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게임소프트웨어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6초

게임 소프트웨어를 위한 정형기법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Formal Methods for Game Software)

  • 손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52-58
    • /
    • 2007
  •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기획과 프로그래밍 및 그래픽의 조화가 필요하다. 이 중 기획과 프로그래밍 사이에는 소프트웨어 분석 및 설계가 필수적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게임 소프트웨어 분석 및 설계를 위해 일반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정형기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정형기법은 일반적으로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보다는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분야에 적용하여 많은 성공을 거두어왔다. 최근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게임 기획과 게임 프로그래밍 사이에서 효율적인 의사 소통을 통하여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과 품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형기법을 게임 소프트웨어의 분석 및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제안으로서 정형기법의 대표적인 기법들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분석한다.

게임엔진 개발 공정의 정형화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저장소의 설계 (A Component storage Design Supporting formalization of Game Engine Development Process)

  • 송의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5-41
    • /
    • 2003
  • 게임 엔진에서 처리하는 속성과 절차가 매우 유사한 많은 게임 소프트웨어들이 다른 게임 에서 참조하거나 재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게임을 개발할 때 게임엔진 부분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현재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사들이 게임을 개발할 때 매우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중복투자의 주된 문제점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게임엔진에 대한 프로세스의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현재 개발 중인 게임 소프트웨어에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생성된 산출물을 이해하고 재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어느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사가 특정 게임을 개발할 때 다른 게임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게임 엔진 처리에 대하여 새롭게 분석하고 설계하는 것이 현재의 게임 소프트웨어가 안고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게임 엔진 개발에 대한 공정개선, 구조와 관계성 분석, 계층별 모듈별 분류와 조합 방법, 저장소 구현, 프로세서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 모델 (An Evaluation Model of Game Software)

  • 정혜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15-125
    • /
    • 2007
  • 게임 소프트웨어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인기가 높아지면서 시장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게임 소프트웨어의 평가 모델을 연구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의 대표적인 국제 표준 모델은 ISO/IEC 9126이라고 보여진다. 특히 게임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와 개발자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품질이 상당히 중요하므로 국제 표준 모델을 준수한 평가 모델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메트릭을 제시하였다. ISO/IEC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국제 표준 문서를 기반으로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이식성, 유지보수성의 6가지 품질 특성이란 관점에서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 모델을 제시했다.

  • PDF

가상현실 야구 배팅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baseball batting game contents)

  • 윤태진;이민교;전진우;우현구;고일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41-4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VR(Virtual Reality)라는 가상 현실 시스템 개발 툴인 Unreal Engine4을 사용하여 블루 프린트(Blue Print)로 야구 배팅 게임과 장애물 격파 피칭 게임을 개발하였다. 배팅 게임은 가상의 투수로부터 공 속도와 공이 랜덤하게 자동으로 투구된다. 이 때 사용자가 게임 콘트롤러(Controller)로 가상 배트를 이용하여 공을 타격하면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이다. 장애물 격파 피칭 게임은 사용자가 게임 콘트롤러에 그립버튼을 눌러 데미지가 다른 공이 랜덤하게 바로 앞에 생성하여 이 공을 콘트롤러로 잡아서 장애물에 던져 격파하면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이다.

  • PDF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장애물 달리기 게임 개발 (Running game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 윤태진;민동현;박성준;박민진;이상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49-15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1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기술을 사용한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기존에 스마트폰에서 즐겨했던 템플런이라는 장애물 회피하며 달리는 게임을 모티브로 하여 가상현실기술로 구현하였다. 게임에서 카메라의 시점을 캐릭터에 장착하여 몰입감을 높이고 다양한 아이템 이벤트를 구현하여 게임의 난이도와 흥미요소를 높였다. 다양한 코스가 틀에 정해져 있지않은 무작위로 코스가 생성되어 기존에 장애물 회피하여 달리는 게임은 코스가 정해져 있어 게임의 난이도가 문제 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스와 아이템을 무작위로 생성하여 암기위주의 게임이 아닌 몰입도가 늘어난 장애물 회피하며 달리는 게임을 즐길수 있다.

  • PDF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사례 분석 (Analysis on Research Cases of Software Education related Game Programming)

  • 한정민;정웅열;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75-276
    • /
    • 2018
  • 디지털 혁명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필수적이다. 특히 게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에 적합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 PDF

컴포넌트 기반 게임엔진 개발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저장소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onent Storages for Developing Component-Based Game Engines)

  • 송의철;김정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2호
    • /
    • pp.267-274
    • /
    • 2005
  • 게임엔진에서 처리하는 속성과 절차에 있어 많은 유사성을 가지는 게임 소프트웨어들이 새로운 게임을 개발할 때 다른 게임에서 참조하거나 재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어 게임엔진 부분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게임엔진에 대한 프로세스의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생성된 산출물을 이해하고 재사용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사가 특정 게임을 개발할 때 다른 게임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게임엔진 처리에 대하여 새롭게 분석${\cdot}$설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게임엔진 개발에 대한 공정개선, 구조와 관계성 분석, 계층별 모듈별 분류와 조합 방법, 저장소 구현, 프로세서 모형을 제시하였다.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모델 (A Quality Evaluating Model for Web-based Game Software)

  • 이환;박해윤;최종무;유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B)
    • /
    • pp.152-155
    • /
    • 2011
  •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무선인터넷과 모바일을 주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이 발전하고 이에 따라 웹 접속 플랫폼이 다양해져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웹 기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고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인기가 높아지면서 시장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웹 기반 게임의 확산과 시장 규모에 비해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품질 모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를 위한 웹 기반 게임의 특성을 분석하고, 웹 기반 게임 품질 평가를 위한 품질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안한다. 이러한 품질 모델은 고품질의 웹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기여 할 수 있다.

키넥트를 이용한 동작 인식 댄스 게임 개발 (Dance Game Development using Motion Capture by Kinect)

  • 윤혜정;김광일;이정훈;이해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74-1377
    • /
    • 2013
  • 콘솔 게임은 게임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체감형 콘솔게임은 독자적인 시장을 구축해왔다. 하지만, 기존 콘솔 게임 소프트웨어는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고, 높은 비용을 요구하여 사용자에게 부담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저렴하고 쉽게 싫증나지 않도록 계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키넥트를 사용한 동작 인식 체감형 게임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콘솔 댄스게임에서는 자신을 모습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정한 동작만을 비교한다. 반면, 본 논문의 댄스게임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가능하며, 매 초 마다 전체 동작을 비교해 높은 정확도와 흥미를 부여한다.

게임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 평가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Quality Testing Model of Game Software)

  • 정혜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7-46
    • /
    • 2005
  • 컴퓨터가 여러 분야에 사용되어지고 그들의 정확한 운영이 종종 사업의 성공과 인간의 안전에 결정적이다.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최근 게임이 대중화 되어지면서 게임 소프트웨어의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게임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장르에 따라서 다소의 특징적인 면이 다르기 때문에 게임 소프트웨어를 평가 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환경변화로 인해서 온라인 게임은 널리 대중화 되었다. 현재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는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회사에서는 개발된 제품에 대하여 베타테스트를 거쳐서 좀더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개발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몇 개월간의 베타테스트를 거친 제품도 사용자 측에서는 사용 중 다양한 오류들을 경험하게 된다. 게임의 경우는 게임 환경과 기능성에서 오는 오류가 다양하므로 이것을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경험하게 되어지는 환경적인 요인과 기능적인 오류를 점검하여 품질평가 메트릭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자 관점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분석하여 게임 소프트웨어의 버그 체크리스트 작성하였다. 또한 버그체크리스트를 품질 평가 메트릭에 적용하였다. ISO/IEC 9126을 기준으로 품질평가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특히 신뢰성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 하기 위해서 버그체크리스트는 IS0/IEC 9126의 신뢰성 평가 메트릭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