently, Rural tourism in China is developing rapidly, however, the rural tourism remains unsatisfactory due to ignoring the landscape aspect which is considered as an integral part for rural tourism. Therefore, we ai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andscape elements on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by evaluation of the landscape elements. To this end, we made a questionnaire survery concerning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andscape element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amp IPA analysis. As the result, 1) Regional product, safety facilities and public parking lots a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as primary factor. 2)Traffic facilities and accommodation sh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Garbage collection facility,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network and electricity facility should be rectified and maintained; Regaining the original nature characteristics of river and lake, Securing the integrity of the visual appreciation by shelter landscape for Sewage Purification. Our study results may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ttractions in China.

Framework for Quantifying Stream Landscape Improvement Benefit by Supplying Environmental Water Use (환경개선용수 공급에 의한 하천경관개선편익 계량화 방안)

  • Kim, Woo-Chan;Yeo, Kyu-Dong;Kim, Gil-Ho;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17-2121
    • /
    • 2008
  • 최근 서울시는 청계천의 유지용수 및 환경개선을 위해 한강물을 이용하였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유사한 용도로 물을 사용하려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용수의 수요는 이미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기술적 분석이나 관련 제도가 잘 정비되지 않은 실정이며, 심지어 그 개념 및 용어의 정의조차 모호한 상황이다. '환경개선용수'는 간단하게는 '하천의 수질환경을 개선하고 하천의 기초 생태계를 보호하는 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광의로는 효율적인 하천관리와 환경보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친수 공간 확대 등의 생활상의 필요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환경개선용수로 인한 편익이란 수량 확보로 인한 수질 정화, 하천생태계 보전, 하천경관 개선, 유지유량 확보, 사회 생활환경 형성 등의 이득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환경재의 가치평가기법을 조사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개선용수에 의한 하천경관개선편익의 계량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수자원의 환경편익 계량화와 관련한 국내 외 연구를 폭넓게 참고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경제학의 영역에서 환경재는 일반적으로 사치재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환경에 대한 사회적 욕구도 증가할 것이며, 이는 곧 환경개선에 의한 편익이 계속 증대될 것임을 의미한다. 수자원사업의 환경개선용수로 인한 편익의 계량화는 타당성분석의 신뢰성 향상으로 사업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Legal System for Landscap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Failities in Japan (일본의 국립공원 경관관리를 위한 시설물정비에 관한 법제도적 특성)

  • 신익순;배중남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3
    • /
    • pp.183-198
    • /
    • 2000
  • 본 연구는 일본 국립공원의 경관관리를 위한 법제적 내용특성 중 공원시설물을 위주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적 기준인 일본의 자연공원법규의 내용을 경관관리 측면에서 정리한 후. 아소. 쿠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계획서의 내용을 정리하여 전국적 기준과 지역적 관리기준의 차이를 파악하면서 국내범규와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자연공원법규 중 우리 나라와 차이가 있는 공용제한의 내용과 공원계획의 내용 및 공원시설물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공원 내 각종행위에 관한 심사기준이 법제화되어 있음이 조사되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 있어서 법적인 근거는 없으나 집단시설지구에서의 이용허가 및 규제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국립공원관리소장이 작성하는 관리계획은 보호, 유지할 지역의 경관자원을 명확히 하면서 각종 시설물의 건설행위에 대해 그 규모, 위치, 색채, 디자인 관련 사항 등에 관하여 관리지침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n Analysis o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 Joo, Shin-h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1
    • /
    • pp.80-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ion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is study overviews currents methods of maki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by group interview with hands-on workers. Thirty-two case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re reviewed to analyze the forms and contents of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urban vision and city slogans are fairly similar to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writing dir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by consulting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visions of upper plans. These writing methods are able to enhance the consistency of each chapter i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sistency betwee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pper plans. Thus, it is desirable to revis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ith this method. The current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in the form of a city slogan. But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not a means of publicity and transformational use. So, the form of the vision needs to be revise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urban vision, and city slogan. There is a closer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rban vision than city slogan.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beneficial to write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plan. Henceforward,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consistency detailed contents in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