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물 품질관리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3차원 정밀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영등포역을 중심으로- (A Fundamental Study about a Quality Certification of 3D Precision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 Focused on Yeongdeungpo Station -)

  • 이기성;정인훈;최윤수;김상봉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4
    • /
    • 2015
  • 도심지에서 초고층 건축물 및 지하시설물과 연계된 복합건축물 등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 됨에 따라 공간정보 서비스 대상영역의 범위가 실내공간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내공간정보의 경우, 구축된 실내공간정보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인증 기준이 부재하여 이에 따른 검증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 품질검증 방안을 마련하여 2014년도 구축된 영등포역의 실내공간정보에 대해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의 방법 및 기준에 대한 검증실험을 통해 균일하고 완성도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류 발생 빈도가 높은 유형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체계를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초고층 골조공사의 거푸집벽 적용성 분석 (An Analysis of Application by Formwork in Concrete Structural Frame Work for Tall Building in Korea)

  • 김태훈;진일권;신윤석;조성수;강경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7-391
    • /
    • 2007
  • 초고층 공사에서 적합한 거푸집의 선정 여부는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초고층 공사는 거푸집별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거푸집 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합리적인 거푸집 선정을 위해서는 원가뿐 아니라 공기, 품질, 안전 및 환경적 측면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가, 공기, 품질, 안전 및 환경 측면에서의 거푸집별 적용성에 대해 비교${\cdot}$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고층 공사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거푸집 선정시 관리 우선순위 및 거푸집별 적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푸집 선정시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건설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에러 제거 모델링 (Error Correc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Image Processing)

  • ;김창윤;김형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34-237
    • /
    • 2009
  • 많은 건설 현장에서 카메라와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작업이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토목 건축공사의 특성상 적절한 수준의 영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이미지 프로세싱기법을 사용 하여 자동화된 건설 관리의 수행 시, 영상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여 건설 관리자가 잘못된 정보를 얻게 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케니엣지(Canny Edge) 인식기법과 워터쉐드(Watershed) 변환, 그리고 3D CAD Mask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기둥의 시공 상황 분석 기법에 근거하여, 영상 데이터 분석 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러 제거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실제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그 활용 가능성 또한 검증한다.

  • PDF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by Integrating Schedule and Cost)

  • 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06-113
    • /
    • 2003
  • 건설 프로젝트의 자원관리는 공사원가의 절감, 건축물의 공정 및 품질확보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이외의 공사관리요소와 함께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원소요계획은 공사초기에 수립되고 고려요소가 다양하여 전사적 차원의 자원소요계획을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관리자간의 정보단절로 실적정보관리가 불가능하다. 건설공사의 유기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관리요소의 체계적 구성이 필요하며, 각 관리간의 사업수행정보와 실적자료의 주기적인 갱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현장변동상창을 반영하고 효과적인 자원소요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비용 일정 통합관리의 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원소요량 산출근거를 명확히 하고, 효율적인 자원소요계획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량 산출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 조달관리 업무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자원소요계획 체계를 마련하였다.

경로당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Barrier Free Design Certifications in Center for Elderly)

  • 이정수;오영숙;은동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13-320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지역노인들의 자율적으로 친목도모 취미활동 공동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시설인 경로당의 건축계획적 특성 및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로당 건축물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및 건축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경로당은 대부분 1층 규모로 기본적 기능구성을 지니고 입지에 따라 기능구성의 큰 차이는 없으며, 다만 부지 규모 및 형상, 지형 등으로 접근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경로당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실태 분석 결과, 위생시설 및 매개시설에서 재시공의 필요성이 많이 있으며, 이는 소규모 건축물 품질관리 부족과 인증에 따른 편의시설 설치기준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셋째,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의 접근성 및 수월성 제고를 위하여, 사업기간 및 예산 등 특성을 고려하여 자체평가서 작성 간략화, 인증심사기간 축소 및 인증수수료 인하 등의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누수부위에 시공되는 5계열 보수재료의 유실 저항 성능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wash out) Resistance of 5-Type Repair Materials in Water Leakage of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s)

  • 김수연;유재용;오상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61-6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균열에 사용되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의 품질관리 방안으로 규격화된 국제표준 ISO TS 16774 「Part 3 Test method for water(wash out) resistance」와 KS F 4935 「점착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누수보수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입형 누수보수재료 5계열(합성고무계, 시멘트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3종류씩, 총 15종류의 보수재료에 대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 처한 지하수의 유동성에 관한 유실 대응력의 안정성을 연구·검토하였다. 그 결과, KS F 4935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질량 변화율이 -0.1% 이내"의 성능 기준으로 고찰하면 합성고무계 RG-2, 우레탄계의 UG-1을 제외하고 나머지 13Type 보수재료는 다소 지하수의 유동성에 따른 유실 저항력의 안정화 방안 검토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사용되는 보수재료의 선정에 있어 기본 지표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에 연구 개발 되는 보수재료의 품질 향상에 반영할 수 있는 기준 자료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GFRP-데크플레이트로 보강한 합성 슬래브의 휨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Slabs Reinforced with GFRP-Deckplate)

  • 최봉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5-170
    • /
    • 2009
  • 본 논문은 GFRP-데크와 콘크리트를 합성한 1방향 슬래브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기존의 철근트러스-데크 합성슬래브와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휨성능에 대한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휨성능은 제안된 GFRP 합성슬래브의 시험체들이 비교시험체들 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재료의 적절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진다면 GFRP가 갖고 있는 내부식성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배기가스나 염분에 많이 노출된 건축물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고층 주상복합구조물에 적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및 품질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 Design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e Construct ion of High Rise Complex Structure)

  • 김선구;이상수;원철;박상준;김동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1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40-45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mix design and quality control of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e construction of high rise complex structure. Desired performances of this high strength concrete were slump flow 50$\pm$10cm, air content 4.5$\pm$1.5% and design strength 400kgf/$cm^2$. Experimental flow was that optimal mix design was selected in the indoor experiment and after that, producing test was done in the batcher plant. Excel lent results of experiment was obtained from binder content 475kg/$m^2$ with replacement ratio 10% of fly ash. The results of field applic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was sufficiently satisfied both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 PDF

옥상방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Water Proofing System of the roof)

  • 권병헌;허재훈;이성일;한정훈;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35-538
    • /
    • 2004
  • 최근 공동주택(아파트)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대형 구조물들이 건축물의 옥상부분을 활용하려는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옥상 방수의 재료와 공법에 대하여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까지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많은 방수 재료 및 공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기존의 방수하자 요인에 대하여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방수 재료 및 공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더욱이 옥상 방수에 있어 바탕상태 및 콘크리트의 물리적 거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표적인 옥상 방수 공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옥상 방수 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의 시야를 넓혀보고자 한다.

  • PDF

지하 구조물 외벽에 적용되는 방수재료의 구조체 거동 및 진동 대응 성능 설계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Seismic Performance Design of Waterproofing Materials Applied Single-side Walls on Underground Structures)

  • 김수연;김명지;오상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43-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건설 자재 중 콘크리트 구조체에 전면 부착 시공되어 건축물의 내외부로부터 스며들거나 넘쳐흐르는 물을 막을 수 있는 차단마감재인 방수재료에 있어 가속 환경 조건 속의 지하 외벽에서의 방수 성능 설계의 일환으로 내진 성능 설계가능성을 제안하고 그 품질검증 시험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국내외 건설자재 내진설계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현행법상 건축 과정에서의 내진설계 규제는 있지만 자재에 대한 규제는 없어 내진용 제품군이 드물고 대부분 시공법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외의 경우 일본, 캐나다, 독일과 같이 비구조재에 내진성능을 부여한 다양한 건축자재가 개발되고 있음을 확일 할 수 있었고, 이러한 내진설계 개념은 앞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하 콘크리트 구조체에 전면접착 혹은 부분 부착되어 시공되는 선행 외방수재료에 있어 지진에 대한 보완 대응력을 가질 수 있다면 내진 설계된 구조체와 함께 누수 예방 및 방지 기술로서 그 적용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