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 리프트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8초

사용 중인 피니언 축의 미세 균열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장형록;최린;김용수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9-27
    • /
    • 2002
  • 최근 경제구조가 고도화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회간접자본시설 및 각종 용도의 건축물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특히 고층건물 건축시에 사용되는 리프트카의 수요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구조물은 사용기간동안 절대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계되고 있으나 실제 건설 현장에서 사용중인 피니언축에 균열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니언축 수리보수 기간동안의 공사중지로 공기지연 뿐만 아니라 리프트카 추락으로 인한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등 그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각종 구조물, 설비 및 기기의 안전진단을 통한 유지보수가 중요시되고, 결함 검출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 기술 개발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중략)

  • PDF

검사기준 개정(안) 비용 편익 분석

  • 김용수
    • 산업안전기술지
    • /
    • 제2권1호
    • /
    • pp.31-33
    • /
    • 2002
  • 국내 사업의 현대화와 아울러 건설에서는 고층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리프트 및 크레인이 다양하게 많이 사용되고 있고 더욱 사용빈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추세이므로 이에 따라 산업재해도 여러 형태로 빈번히 발생이 되고 있는 경향이다. 또한 장치 산업인 산업설비가 발전함에 따라 고압압력용기가 초고압으로 변하여가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의 영향은 이미 많은 사고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중대재해가 발생된다. 이에 대한 사고 방지를 위한 검사 기준도 새로운 현실에 적합한 기준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유해·위험한 기계·기구 및 설비의 검사 기준인 리프트, 크레인 및 압력용기 제작기준·안전기준 및 검사기준을 최근 새로운 국내의 실정에 따라 이에 적합하도록 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지진 등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진하중 등에 관한 검사항목을 보완한 것에 대한 개정전후의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여 개정으로 인하여 관련사업장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편익분석을 함으로서 손익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기업주나 정책입안자에게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중략)

  • PDF

건설 리프트의 적정 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per Numbers of Construction Lifts)

  • 김선국;한갑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9-125
    • /
    • 2008
  • The volume of material and number of workers mobilized has been on the rise in line with the domestic projects getting higher, larger and complex currently. Particularly for the project in downtown, delivering the resources in timely manner is very crucial in carrying out the overall project as scheduled. Inappropriate lifting plan often causes inefficiency over the entire project, resulting in increase in schedule and cost. Despite of such importance of lifting plan for architectural work, lifting plans at the most of domestic projects, except a few cases for large scale high-rise buildings, have been heavily dependent on engineer's personal experience and intuition alone. To deal with such problems, the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suggest a systematic and objective process for determining the lift, categorizing the lifting equipment into the two types, one for workers and another for material.

검사기준 개정(안) 비용편익분석

  • 장형록;김용수;태순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2-368
    • /
    • 2002
  • 국내 사업의 현대화와 아울러 건설에서는 고층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리프트 및 크레인 가 다양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고 더욱 사용빈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추세이므로 이에 따라 산업재해도 여러 형태로 빈번히 발생이 되고 있는 경향이다. 또한 장치 산업인 산업설비의 발전에 따라 고압압력 용기가 초고압으로 변하여가고 있으므로 이때 발생되는 사고의 영향은 이미 많은 사고 사례에서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고 방지를 위한 검사 기준이 새로운 현실에 적합한 기준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중략)

  • PDF

건설기계 관계자 실태조사를 통한 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ident prevention by a survey of people related to construction machinery)

  • 이반석;이영수;오태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57-562
    • /
    • 2023
  • 국내에서는 건설용 리프트,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에 대한 제도적·관리적 문제점 파악을 통해 안전작업개선에 관한 여러 정부 정책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관련 재해는 줄어들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건설기계운전원의 안전작업에 대한 관점 차이를 확인하고 관련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현장 작업자들이 작업에 투입되기 전 작업 방법, 안전수칙, 현장 위험요인의 인지 및 제거 등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받았을 때 재해가 줄어들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CYCLONE 모델링 기법 개선을 통한 초고층 공사의 자재 양중 작업 프로세스 최적화 연구 (Lifting Work Process Optimization Method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Through Improvement of CYCLONE Modeling Method)

  • 황두원;권오경;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8-70
    • /
    • 2017
  • 초고층 건축공사에서 리프트카를 이용한 자재 양중 관리는 핵심적인 관리분야 중 하나이다. 기존 연구들은 양중계획의 기본 단위인 양중 사이클타임이나 리프트카의 운행효율은 기존 사례를 참고하여 적용하거나 관리목표로 설정하고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 사이클타임을 단축하고 가동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재 양중작업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방법론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CYCLONE 모델을 변형하여 작업시간과 작업위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세부 작업을 조정하여 프로세스를 최적화 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론에 따라 양중작업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민감도 분석과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초고층 현장에 적용하였다. 기존 작업 프로세스와 개선된 작업 프로세스를 양중 높이별로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현장 적용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중작업 시간 단축과 가동율 향상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 방법론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현장중심의 건설가설기술요소 분류체계 구축 (Development on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Site centered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y Index)

  • 박준모;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7-85
    • /
    • 2014
  • 건설가설공사는 타워크레인, 리프트와 같은 가설양중설비나 사무소, 창고, 시험소 등의 가설건축물 및 각종 작업에서 사용되는 비계, 작업발판, 동바리, 거푸집 등을 일시적으로 조립, 설치하여 사용하고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철거하는 건설공사의 주요 과정인 동시에 핵심공종이다.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건설현장의 발 빠른 대응과는 달리 국내의 건설가설분야의 기술체계는 실무에서 효용성이 낮아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술체계와 현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새로운 기술과 기법 등을 정리하고, 현장관리자의 의견과 검토를 통한 가설기술의 기초가 되는 기술요소의 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설가설기술요소에 대한 성능과 활용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식정보체계로 거듭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초고층 창호공사 조기착공을 위한 ACS-Lift Car 연계 시스템 기초연구 (The Study on Integrated ACS and Lift Car System for Early Beginning of Windows Work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 이동윤;임현수;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2-73
    • /
    • 2014
  • Recently the concurrent construction method of framework and windows work has been applied for early beginning of exterior finishing works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makes difficulties in auto-climbing of gang-form and climbing work of lift car since the removal of ACS(auto climbing system) should be preceded for operation of lift car up to the top floor. This study propose a concept model of integrated ACS and lift car 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begin windows works early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easonal Construction Site Fall Accident using Text Mining)

  • 김준수;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13-121
    • /
    • 2019
  • 우리나라의 사망사고만인율은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2~3배 높으며 그 중 건설현장의 추락사고는 가장 많은 사망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기존연구와 국가기관의 조치를 살펴보면 추락사고에 집중된 산업재해 관리의 미흡과 계절별 안전관리 대책의 미비가 그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및 조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특징을 도출하고, 추락사고 방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적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사고발생 인과간계에 대하여 기술한 계절별 건설현장 추락사고 기사데이터 387건을 수집 후,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계절별 특징으로서 봄에는 강설, 리프트를 포함한 장비의 무리한 운용 등이 원인이며, 여름에는 거푸집, 점검미비, 설치작업 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을에는 바람과 태풍의 날씨요인 등이 원인이며 겨울에는 자재운반 및 외벽작업, 안전수칙 미 준수 등이 추락사고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원격 크레인 와이어 로프 결함 탐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emote Crane Wire Rope Flaws Detection Systems)

  • 민정탁;이진우;이권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7-102
    • /
    • 2003
  • 와이어 로프는 엘리베이트, 건설현장의 리프트, 현수교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응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는 컨테이너 이송에 중용한 요소로서 컨테이너 이송 시 로프에 결함이 발생한다면 안전사고, 생산성 저하에 따른 경제력 손실 그리고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력 손실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원격 크레인 와이어 로프 결함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본 시스템은 크게 결함 탐지부, 신호 처리부, 원격 모니터링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측정된 신호는 외부적 환경으로부터 노이즈를 가지게 되는데 원신호로부터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와이어 로프 결함을 탐지하는데 있어서 좀더 쉽게 결함을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은 와이어로프의 교체 시기 연장으로 항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쟁력 향상 그리고 엘리베이터, 리프트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