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oring Functional Word and Noun-Verb Syntactic Relations for Korean Compound Noun Analysis

단위 명사간 보-술 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복합 명사의 문장 복원

  • Yang, Seong-Il (NLP Team, Speech/Language Technology Research Center, ETRI) ;
  • Kim, Young-Kil (NLP Team, Speech/Language Technology Research Center, ETRI) ;
  • Seo, Young-Ae (NLP Team, Speech/Language Technology Research Center, ETRI) ;
  • Park, Eun-Jin (NLP Team, Speech/Language Technology Research Center, ETRI) ;
  • Ra, Dong-Yul (Div. of I.T., Yonsei University)
  • 양성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언어연구센터 언어처리연구팀) ;
  • 김영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언어연구센터 언어처리연구팀) ;
  • 서영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언어연구센터 언어처리연구팀) ;
  • 박은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언어연구센터 언어처리연구팀) ;
  • 나동렬 (연세대학교 정보기술학부)
  • Published : 2007.05.11

Abstract

한국어 문장의 구성은 명사, 동사와 같은 내용어와 조사, 어미와 같은 기능어로 크게 나눌 수있다. 문장의 핵심적인 의미 전달은 내용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한국어 명사구의 경우 잦은 기능어의 생략으로 명사 나열에 의한 복합 명사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복합 명사를 구성하는 단위 명사들은 일부 문장 성분을 생략시켜 발생된 것으로, 생략 성분의 복원에 의해 본래의 문장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한국어 복합 명사의 경우, 생략되는 문장 성분은 대부분 접사, 조사와 같은 기능어로 국한되며, 기능어의 복원은 단위 명사 간의 격 관계와 의미 관계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위 명사간의 보-술 관계를 이용하여 복합 명사를 구성하는 단위 명사 간의 의존 관계를 추정하고, 추정된 의존 관계에 의해 생략된 격조사와 용언화 접사를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조 분석에서 사용되는 의미 격틀에 의해 결정되는 격 관계는 격조사와 용언화 접사의 복원을 결정하며, 올바른 본래의 문장 표현 복원을 위해 관형격 조사와 관형격 어미를 비롯한 특별한 형태의 복원은 통계 정보와 휴리스틱 규칙으로 결정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