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ing Major Items of Scheduled Maintenance for Apartment through Case Data: Focused on Improving the Establishment Standard for Long-term Repair Program

사례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계획수선 주요 항목 도출: 법령 상의 장기수선계획 수립기준 현실화를 중심으로

  •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석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성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03.22
  • Accepted : 2016.04.08
  • Published : 2016.04.22

Abstract

The long-term repair program is significant as the execution standard for apartment in repair construction, and provides the basis for effective facility management through appropriation reserv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onsidering its importance, the government legislates the items, cycle, and ratio for long-term repair. However, the frequent changes, controversies on repair, and difficulties in using appropriation reserve are caused as the items have not been revised on time reflecting up-to-date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tandard by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repair items throughout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vision plan for the criteria with the major items based on the status identified by the actual long-term repair programs and historical repair construction data. To do this, the adoption ratios of items to program are reviewed by collecting the real cases of the long-term repair programs. Developing improvement plan was approached in two ways such as "exclusion method" deleting minimum unnecessary items and "selection method" sorting out items with high adoption ratio and evidence of repair in a positive manner. Aa a result, the major items were identified as 118 items and 73 items by exclusion method and selection method respectively from the current 147 item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the standard in that the regulation for long-term repair program should periodically reflect the status of currently applied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장기수선계획은 공동주택 수선공사의 시행 기준으로서 장기수선충당금의 적립과 예방보전을 통한 효과적인 시설물관리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며 정부에서는 장기수선계획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공사를 위한 대상항목과 수선주기, 수선율을 법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립기준에 포함된 수선공사의 항목이 최근의 공법 등을 반영하여 적기에 개정되지 못함에 따라 실제 아파트 단지에서 장기수선계획의 빈번한 변경, 수선공사를 둘러싼 논란, 충당금 사용 상의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태분석을 통해 계획수선 항목의 적정성을 평가하여 수립기준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수선계획과 수선공사 데이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현황을 바탕으로 주요 수선항목을 도출하고 수립기준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장기수선계획의 운영을 담당하는 관리주체의 부담을 저감함과 동시에 적정수준의 수선충당금 적립을 유도하여 건물 내구연한의 연장과 수선공사 실질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범위하게 장기수선계획 사례를 수집하여 계획에의 항목 채택률을 검토하고, 장기수선충당금 사용내역과 관리비 상의 수선유지비 내역을 분석하였다. 주요 항목을 도출함에 있어서는 보수적인 방식으로서 불필요한 항목만을 최소한으로 삭제하는 배제방식과 각 항목의 계획 반영률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서 공사내역이 있는 항목만을 가려내는 선택방식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147개 항목 중 118개와 73개 항목이 배제방식과 선택방식을 통해 각각 주요 항목으로 정리되었다. 장기수선계획 수립을 위한 법적기준은 실제 적용되는 공법과 재료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준의 실용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암 등(2013), 공동주택 생애주기에 따른 중장기 관리전략 연구, 국토교통부.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국건설산업연구원.
  2. 박은철 등(2013), 공동주택 장기수선제도 개선 및 장기수선충당금기금화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3. 박태근 등(2004), 공동주택 유지관리비용 현황관리 및 진단조치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과학재단.
  4. 박태근(1999), "유지관리",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5. 이석제 등(2015), 공동주택 장기수선충당금 기금화를 통한 전략적 관리방안 마련 연구, 국토교통부.토지주택연구원.
  6. 임광영(2011), 공동주택의 유지관리 주요항목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조미란 등(2002), 영구임대주택 대규모수선유형 및 수선시기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8. 한국토지주택공사(2015), 자산관리부문 유지관리지침(2014. 12.12).

Cited by

  1. Analyzing the Finishing Works Service Life Pattern of Public Housing in South Korea by Probabilistic Approach vol.10, pp.12, 2018, https://doi.org/10.3390/su10124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