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빙기후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ong-term Variation of the Freezing Climate near the Han River and Seoul in Korea (서울 관측소와 한강 결빙 기후의 장기 변동)

  • Oh, Su-Bin;Byun, Hi-R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7
    • /
    • pp.761-769
    • /
    • 2011
  •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freezing data of the Seoul weather station ($37^{\circ}$34'N, $126^{\circ}$57'E, Songwol-dong Jongno-gu Seoul, hereinafter Songwol) and freezing data of the Han River station ($37^{\circ}$30'N, $126^{\circ}$57'E, hereinafter Han River) were used to study the long-term variation of the freezing climate for Seoul, Korea, for the period of 100 years from 1907 to 2006. 'Freezing' of Songwol is defined that the water in outdoor fields is frozen, and 'freezing' of the Han River located 6 km away from Songwol is defined as the region 100 meters upstream of the second and fourth piers in the south end of the Han River Bridge is fully frozen. The mean first freezing date for Songwol was October 28, and one for Han River was December 28; these showed a late tendency, with the rate of 0.78 days $decade^{-1}$ and 3.47 days $decade^{-1}$, respectively. The mean annual freezing days was 159.06 days for Songwol and 50.33 days for Han River; each showed a $decade^{-1}$shorter tendency, with rates of 2.01 days $decade^{-1}$ and 5.24 days $decade^{-1}$, respectively. All the seven no-freezing years (1960, 1971, 1972, 1978, 1988, 1991, and 2006) for Han River came after 1950. The mean daily minimum temperatures of the first freezing dates for Songwol and Han River were $0.55^{\circ}C$ and $-12.22^{\circ}C$. The first freezing occurred after 6.43 days for Songwol and after 8.94 days for Han River with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0^{\circ}C$. The annual minimum temperatures of Songwol and Han River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rst freezing dat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freezing days. The result shows that the freezing climate change is relevant to temperature change and is a part of overall climate change. By conducting additional studies with various methods and wider region, we will be able to monitor the freezing climate.

Atmospheric Icing Effects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Wind Turbine Blade (풍력 블레이드의 결빙에 의한 공력특성 및 성능 변화)

  • Park, Ji-Ho;Myong, Rho-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2
    • /
    • pp.134-143
    • /
    • 2014
  • A significant degradation i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wind turbine system can occur by ice accretion on the surface of blades operated in cold climate. The ice accretion can result in performance loss, overloading due to delayed stall, excessive vibration associated with mass imbalance, ice shedding, instrumental measurement errors, and, in worst case, wind turbine system shutdow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ce accretions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wind turbine blade sections a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modern CFD method. In addition,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ree-dimensional wind turbine blade system through the blade element momentum method. It is shown that the thickness of ice accretion increases from the root to the tip and the effects of icing conditions such as relative wind velocity play significant role in the shape of ice accretion.

Origin and Post-depositional Deformation of the Superficial Formations Covering Basalt Plateau in Chungok area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 김남신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8 no.1
    • /
    • pp.43-68
    • /
    • 1994
  • 전곡리 일대는 화산지형, 단층지형, 구석기 문화연구 등 여러 분야의 학문적 관심이 집중된 지역이다. 본 연구는 박편 분석, 물리화학 광물분석등이 수단을 활용하여 전곡리 용 암대지를 덮고 있는 피복물의 형성과 퇴적 후의 변화과정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여기서 다 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수 있었다. 전곡리 용암대지는 Riss-Wrm 간빙기에는 별로개석되 지 않았다가 Wrm 빙가에 들어와 인근 황해의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개석된 것으로 추정 된다. 그리고 Wrm빙기 전기간에 걸쳐 용암대지에는 건육화된 황해와 인근 하천(한강, 임 진강) 범람원에서 바람에 의해 날려온 미립물질이 약 8m 이상 퇴적되었다. Wrm 빙기후 기에는 이풍적토(Loess)가 여름에도 녹지 않는 결빙층이 발달했을정도의 한랭 습윤했던 기 후의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일련의 크랙(엽상구조를 이루는 수평크랙과 불규칙한 수직 방향크랙)들이 발달했고 풍적 물질의 미시적 조직과 구조도 많이 변화했다. 또한 결빙작용 으로 변형된 구조의 규제를 받으며 gleyzation 이 진전되었다. 단면 관찰에서 회백색 얼룩과 붉은 또는 검붉은 얼룩이 복잡하게 섞여 있는 모습은 바로 이것이 진전된 결과이다, 그간 발굴된 구석기 유물들은 결빙구조 및 gleyzation의 흔적이 잘 나타나는 부의에서 출토되었 다, 이사실은 본 지역의 구석기 인류가 생활했던 시기는 Wrm 빙기에서도 이러한 한랭 기후가 있기 이전이었음을 시사한다.

  • PDF

Snow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IoT Snow Melting in the state of Snow Analysis (스노우 분석상황을 위한 IoT 스노우 정보서비스 시스템)

  • Oh, Ryum-Duck;Roh, Hyeon-Soo;Jamshid, Umarov;Amon, Olimov;Kim, Yong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11-11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후 상황에 따라 노면에서 눈이 계속 쌓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도로결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노우멜팅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급변하는 기상상황에 대응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시스템 기반의 스노우멜팅에 대해 설명하고 기존의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할 IoT기반의 스노우멜팅을 제안하여 지역별 기후편차를 이용한 기후상황을 예측하고 운영 및 제어 시스템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 PDF

Analysis on Changes of Daily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in Climate Indices over Republic of Korea (기후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일기온 및 일강수의 변화 분석)

  • Lee, Hyo-Shin;Shin, Jin-Ho;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75-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6개 지점(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에서 관측한 약 100년간(1912-2009년, 단 1950-1953년 제외)의 일최고/최저기온 및 일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로 다양한 기후지수를 산출하고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온 관련 기후지수로는 여름일수, 영하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열대야일수, 냉방도일, 난방도일, 일교차, 식물성장일수, 일최고/최저기온의 월최고값 및 월최저값 등을 분석하였으며, 강수 관련 기후지수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수강도, 호우일수, 미우일수, 최고 일강수 및 5일 연속 최고 강수량, 연속건조일수 및 연속습윤일수, 극한 강수일의 강수량 등을 계산하였다. 다음은 6개 지점의 기후지수를 평균한 결과이다. 6개 지점 모두에서 최저기온의 상승률이 최고기온의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분석기간 동안 일교차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0.12^{\circ}C$/10년)을 보였고, 최저기온에 근거한 기후지수인 서리일수 (최저기온이 $-5^{\circ}C$ 미만, -2.6일/10년), 영하일수(최고기온이 $0^{\circ}C$ 미만, -1.0일/10년) 등의 감소와 평균기온의 상승에 따른 성장계절길이(growing season length)의 증가(+3.53일/10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강수와 관련된 주요변화로 미우일수(일강수량이 1 $mmday^{-1}$ 이하)는 감소(-0.75일/10년)했지만, 10 $mmday^{-1}$ (+0.32일/10년), 20 $mmday^{-1}$ (+0.27일/10년), 30 $mmday^{-1}$ (+0.25일/10년), 50 $mmday^{-1}$ (+0.17일/10년), 80 $mmday^{-1}$(+0.09일/10년) 이상 내린 강수일수는 증가하였다. 강수강도(강수량이 1 $mmday^{-1}$ 이상일 때의 강수량과 강수일수 기준)는 0.23 $mmday^{-1}$/10년로 증가했다.

  • PDF

Research on black ice detection using IoT sensors - Building a demonstration infrastructure - (IoT 센서를 이용한 블랙아이스 탐지에 관한 연구 - 실증 인프라 구축 -)

  • Min Woo Son;Byun Hyun Lee;Byung 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3-263
    • /
    • 2023
  • 블랙아이스는 눈에 쉽게 구분되지 않아 많은 교통사고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의 서리/결빙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122명, 적설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40명으로, 블랙아이스는 적설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의 다양한 연구에서 블랙아이스 생성조건을 기압과 한기 축적등의 조건에서 예측해왔지만, 이러한 기상학적 모델은 봄철 해빙기의 일교차로 인한 눈의 해동과 재냉각과 같은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의 블랙아이스 탐지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이미지 판별과 딥러닝모델(YOLO 등)을 기반으로 한 센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충분한 컴퓨팅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블랙아이스 탐지까지 걸리는 속도가 빠르지 못한 편으로, 블랙아이스 초입 구간에서의 제동에 취약하다는 잠재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블랙아이스의 주 원인인 서리나 어는비가 발생하기 위해서 주변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하, 노면온도와 이슬점이 어는점보다 낮아야 함을 이용, IoT 센서 모듈을 통해 Magnus 방정식으로 계산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사용하는 이동식 블랙아이스 추정 장치를 제시한다. 본 장치는 대기압, 온도, 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통한 서리발생 가능성과 대기 온도, 노면 온도를 통해 어는비의 발생환경 여부를 계산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블랙아이스 추정과 기상정보 생산을 동시에 가능케 하며, 추정 결과를 통합 수집서버에 전송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전방 블랙아이스 위험 구간을 조기에 전달하는 시스템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운전 시 결빙 미끄러짐 사고를 저감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f Soyang Reservoir and Chungju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가용수자원 평가)

  • Choi, Sung-Gy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151
    • /
    • 2007
  •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의 영향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전 지구적인 온난화 추세를 상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및 집중호우의 증가 추세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여 가용 수자원의 변동이 커지고 있다. 추가적인 댐 건설이 어려운 상황이고, 댐 운영의 불확실성에 의한 현실적인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수적인 댐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예측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연구소에서 개발된 A2, B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다목적댐에서의 용수공급능력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규모 유역의 대표적인 다목적댐을 선정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유입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저수지 모의운영 기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각 댐의 신뢰도 95% 용수공급능력과 예상발전량을 산정함으로써 가용수자원을 평가하였다. 또한 다목적댐의 과거 실적 유입량 자료를 이용한 모의운영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과거 실적에 의한 결과와 비교할 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향후 국내 가용 수자원량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로부터 댐 운영에 있어서 홍수기의 안정적인 댐관리와 갈수기의 적절한 수자원 분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댐의 순기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댐별 방류량을 변동하여 하류 주요지점에 미치는 유황개선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댐의 효율을 최대화한 하류확보가능하천유지유량을 월별평균량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오염총량제 기준유량 및 환경용수의 법제화를 통한 하천유지용수의 증가시 비구조적 대책의 공급가능 최대량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다. 5. 초장의 절대치는 품종간에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조파구간에는 초장에 큰 변이가 없었고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짧아졌다. 초장의 신장속도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빨라지고 특히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더욱 가속적인 경향이었다. 따라서 최고초장과 최저초장과의 절대치의 차이는 조생종일수록 적고 만생종일수록 큰 격차를 보이었다. 6. 간직경에 있어서도 만생종은 일반적으로 조기파종할수록 굵고, 조생종과 중생종은 4월 25일 파종기가 가장 굵은 편이며 이보다 파종기가 지연 가늘어지는 경향이었다. 7. 간중은 품종의 조만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적기(4월 25일~5월 15일)보다 조기 혹은 만기 파종하면 작아지나 파종기 이동에 따른 간중의 변화는 품종의 조만성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여 조생종은

  • PDF

Design of PI Controller for Heated-Glass Temperature Control System (4 [kW]급 발열유리 온도제어 시스템의 PI제어기 설계)

  • Lee, S.H;Lee, C.Y;Kim, J.Y;Kim, I.D;Nho, E.C;Choi, C.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5-156
    • /
    • 2011
  • 겨울철 또는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선박과 건축용 등의 창유리에 결로, 결빙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시야확보가 어렵다. 이 현상들은 창유리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방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창유리의 온도는 바람과 기온 및 기후 변화 등의 외란에 민감하므로 일정한 온도 유지가 어렵다. 따라서 민감한 창유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PI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4 [kW]급 발열유리 온도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mber Information Design for Supporting Safe-Driving Under Local Road in Small-scale Area (국지지역에서의 안전운전 지원을 위한 경보정보 설계)

  • Moon, Hak-Yong;Ryu, Seung-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5
    • /
    • pp.38-48
    • /
    • 2010
  • Adverse weather (e.g. strong winds, snow and ice) will probably appear as a more serious and frequent threat to road traffic than in clear climate. Another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with a natural disastrous on road traffic is respond to traffic accident more the large and high-rise bridge zone, tunnel zone, inclined plane zone and de-icing zone than any other zone, which in turn calls for continuous adaption of monitoring procedures. Accident mitigating measures against this accident category may consist of intense winter maintenance, the use of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s for data collection and early warnings, road surveillance and traffic control. While hazard from reduced road friction due to snow and ice may be eliminated by snow removal and de-icing measures, the effect of strong winds on road traffic are not easily avoided. The purpose of the study described here, was to design of amber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safety, weather, user information on road weather and driving conditions in local-scale Geographic. The most applications are the optimization of the amber information definition, improvements to road surveillance, road weather monitoring and improved accuracy of user information delivery. Also, statistics on wind gust, surface condition, vehicle category and other relevant parameters for wind induced accidents provide basis for traffic control, early warning policies and driver education for improved road safety at bad weather-exposed locations.

Sea Level Fluctuation in the Yellow Sea Basin (황해 분지의 해수면 변동)

  • PARK, YONG AHN;KHIM, BOO KEUN;ZHAO, SONGLI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1
    • /
    • pp.42-49
    • /
    • 1994
  • A series of radiocarbon dating from intertidal, subtidal, and inner continental shelf deposits investigated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s well as from its offshore sea floor (namely, the eastern Yellow Sea Basin) how (1) the Holocene sea level rise, i.e., the ecstatic sea-level history during the oxygen isotope stage 1, and (2) pre-Holocene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oxygen isotope stages 2 and 3. Marine geophysical investigations in the Yellow Sea reported a possible development of desert and loses deposits due to dieselization under the cold and dry climate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he Kanweoldo deposit overlain unconformably by the Holocene intertidal deposits, which is mainly exposed along the tidal channels and intertidal flats in the Cheonsu Bay, the west coast of Korea, shows the characteristic cryogenic structure (cryoturbation). Such cryoturbation structure of the Kanweoldo deposit appears to indicate the cold and dry climate under the ecstatic sea-level paleoshoreline standing before and after of the pre-Holocene interstitial period (about 30000 y BP is suggested and its shoreline curve is constru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