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정 교과서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초기의 교과서검정제도와 수학교과서 (The Early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and the Textbooks of Mathematics)

  • 국침태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27-34
    • /
    • 1986
  • At present, Japanese textbook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former days, this system was also in effect for mentary schools until 1905 and for secondary schools until 1944. this article we discuss the start and the change of this system until 1905 and its influences the textbooks of mathematics. The main interest of the system was originally to prevent the textbooks from having the pressions which have the fear of breaking laws, disturbing the public morals or mistaking real facts. The interest changed to assure that the textbooks might comply with the ional standards of teaching syllabuses. And the standards such as the ones of the sizes of ers in the textbooks were made public one after another. The comments attached to the textbooks which applied for the authorization often pointed out use of unsuitable concrete numbers. The comments were often concerned with the difficulty words or sentenses for elementary schools and with the incorrectness of mathematical contents secondary schools. We conclude that the system encouraged the rapid modernization and regularization of Japanese tbooks during this period. We may note that there was a tendency not to adopt an extremely usual trial into the textbooks.

  • PDF

고등학교 지리학습에서 GIS 교육의 현황과 전망 (The Present Status and Prospect of GIS Learning in Teaching Geography of High School)

  • 황상일;이금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9-231
    • /
    • 1996
  •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개편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새로 도입된 GIS 부분에 대하여 검정을 통과한 모든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기술체계(記述體系)를 분석하고, 일선학교 교사들의 GIS에 대한 이해정도와 수업현황을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 저자들은 GIS에 대해서 대체로 그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도 인식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GIS 부분 기술체계는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에서 각각 3종만이 목표제시에서부터 단원정리 내지 총괄평가까지 일관성 있게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공동 저자들 중 GIS 전공자가 포함된 경우, 이 부분에 비중을 상대적으로 높게 잡았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용어소개 정도에 그쳐 분량이나 체계에서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GIS부분은 기술적(技術的) 측면이 강한 내용이어서 교사들이 스스로 연구해서 수업에 임하는 데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전연수가 불충분했고, 교사용 지침서도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막연히 잘 모르는 상황에서 수업에 임한 교사가 설문응답자 중 약 절반에 달하며,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정보화사회에서 지리교과의 위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보다 세심한 지침을 확립하여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기술체계(記述體系) 및 내용을 보완하고, 교과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와 지리부도에 GIS 출력물들을 충분히 실어 교사들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할 것이다. 각 대학에서는 GIS에 대한 대학차원의 수업모델 개발뿐만 아니라, 현직교사들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과정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교과과정의 개편 이전에 충분한 기간을 통하여 일선교사들에 대한 사전연수가 실질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직무분석을 통한 컴퓨터 운용사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선 연구 (Job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criteria for preparation of Qualification test of Computer Operation Engineer)

  • 서준호;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2-36
    • /
    • 2006
  • 이 연구는 컴퓨터운용사의 구체적인 직무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운용사 자격의 출제기준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학계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직무분석 위원회에서 데이컴(DACUM: Development A curriculum)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범위, 등급, 응시자격, 검정 기준, 출제 기준, 검정 방법 등의 구성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운용사의 출제기준을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자료 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선정),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1차 전문가 협의회 및 1차 현장 검토)하였고,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2차 전문가 협의회 및 2차 현장 검토), 4단계는 코스 및 교과목 선정(3차 전문가 협의회), 5단계는 출제기준 설정(3차 현장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운용사의 자격의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대안학교 중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among Alternative Schools)

  • 배소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2
    • /
    • 2008
  • 대안학교 중 정규학교 형태의 특성화 중학교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수업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6개 특성화 중학교의 교사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중 3개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05부의 응답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중학교의 기술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기술 가정 교육과정 형태로 운영되나, 학교의 이념이나 특성에 맞게 상이하게 운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시수는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과 비교해 4개 학교에서 주당 1시간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한 각 학교별로 가정교과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 실태를 보면, 가정교과는 가정(부)전공 교사가 대부분 운영하고 있었으며, 자체 제작교재를 쓰는 한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검정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매체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대부분의 학교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고루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 가정교과 교육의 의의는 가정의 행복 추구였으며, 목표는 가정의 행복을 실현,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에 있었다. 교과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는 열악한 실습실 여건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점을 들었다. 넷째, 학생들은 기술 가정교과의 목표를 보통이하로 인식하였고, 가정수업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학생들의 가정수업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업시수가 많고, 특성화 교과가 운영되는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만족도가 높고 가정(부)전공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에서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에 준해 운영되나 시수편성이 일반학교보다 적어 기초적인 교육내용의 이론위주의 가정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시수의 증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화 교과 운영은 가정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따라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업 전반에 걸친 담당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전공 상근 교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실천적 추론 수업을 적용한 고등학교 기술.가정 '부모됨'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효과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Reaso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Parenthood' Unit i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 박수경;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202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결혼과 육아' 단원에서 '부모됨'에 대한 수업 내용을 중심으로 11종 교과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한 수업 목표를 가지고 실천적 추론 수업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실제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된 6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부모가 된다는 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로 1, 2차시를,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로 3, 4, 5차시를,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6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합반의 5개 학급,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됨 단원의 하위 요소인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 부모됨의 준비, 부모됨의 역할로 나누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학습자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그 효과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부모됨 단원을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으로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참여, 이해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인 실천적 추론 수업을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수업 참여도를 증대시켜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감사성향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인성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수업 적용의 효과 분석 (Development & the analysis of application effect of middle school HE text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cultivating gratitude disposition)

  • 김성교;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5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단원에서 감사 성향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5차시 인성교육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전후에 감사 성향 수준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 5차시 분을 개발하여 가정교육 전문가 3인에게 타당도를 검정 받아 수정 후 완성하였으며, 이후 경북 소재의 모 중학교 2학년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5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전후 감사 성향 수준을 조사하였다. 감사 성향 척도는 McCullough 등의 GQ-6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증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수업 전 학생들의 감사 성향의 평균은 2.87(5점 만점)이었으나, 수업 후 감사 성향 평균은 3.35로 향상되었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따라서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가정과의 수업이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개방형 질문 분석에서도 수업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주변사람과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감사하는 마음을 되새길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이 좋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감사 성향 이외의 다른 긍정적 정서와 친사회적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정과 인성교육용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의생활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교수 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기술$\cdot$가정 9학년"진로의 선택과직업윤리"단원에서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Unit "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Borne Economics)

  • 이영미;김행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기술 $\cdot$ 가정 교과서에 있는 $\ulcorner$진로 탐색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그 프로그램의 내용은 진로탐색 시기에 있는 중학생들이 스스로 뚜렷한 삶의 목표를 정하고,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진로 탐색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천학급 2학급과 통제학급 2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4회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기술 가정 9학년 교과서의$\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사후 검사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역시 실험집단이 직업에 대한 지식. 정보탐색, 자기이해 요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 활동 중심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의 독립성과 능력영역의 의사결정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만 진로탐색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검사의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할 때,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의 활동을 좀 더 보강하여 실시할 것을 권한다.

  • PDF

대학 강의에서 페이스북 기반 성찰활동의 효과 (Educational impact of reflection activities using Facebook in university lectures)

  • 서주연;이정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07-114
    • /
    • 2014
  •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 성찰활동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A대학교의 대형강의를 수강하는 1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집단(실험집단, 90명)과 사이버캠퍼스집단(통제집단, 91명)으로 구분하여 4주 동안 성찰활동을 진행하고 만족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페이스북 집단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던 학생 2명,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던 학생 2명과 인터뷰하여 페이스북 기반 성찰 활동의 장, 단점을 심층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페이스북에서 성찰활동을 진행한 집단이 사이버캠퍼스에서 성찰활동을 진행한 집단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그 이유는 페이스북 집단에서 동료간의 상호작용성이 높았고, 성찰을 위한 다양한 정보수집 등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페이스북 기반의 성찰활동이 대학 대형 강의에서 활용된다면 학생들의 교과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예비학습자의 간호영어 팀 기반 학습방법의 학습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Team Based Learning Experience and Effect on Study of Preliminary Learners on Medical Terminology)

  • 유수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01-1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팀 기반 학습방법(Team Based Learning 이하tbl)이 예비간호학습자의 간호영어교과에서 경험과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한다. 예비간호학습자 12명 대상으로 학습 결과 기록지, 학습관찰, 학습만족도, 학습자가 보고서, 동료평가서를 내용 분석하여 학습경험의 의미를 기술하였고 개인별, 팀별 점수는 빈도분석,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1차, 2차 모두 개인별 점수보다 팀별 점수가 높았다. 협동이 잘되는 팀별 순위로 문제를 해결하였고 팀별 점수도 높았다. tbl학습 경험으로는 동료와 친밀감을 형성하며, 학습동기가 되고, 자율학습을 형성하며 학습이 용이해지고, 반복학습을 통해 어렵게 느꼈던 의학용어가 쉽게 암기되었다. 또한 팀끼리 시험을 봄으로 긴장감과 승부욕이 생기게 되어 성적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즐거운 학습시간으로 기억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예비학습자들에게 어렵게 접하는 간호영어 과목을 tbl을 통하여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자율 학습을 유도하고 성적향상 및 동료와 친밀감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Contents in Housing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3-237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주생활단원 내용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관련 변수를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한 자료 233부를 분석하였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생활공간의 활용' 중단원의 18개 내용의 중요도 인식 평균은 3.78로 양호하며, '실내 환경과 설비'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94로 높은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42로 가장 낮아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내용 타당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실내공기의 오염과 영향'은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아 내용의 심화가 요구된 반면 '페인트칠하기'와 '도배하기'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보통 이하로 현실적 타당도가 결여되어 있어 개정이 요구된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 중 '생활공간의 활용'의 10개, '실내 환경과 설비'의 5개, '주택의 유지와 보수'의 10개의 25개 내용은 교사의 성별, 나이, 교직경력, 학력, 담당과목, 학교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따라서 25개 내용이 교사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중요도 인식에서 보편적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내용의 타당성 점검 등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제언할 내용은 기술 가정 교과를 기술과 가정으로 팀 티칭(team teaching)하는 것이 교사의 성별과 담당과목에 따른 편차를 극복하고 주생활단원을 형평성 있게 교수하는데 더 적합하며, 주생활단원 내용은 지역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교과서 검정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앞으로의 주생활단원의 평가는 내용을 최소 단위로 세분화하여 단일 주제의 내용에 대해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