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격조사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LKB (Linguistic Knowledge Building)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기 구축 -한국어의 동사성/형용사성 명사 구문의 전산처리를 중심으로-

  • 류병래;은광희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79-99
    • /
    • 2003
  • 한국어의 동사성 명사와 형용사성 명사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문장의 서술어 역할을 하는데 이때에 명사는 보어 자질을 경동사에 전달하고 이렇게 결합한 후에 생성되는 서술어 복합체가 술어로 역할 한다. 이번 구문분석 시스템 연구에서는 LKB 시스템을 통해 한국어에서 체언과 결합하는 격조사의 처리와 용언과 결합하는 어미의 처리 및 동사/형용사성 명사가 경동사에 보어 자질을 전달하여 술어 복합체를 이루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 PDF

한(韓)·일(日)·유(琉) 격조사 비교연구 - 주격(主格)·목적격(目的格) 조사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Case Markers in Korean,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Focusing on Nominative Case Markers and Accusative Case Markers)

  • 이갑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355-377
    • /
    • 2017
  •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 세 언어는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 세 언어의 문법 범주인 격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격조사의 형태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세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중세국어시기부터 이미 상당한 형태상의 차이가 남을 밝혔다. 형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언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기능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가 다른 조사로 나타나는 경우 세 언어는 각각 차이점을 보였다. 한국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다 보조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주격조사가 접속조사로 사용될 수 있고 목적격조사는 간투조사(間投助詞)로 사용될 수 있다. 유구어의 주격조사는 일본어의 주격조사와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대등접속구문과 미지격 명사구의 문법기능 결정 (Grammatical Role Determination of Unknown Cases in Korean Coordinate Structures)

  • 이용훈;김미영;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543-545
    • /
    • 2003
  • 한국어의 정확한 구문분석물 위해서는, 격조사가 존재하지 않고, 보조사와 함께 쓰이거나 영사만으로 구성된 미지격 명사구들의 정확한 문법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긴 문장의 효과적인 구문분석을 위해 대등접속구문을 파악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한국어의 긴 문장의 대등접속구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미지격 명사구의 문법기능을 결정하고 이 문법기능정보를 이용하여 동시에 대등접속구문의 구간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단위 명사간 보-술 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복합 명사의 문장 복원 (Restoring Functional Word and Noun-Verb Syntactic Relations for Korean Compound Noun Analysis)

  • 양성일;김영길;서영애;박은진;나동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94-695
    • /
    • 2007
  • 한국어 문장의 구성은 명사, 동사와 같은 내용어와 조사, 어미와 같은 기능어로 크게 나눌 수있다. 문장의 핵심적인 의미 전달은 내용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한국어 명사구의 경우 잦은 기능어의 생략으로 명사 나열에 의한 복합 명사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복합 명사를 구성하는 단위 명사들은 일부 문장 성분을 생략시켜 발생된 것으로, 생략 성분의 복원에 의해 본래의 문장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한국어 복합 명사의 경우, 생략되는 문장 성분은 대부분 접사, 조사와 같은 기능어로 국한되며, 기능어의 복원은 단위 명사 간의 격 관계와 의미 관계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 명사간의 보-술 관계를 이용하여 복합 명사를 구성하는 단위 명사 간의 의존 관계를 추정하고, 추정된 의존 관계에 의해 생략된 격조사와 용언화 접사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조 분석에서 사용되는 의미 격틀에 의해 결정되는 격 관계는 격조사와 용언화 접사의 복원을 결정하며, 올바른 본래의 문장 표현 복원을 위해 관형격 조사와 관형격 어미를 비롯한 특별한 형태의 복원은 통계 정보와 휴리스틱 규칙으로 결정한다.

  • PDF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관형격조사 'no'의 복원 (Restoration of Adnominal Case 'no' in Korean-to-Japanese MT System)

  • 정유진;허남원;이종혁;김태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15-120
    • /
    • 1999
  • 기존의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는 합성명사의 번역시 별도의 처리과정을 두지 않고 단순히 단어 각각을 일본어로 직역하여 변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명사의 번역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잘 적용되지만, 매우 부자연스러운 일본어 표현이 되는 경우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번역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합성명사를 관형격조사가 삽입된 명사구로 변환시키기 위해 표층 레벨에서의 어휘간 결합력과 명사 간의 의미 관계를 이용한 관형격조사 'no'의 복원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일본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술어기반 문형정보를 이용한 자동요약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utomatic Summarization System Using Verb-Based Sentence Patterns)

  • 최인숙;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5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주제분야의 텍스트를 대표할 수 있는 단어술어를 추출하고 기본문형을 형성 한 후 각 단서술어의 기본문형을 실례화하여 연결함으로써 요약문을 작성하는 자동요약시스템의 모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시스템은 학습과정과 요약과정을 구분되며, 학습과정에서는 술어와 격조사를 출현빈도를 이용하여 주제분야 텍스트집단을 대표하는 단어술어와 필수격 조사를 추출한 뒤 단어술어가 이루는 문장의 기본문형을 형성한다. 요약과정에서 실례화 규직을 요약 대상 문장의 구문 분석 결과에 적용하여 기본문형의 격조사와 결합될 논항을 찾아 단문을 생성하고 연결하여 요약문을 완성한다. ‘화재’및‘강도’와 관련된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작성된 요약문은 단어술어가 포함된 주요 문장에서 추출한 필수 정보항목과 술어를 중심으로 생성된 문장들로서 문장간의 연결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텍스트의 전체적인 의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주제영역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 PDF

중국 조선족 아동들의 한국어 문법 기능 습득 (Acquisition of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by Korean-Chinese Children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 이귀옥;김형재;이혜련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spontaneous utterances of 20 1-2 year old Korean-Chinese children in Yanji, China by videotaping their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for 30 minutes on 4 separate occasion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then analyzed by grammatical func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order and pattern of the acquisition of the case marking system of Korean-Chinese bilinguals differed from that of Korean monolinguals. Bilinguals used the accusative marker -lul earlier than the nominative marker-ka and overextended the accusative marker more often than the nominative mark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Gathercole (in press) who found that bilingual children differed from monolinguals in mastering grammar.

  • PDF

격조사 사용의 발달 및 오류분석 (Developmental usage and errors of Korean grammatical markets)

  • 김수진;오종필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23-22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grammatical markers of Korean speaking children(from 3 to 8 years old) and adults. Participants had no problem of speech and languag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usage of grammatical markers were increasing from 3 to 8 years old even though it was still increasing after 8 years old. Specifically, they used subjective marker and adverb marker at all ages in large. A few adjective marker were used at all age group including adults. But the frequency of objective marker is increasing from 3 to adults. The pattern of usage is getting similar to adult's. The present study was also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rrors of grammatical marker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among the age-groups. The substitution errors wer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all age-groups.

  • PDF

한국어의 어순과 격 할당에 대한 전산적 처리 (A Computational Treatment of Word Order and Case Assignment in Korean)

  • 이기용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31-438
    • /
    • 2001
  • 일반적으로 한국어 문장에서 명사는 용언의 항가(valency)에 의해 격이 할당된다. 그러한 이유로, 한국어는 용언이 문장 끝에 온다는 일반적인 제약 이외에는 그 어순이 비교적 자유롭다. 그러나 격 할당과 자유 어순에 대한 여러 가지 비규칙적인 현상들 때문에 문장 분석이나 생성에 문제가 일어난다. 예를 들면, "나 머리 아프다"에서처럼 명사에 격조사가 표시되지 않고 문장이 생성될 수도 있고, "은/는"이나 "도"와 같은 특수조사와 결합할 때는 그 격이 드러나지도 않는다. 어순의 경우, "물이 얼음이 되었다"=/= "얼음이 물이 되었다" 에서처럼 주격이 이중으로 나타나면 어순이 자유롭지 않는 반면, 용언의 어미가 문장 종결형일 때에는 "어서 가자 백두산으로"에서처럼 용언이 문미에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의 어순과 격 할당에 관한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보이는 것이 그 목적이다. 문제를 가급적 명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문장 분석과 생성에 대한 규칙과 제약 조건들을 형식화하고 문장 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격 할당과 어구 결합 및 배열 과정을 malaga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여 실험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