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고그림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담뱃갑 경고그림 및 메시지 효과 분석 - 흡연자, 비흡연자와 금연자를 중심으로 (Analysis for Effectiveness of Cigarette Warning Picture and Message - Focusing on Smoker, Non-smoker, Ex-smoker)

  • 서연희;김우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87-194
    • /
    • 2019
  • 본 연구는 흡연 여부(흡연집단, 비흡연집단, 금연집단)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 및 메시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거주하는 성인 대상으로 총 21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4일부터 6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진행 방법은 보건복지부의 경고그림위원회에서 선정한 2016년 담뱃갑 경고그림과 경고메세지 10종(심장질환, 뇌졸중, 폐암, 후두암, 구강암 등)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담뱃갑 경고그림과 경고메시지의 노출 후 흡연여부에 따른 금연의도는 흡연자, 비흡연자와 금연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6.08, p<.001). 따라서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흡연자의 금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TV 금연공익광고를 포함한 담뱃갑 경고그림 및 경고메시지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것을 제언한다.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이 경고그림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Cigarette Advertising Method on the Recognition of Warning Pictures)

  • 김세훈;이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81-288
    • /
    • 2018
  • 담배 경고그림은 가장 대표적인 금연정책 중 하나로 흡연의 위해성을 그림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금연을 유도하는 효과적 흡연 억제 방안이다. 그러나 최근 소매점에서의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그림의 효과를 약화시켜 담배 구매의 도를 유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담배의 광고방식이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신제품 광고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신제품 담배광고와 일반광고 사례의 인지 정서적 영향과 구매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 그림의 인지 정서적 효과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쳐 담뱃갑 경고그림 본연의 목적에 반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신제품 담배 광고의 방식에 대한 규제 기준과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담배에 부착된 담뱃갑 경고 그림이 금연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garette Warning Sign Attached to Cigarettes on Smoking Cessation Effects)

  • 이태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45-52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담뱃갑 흡연 '담뱃갑경고그림'이 흡연자의 금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금연 및 건강관련 보건자료의 기초로 사용할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네이버 웹상에서 20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네이버 폼 설문지를 이용해 블러그와 카페 등을 이용하여 2018년 10월1부터 10일간 조사하여 응답이 미흡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500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는 SPSS WIN20.0을 이용한 요인 분석, T-검정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인체해 유해한 담뱃갑 경고 그림이 금연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연효과는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설문 전 의식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자에게는 가장 민감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담뱃갑 경고 그림의 다양화와 경고그림의 정기적인 교체 등은 금연 본능을 억제시키는 기전으로 작동함에 따라 향후 금연예방의 실천적 방안을 제안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흡연경고 그림은 언론이나 매체를 통해 널리 홍보하여 국민들에게 금연을 실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국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Teenage Smokers)

  • 박혜린;왕연주;김경범;김봄결;권오휘;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8-126
    • /
    • 2020
  • 이 연구는 흡연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흡연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담뱃갑 경고 그림과 금연 시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8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흡연자인 청소년 3,72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변수 측정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흡연 관련 요인들을 보정한 후 다변수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현재 흡연자인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 그림 인지율은 84.7%였으며, 그 중 금연 시도율은 72.8%이었다. 다변수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와 담뱃갑 경고그림 인지 여부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 스트레스 인지, 담배 구매 용이성도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흡연 청소년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담뱃갑 경고그림 제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성화 고등학교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그림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cigarette warning label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smoking adolescents -with focus on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박수현;박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3-296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smoking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5 smoking adolescents attending two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who had witnessed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within the previous 30 day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Ver. 25.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 threat perception (𝛽=.14, p=.037) after witnessing a cigarette warning messa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reactance (𝛽=-.23, p=.001)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ion: When designing and developing a message for smoking adolescents, customized messages are required to reflect teenagers' characteristics and raise threat perception and lower psychological reactance. In addition, we propose a future study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various psychological determinants, including self-efficacy and skills, on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among smoking adolescents.

한국에서의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과정 분석연구: 국회 보건복지위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Process of the Tobacco Graphic Health Warning Law in Korea: Analysis on the National Assembly Minutes)

  • 황지은;조성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9-288
    • /
    • 2016
  • Graphic health warning on the tobacco product package is a cost-effective tobacco control policy to convey information on harmful effect of tobacco use to health, and it is known not only to motivate smokers to quit but also to deter adolescents from start smoking. In case of Korea, amendments to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requiring implementation of graphic health warning had been submitted 13 times, from 2002 to May 2015. In May 2015, the amendment had been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it enters into force on December 23, 2016.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scussions from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phic health warning in order to study decision making process of legislator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hift from a general opposition on implementing graphic health warning at first to a harsh conflict over relaxation of the regulation once discussing the implementation in earnest. Particularly, while the group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phic health warning or opposing relaxation advocated the amendment with scientific and knowledge-based evidences includ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the group opposing the adoption of the amendment itself or suggesting relaxation tended to defend their position with empathy on smokers or tobacco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