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검토 항목

Search Result 1,0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erformance Test and Consideration of Three Phase EES System for Demand Side Management (수요관리용 3상 EES시스템의 성능시험 및 고찰)

  • Lee, Taeseung;Lee, D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486-4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3상 EES(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Electrical Energy Storage) 시스템의 성능시험에 관한 내용을 소개 및 분석하고, 시험데이터를 통한 시험방법의 적절성에 관한 의견을 제시한다. EES 시스템의 단체표준 규격을 검토하기 전에, 전력변환장치의 단체표준규격 (SPS-SGSF-025-4-1972 : 2016)과 EES 시스템의 일반사항 및 시험방법을 제시하는 단체표준 규격 (SGSF-025-5-1, SGSF-025-5-2)에 각각 명시된 형식시험 항목을 상호 비교 및 분석하고, EES 시스템의 형식시험 항목 중 특정 항목은 시험을 수행하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규격내의 평가기준 및 시험방법의 적절성 여부를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Software Reliability Quality Testing (소프트웨어 신뢰성 품질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

  • Jung, Hye-Ju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301-306
    • /
    • 2006
  • ISO/IEC 9126에 의하면 스프트웨어 품질 특성은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의 6가지 품질 특성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각 특성은 부특성으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부특성에 따른 평가 항목을 메트릭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품질 특성 중 신뢰성의 경우는 ISO/IEC 9126에서 제시한 부특성인 성숙성, 오류허용성, 복구성, 준수성에 따라 품질 평가 항목이 메트릭으로 제시되어져있다. 그러나 제시되어져 있는 신뢰성 평가 항목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델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하고 메트릭 값을 얻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나 수리적인 어려움과 데이터 수집에 따르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적용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현재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는 국제 표준 문건 ISO/IEC 25000 시리즈를 국내 표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 PDF

Accuracy Evaluation of Weighted Recruiting Information Search Result (가중치를 이용한 채용 정보 검색의 정확성 평가)

  • Kim, Hyoung-Rae;Jeong, Kyoung-Hee;Jeon, Do-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463-466
    • /
    • 2008
  • 취업 정보 시스템에서의 인재정보 및 채용정보의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일자리와 인재를 빠른 시간내에 검색하는 문제는 사용자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채용정보를 검색할 경우 채용정보 항목에 가중치 값을 적용했을 때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의 효과성을 검토한다. 채용정보 항목에 가중치 값을 적용했을 경우와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채용검색 결과를 취업정보 시스템 관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관련성 점수를 5점 척도로 평가한다. 실험결과, 채용정보 항목에 가중치를 적용하였을 때 관련 정확도 평가값이 더 높았으며, 상위 20개의 검색결과 평가값을 순위에 따라 정확성 추이를 살펴본 결과 순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울진 3&4호기 CFMS 화면설계의 인간공학적 검토

  • 정광태;이용희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171-178
    • /
    • 1996
  • CFMS(Critical Function Monitoring System)는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시에 운전원에게 보조장보를 제공하는 지원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울진 3&4호기 CFMS의 화면설계에 대한 인간 공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FMS에 대한 규제 및 법규를 만족시키는 것과 CFMS 화면설계가 운전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간공학적 타당성 평가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공학적 검토의 공식적인 체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CFMS 설계에서 필요한 인간공학 업무를 규정하고 수행절차를 기술하는 인간공학 프로그램 계획 (Human Factors Engineering Program Plan; HFEPP)과 설계평가의 방법과 업무 내용을 기술하는 확인 및 검증 프로그램 계획(Human Factors Engineerig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lan; HFE V&V Plan)을 개발하였다. CFMS 설계에 대한 인간공학적 확인 및 검증을 위하여 CFMS의 정보 가용성 (information availability)과 화면 적합성 (display suitability)을 확인하였다. 정보 가용성의 확인은 CFMS 설계 요건서에서 정의된 정보를 중심으로 한 필요정보의 목록과 CFMS 화면상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목록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되었다. 화면 적합성의 확인은 검토항목 선정, 검토양식 개발, 전문가 검토, 실험검토 등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관련 규제 문건으로 부터 규제요건상 만족해야할 최소한의 검토항목을 선정하고 검토양식을 개발하였으며, 인간공학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하 여 수행되었다. 또한 화면의 조작방식에 대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결과로부터 발견된 문제점들은 HED (Human Engineerign Discrepance) 목록으로 정리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였다.로 마음의 안정감, 몸의 긴장 이완에 따른 건강 상태 유지, 수업 집중도 향상 등이 나타났다. 위와 같은 종합 적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제조 현장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향상과 연계하여 작업자의 작업 집중도 향상, 작업자의 육체적, 심리적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변화 정도 등의 산업공학(인간공학) 제 분야의 여러 측면에서 연구 및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l, 시험군:25.90$\pm$7.16mg/d1, 47%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시험군의 AUC는 대조군에 비해 39%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투여 60분후 시험군(3.96$\pm$0.07nmo1/$m\ell$)이 대조군(6.45$\pm$0,64nmo1/$m\ell$)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39%)를 나타내었으며, 시험군의 AUC는 대조군에 비해 48% 감소하였다 한편, 시험관내 에탄올 대사 효소에 대한 바이오짐의 효과를 검색해본 결과 바이오짐(2.0 $\mu\textrm{g}$/assay)에 의해 Aldehyde dehydrogenase(1.5unit/assay)의 활성이 14%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비지니스 및 바이오짐은 음주 후 상승된 혈중 에탄을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

  • PDF

Study on Performance-based Evaluation Method for Rock Slopes : Deduction of Weight and Validation - Based on the AHP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 (암반비탈면의 성능기반 평가기법 연구 : 가중치 도출 및 검증 - AHP 기법과 상관분석을 중심으로 -)

  • Lee, Jong Gun;Heo, In Young;Kang, Chang Kyu;Ryu, Ho Sang;Chang, Buhm So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5
    • /
    • pp.431-44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performances for rock slopes. Using the previous research result, final evaluation items are propos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of each evaluation item. Weight for each evaluation item is deducted using AHP method, verification for suggested evaluation criteria is conducte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All evaluation items have a high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final evaluation result(safety rating). Especially, items of the "rockfall", "ground deformation", "discontinuity characteristic", "instable lithology" were shown the highest in relative correlation coefficient(R), It is judged that items and weight presented in this study well reflect characteristics of rock slopes.

Developing Statistics of the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from Storm and Flood to Construct Reg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역공간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풍수해의 사회경제적인 직·간접손실 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 Hyun, Su-Hyun;Kim, Hag-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95-107
    • /
    • 2017
  • Since disasters have been getting stronger and wider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ose impacts on social and national economy have been also getting more severe in various subjects. However, as direct property damage as well as casualties are only measured in case of disasters, monetary figures on its losses are likely to be underestimated, which are known as a major barrier to both compensation for loss and making a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plan.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atistics appropriate to the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which have continuously been overlooke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s the scope of direct and indirect socioeconomic losses, provides a framework for developing those measurements, and determines a preliminary statistics list. Selection criteria to set the final list are decided and are then applied to the lis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to estimate and calculate its socioeconomic losses from storm and flood.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Feasibility Analysis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 Hong, Ju-Hyun;Go, Seong-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1
    • /
    • pp.102-113
    • /
    • 2009
  • When planning and promoting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 it is very important to carry on profitability in planning stage through rea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about distributability. Especially, the analysis about project feasibility through forecasting the early distribute rate is crucial stage because it could evaluate overall expecting benefit and feasibility of the project. However, researches and studies related with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abilty of construction development project are insufficient. Also there is a big gap of the standard for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between government and individual corporation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evaluating early distribute rate. In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ective evaluating standard(criteria) which is for forecasting profitability and distribute rate through analyzing various factors and weight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amples of the real initial rate of private apartment sale based on the government estimated standard. Among estimated index, omitted items and factors to be additionally considered are combined as 33 detail appraisal contents of 4 parts 9 items by allotting them based on the data about priority of all considered factors.

화재 예방을 위한 바이오 실험실의 안전관리

  • Ha, Do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143-143
    • /
    • 2013
  • 대학, 기업 및 국 공립 출연 연구소의 연구 활동 종사자는 학술적 연구 및 신기술, 신물질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즉, 실험실은 대부분의 작업장 보다 더욱 많은 화재, 폭발 등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인 작업장과는 다르게 실험이 종료되면 기존 실험 장치를 철거하고 신규로 다른 실험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연구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 원인을 분석해 보면, 실험실 기능의 불비, 설비 및 유지관리의 불충분, 실험공간의 협소, 실험 작업 안전에 대한 배려부족, 안전전문가의 부족과 교육훈련체제의 미흡 등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빈번한 사고발생은 우수한 연구 활동 종사자의 연구 의욕을 떨어뜨리고, 건강과 생명에 위협을 느끼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실험실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들을 검토하고, 안전관련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심의 체크리스트를 조사하여, 대학 및 연구기관 등의 바이오실험실에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개발된 바이오 분야 체크리스트는 "연구실험실 공통 체크리스트"에 기반하여 바이오 분야에서 중점 평가할 항목을 심화시켜 구성하였다. 바이오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생물 실험 및 동물해부 실험시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점검해야 할 총 8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실험동물 관리 및 사육실 출입시 안전을 위해 점검해야 할 총 11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고, 세포, 조직 배양 실험 및 유전자 조작 실험시 안전을 위해 점검해야 할 총 5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생물 취급시 안전을 위해 점검해야 할 총 19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세균 취급시 안전을 위해 점검해야할 총 8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바이러스 취급시 안전을 위해 점검해야할 총 5개의 세부 점검 항목을 제시하였다. 실험실 안전은 연구종사자의 올바른 안전의식, 연구관련 부서의 체계적 지원 및 실험실 안전 관련 법령의 완비가 뒷받침 되었을 때 비로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크 리스트가 이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되며, 추후 분야별 실험실 안전관리 실태조사의 지침서로 활용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Determining Major Items of Scheduled Maintenance for Apartment through Case Data: Focused on Improving the Establishment Standard for Long-term Repair Program (사례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계획수선 주요 항목 도출: 법령 상의 장기수선계획 수립기준 현실화를 중심으로)

  • Song, Sanghoon;Lee, Seok-Je;Park, Seong-Si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1
    • /
    • pp.43-51
    • /
    • 2016
  • The long-term repair program is significant as the execution standard for apartment in repair construction, and provides the basis for effective facility management through appropriation reserv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onsidering its importance, the government legislates the items, cycle, and ratio for long-term repair. However, the frequent changes, controversies on repair, and difficulties in using appropriation reserve are caused as the items have not been revised on time reflecting up-to-dat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tandard by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repair items throughout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vision plan for the criteria with the major items based on the status identified by the actual long-term repair programs and historical repair construction data. To do this, the adoption ratios of items to program are reviewed by collecting the real cases of the long-term repair programs. Developing improvement plan was approached in two ways such as "exclusion method" deleting minimum unnecessary items and "selection method" sorting out items with high adoption ratio and evidence of repair in a positive manner. Aa a result, the major items were identified as 118 items and 73 items by exclusion method and selection method respectively from the current 147 item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the standard in that the regulation for long-term repair program should periodically reflect the status of currently applied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Marine Environments in Harbor Construction Projects (항만건설사업의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Maeng, Junho;Kim, Taeyun;Lee, Haemi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3
    • /
    • pp.141-160
    • /
    • 2022
  • The harbor construction projects can lead to various marine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habitat degradation and loss, marine water pollution, change of flow patterns, erosion, scour, sedimentation, and so on. The EIA is a measure to prevent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advance from examining and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before the proposed developments are implemented. In addition, institutions reviewing EIA reports have made efforts to conduct scientific and standardized EIA by applying EIA guidelines for each project. This study aims to create a EIA guideline focusing on the harbor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the review comments of the harbor construction EIA reports for the past 13 years (2009-2021) and the EIA guidelines of different types of projects, we identified the marine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ovided the appropriate guideline. This guideline summarizes and presents the contents which must be reviewed in the baseline condition survey, impact assessment, mitigation, and post-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in the fields of marine fauna and flora, marine physics, and marine water and sediment quality. In the case of a baseline condition survey of marine fauna and flora, a method for selecting survey poi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 area and project was presented. When estimating the impact of marine fauna and flora, we presented methods for predicting the impact on them due to the spread of suspended sediments and the damage to benthic habitats due to dredging and recla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area, we divided the survey items of the marine physics into essential items and supplementary items. In predicting the impact of marine physics, various methods for major issues such as seawater circulation, suspended sediment and bottom sediment transport,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iffusion, seawater exchange, wave transformation, harbor tranquility, and shoreline change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by inducing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surveys, impact assessments, and mitigation in the EIA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