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Case Markers in Korean,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Focusing on Nominative Case Markers and Accusative Case Markers

한(韓)·일(日)·유(琉) 격조사 비교연구 - 주격(主格)·목적격(目的格) 조사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0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Compared with other Altaic languages,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are much closer to each other in grammar, and also to Ryukyuan languag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Korean people are the first foreigners to record Ryukyuan language in a written form. In the passage "pronunciation interpreting the Ryukyuan Kingdom" from A Journey to the Eastern Countries (1512), Korean people perfectly preserved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s of words and sentences in Ryukyuan language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which is an extremely valuable material. Unfortunately, the later time period witnessed stagnation after a prominent beginning. In order to clarify the language family to which Korean belongs to,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mpare Korean language with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Different from lexis, grammar underwent a slow and gradual process of vari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languages can provide strong evidence for defining the language family of Korean.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mparison of grammar elements of these three languages, aiming at case markers including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and observe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examples from the medieval data, it is found that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of these three languages vary from each other in forms and origins. Although they show some similarities in function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re is no cognate for the three languages in the history.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 세 언어는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 세 언어의 문법 범주인 격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격조사의 형태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세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韓國語) 일본어(日本語) 유구어(琉球語)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중세국어시기부터 이미 상당한 형태상의 차이가 남을 밝혔다. 형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언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기능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가 다른 조사로 나타나는 경우 세 언어는 각각 차이점을 보였다. 한국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다 보조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주격조사가 접속조사로 사용될 수 있고 목적격조사는 간투조사(間投助詞)로 사용될 수 있다. 유구어의 주격조사는 일본어의 주격조사와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