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텍스트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Game Criticism: Meta-analytical Approach to Game Critiques (게임비평에 대한 연구 : 게임비평 텍스트의 메타분석적 접근)

  • Jeon, Gyongr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3
    • /
    • pp.19-30
    • /
    • 2013
  • Digital games have become a major part of the modern popular culture,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understanding the textuality of games and what the game texts have the cultural meanings. As the games develop, however, the academic and journalistic game critiques and reviews that try to understand and to deconstruct the game texts are on the ris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game criticism characterizes the game texts, creates and shapes the understanding of games. The finding shows that game criticism is rich and varied in terms of themes and approaches covered, more generally, games criticism can also help preserve game history by focusing on the distinctive game textuality, forms and meanings, and by contextualizing the links and cultural meanings that exist between games and between games and the cultural context.

A Study on Transtextuality and Effect on Replayability of Easter Eggs in Digital Games (디지털 게임에 나타난 이스터에그의 트랜스텍스트성과 리플레이어빌리티의 향상 연구)

  • Nam, Seo-Hyun;Han, Hye-W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2 no.1
    • /
    • pp.3-18
    • /
    • 2022
  • This study focuses on transtextuality of Easter egg and its effect on replayability. This paper categorizes Easter eggs of digital game into five types based on game elements, and applies Gerard Genette's transtextuality theory by analyzing function and meaning of Easter eggs based on quotation, allusion, and annotation of intertext and paratext. In conclusion, Easter eggs as transtext form game ritual by linking inside and outside of the game, as well as developers and players. Through this process, Easter egg enhances replayability of digital games by extending the narrative of the game.

구조생성기호학적 관점에서의 디지털게임의 의미생성방식 연구 - 스타크래프트, 리니지, 스페셜포스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 Park, Tae-Sun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41-43
    • /
    • 2009
  • 게임에서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 그레마스의 구조생성기호학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연구방법론에서는 현상학, 해석에서는 정신분석학의 이론에서도 도움을 받았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는 온라인게임인 스타크래프트, 리니지, 스페셜포스를 선택하였다. 연구문제는 이들 세 게임의 의미생성방식에 대한 탐구로 구성되었다. 각 게임의 의미생성방식은 구조생성기호학의 세 가지 층위에서 구분되어 연구되었다. 즉, 심층구조, 기호-설화구조, 담화구조의 세층위로 전환, 발화되면서 점진적으로 의미가 풍성해지는 과정이 탐구되었다. 각 게임의 차이, 나아가 게임 장르간의 차이는 주로 심층 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보인다. 이들 게임의 주요 공통점이자, 다른 매체와의 차이점은 행동자 모델에서 두드러지는데, 바로 이용자가 스스로 주체의 위치를 점하게 되는 것이다. 상호작용성으로 대변되는 게임의 특성은 이용자의 텍스트로의 적극적인 개입을 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적극적인 개입은 이용자가 스스로 텍스트의 주체가 되도록 허용하는데, 주체가 된다고 함은 곧 스스로의 욕망을 직접 대상에 투사하면서 텍스트를 창출함을 의미한다. 바로 이러한 점이 게임의 의미생성방식의 큰 특징이며 다른 매체들과의 주요한 차이점이기도 하다. 더불어 게임이 우리 문화와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제임이 입증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Study on Explicitation Strategy in English-Korean Game Translation A Case Study of 'League of Legends' - (영한 게임 번역에서의 명시화에 관한 고찰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

  • Kim, Hong-k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3
    • /
    • pp.117-132
    • /
    • 2021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formation game users needs to play game is offered to game user by applying the notion of explicitation toward translated game texts. By using League of Legends' Character lines, Character Abilities and Equipment Description texts as a case, this paper focused on how 'Insertion(addition)' and 'Replacement' method are applied toward game translation and which information is being explicitated.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out that translation on Player vs. Player genre game, explicitation occurs by adding or replacing words containing information needed, and information about game control was prioritized among other information related with game universe and culture.

Gameplay as a Semiotic Interpretation (기호 해석 활동으로서의 게임 플레이 연구)

  • Lyou, Chul-Gyun;Cho, Sung-He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9 no.3
    • /
    • pp.67-75
    • /
    • 2009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semiotic interpretation in digital gameplay and define layers of meaning which is provided by a game designer and a player. The primary author of the digital game is a game designer; however, to accomplish the whole meaning of the digital game, there must be a player's action. In digital games, the game designer leads to player's action and the player progresses the game at her desire. During the gameplay, each of the intention clashes and coincides through the semiotic interpretation. It can be classified under five sections that represent the game designer, the player and the game text.

  • PDF

Perspectives of Game in Terms of Interactivity between Game Texts and Players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의 인터랙티브적 관점에서 본 게임의 시점)

  • Kihl, Tae-Suk;Chang, Jun-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3
    • /
    • pp.51-59
    • /
    • 2008
  • This article focuses on perspectives of game in terms of interactivity between game texts and players. There are many points of view which have been discussed, such as first person point of view, third person point of view, top-down point of view, side-view point of view, quarter-view point of view, and isometric point of view, but they are too insufficient to fully explain the perspectives of gam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teractivity.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of player and game manufacturer as implied authors on interactive point of view, and discusses the perspectives of game through a sense of distance between players as implied author and player characters.

  • PDF

Analysis of VR Game Trends using Text Mining and Word Cloud -Focusing on STEAM review data- (텍스트마이닝과 워드 클라우드를 활용한 VR 게임 트렌드 분석 -스팀(steam) 리뷰 데이터를 중심으로-)

  • Na, Ji 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2 no.1
    • /
    • pp.87-98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technology and increased demands for non-face-to-face services, VR games attract attention. This study collected VR game review data from an online game platform STEAM and analyzed chronical trends using text mining and word cloud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experience and perceived cost were major trends from 2016 to 2017, increased demands for FPS and rhythm games were from 2018 to 2019, and story and immersion were from 2020 to 2021. It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e of VR games by identifying the keywords VR users take interest in by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with Figurative Approach in Location based Games (위치기반게임의 이동성 반영 구조에 관한 문채적 접근: <패러랠 킹덤(Parallel Kingdom)>을 중심으로)

  • Kwon, Boh-Yo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2
    • /
    • pp.33-42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location based game focused on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mobility.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extend the understandings of game mobility from technical side toward rhetorical territory. Christian Metz's film theory is appropriate for analysis of the game which is visual and combinational text. According as research findings, structuralize 5-layered spatial maps. And this kind of multi-layering structure generates figurative operations. Adaptive mobility by metaphor, it reflects player's real world movement into the virtual space. Metonymy brings given mobility, it reflects character's movement through all of the virtual maps.

Supporting Media Messages on a Text based Chatting (텍스트 기반 채팅에서 미디어 메시지의 지원)

  • 김경덕;여재욱;조우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83-285
    • /
    • 2001
  • 본 논문은 텍스트 기반 채팅에서 다양한 미디어 메시지를 대화 행위에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텍스트 기반 채팅은 단순한 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미디어의 전송 및 공유 뷰(view)의 지원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XML과 XSLT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며, 미디어에 대해서는 앵커를 사용하여 웹브라우저에 프레젠테이션을 지원한다. 그리고, XML 태그의 확장 및 변경으로 다양한 효과의 생성과 변경이 용이하다. 이러만 미디어 메시지의 지원으로 다양한 대화 행위의 지원이 가능하며, 응용 분야는 온라인 교육, 게임 등이다.

  • PDF

Tutorial user interface analysis in virtual reality games (가상현실 게임에서의 튜토리얼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석)

  • LEE, Yuryeon;Kim, Guyeop;KIM, Hyun K.;Lee, Danbi;Kim, Gayoung;Lee, Juwan;Park, S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54-56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용 가상현실 게임 튜토리얼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와 고려사항을 파악하여 튜토리얼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개발 중인 가상현실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기반으로 튜토리얼이 제공되어야 하는 사용자 과업을 도출하였다. 그 후 상용화된 가상현실 게임을 직접 사용해 봄으로써 가상현실 게임 튜토리얼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가상현실 게임 튜토리얼은 텍스트 형태의 게임 방식과 컨트롤러 그림 기반의 인터페이스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가상현실 게임에서 튜토리얼 인터페이스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하는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고, 중앙으로부터 콘텐츠를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범위는 좌우 약 -77도 ~ 77도에 위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텍스트, 버튼, 색상 요소에 관한 가상현실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도 함께 수집하여 정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 과업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튜토리얼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가상현실 게임 튜토리얼 인터페이스 제작 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