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부하 예측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f the Tower Crane Hoisting Time Estimation Simulation Model with Climate Element for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기후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건설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 Yang, Kanghyeok;Lee, Hyun-Soo;Park, Moonseo;Jung, Minhyeok;Hwang, Sungj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2
    • /
    • pp.96-107
    • /
    • 2013
  • Tower crane hoisting plan is one of the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entir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Hoisting time is the basic factor to appropriate hoisting plan which need to the hoisting load estimate and tower crane selection. With this reason, accurate hoisting time is needed to the proper hoisting plan. The current hoisting time estimation for High-Rise Building focus on the hoisting cycle time estimation with historical data. However, this method underestimated the external influences like environmental factor.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hoisting time estimation model with discrete event simulation which include the wind influences with certain heigh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the hoisting time which applied wind influence is increasing with height growth. Because of the high speed wind, the upper area of building has more operation delay time than the mechanical operation time. Seoul, the research area, has the most fastest wind speed on April and the least on October. Due to these differences of wind speed, the hoisting time is estim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pril and October. This hosting time estimation model would be used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wind. Moreover, this could apply to make the realistic hoisting plan.

A study on the machine load on shield advancing between soil ground and mix ground included core stone (토사지반과 핵석이 포함된 복합지반에서 쉴드TBM 굴진 시 장비부하에 관한 연구)

  • Kim, Ki-Hwan;Kim, Hyouk;Mun, Cheol-Hwa;Kim, Young-Hyu;Kim, Dong-Ho;Lee, Jae-Y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0 no.6
    • /
    • pp.1039-1048
    • /
    • 2018
  • In urban tunnel construction, most of the Shield TBM method is applied to secure the safety of buildings and to minimize risks. On the other hand, in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landfills are often embanked or improving in many cases,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rface and the rock is often heterogeneous. In case of ground condition such as alluvial soil, granite, decomposed granite, core stone and rock with various layers, datas on shield TBM advancing according to each ground condition a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chine loa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hange of ground condition can be predicted by the tendency of discharge volume, thrust force and cutting wheel torque when the cutter is checked and replaced regularly on advancing under maintaining the design slurry pressure.

Load Forecasting and ESS Scheduling Considering the Load Pattern of Building (부하 패턴을 고려한 건물의 전력수요예측 및 ESS 운용)

  • Hwang, Hye-Mi;Park, Jong-Bae;Lee, Sung-Hee;Roh, Jae Hyung;Park, Yong-Gi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65 no.9
    • /
    • pp.1486-1492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the electrical load forecasting and error correction method using a real building load pattern, and the way to manage the energy storage system with forecasting results for economical load operation. To make a unique pattern of target load, we performed the Hierarchical clustering that is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defined load pattern(group) and forecasted the demand load according to the clustering result of electrical load through the previous stud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reference demand for improving a predictive accuracy of load demand forecasting. In addition we study an error correction method for response of load events in demand load forecasting, and verify the effects of proposed correction method through EMS scheduling simulation with load forecasting correction.

Thermal Interference Modeling in the 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대수층 축열 시스템의 열 간섭 모델링)

  • Kim, Jong-chan;Lee, Young-min;Yoon, Woon-Sang;Koo, Min-Ho;Keehm, Young-se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96-599
    • /
    • 2009
  • 대수층 축열 시스템(ATES)의 효율은 지중에 저장된 열 사이의 간섭에 의해 결정이 되며, 열 간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시추공 간 이격거리, 대수층의 수리 전도도, 주입/양수량 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하수-지열 거동 모델링을 통하여 열 간섭이 일어나는 현상과 열 간섭이 시스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델링 결과로부터 이격거리는 작을수록 그리고 대수층의 수리전도도와 주입/양수량은 클수록 열 간섭이 잘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열 간섭 계수가 1일 때는 시스템 효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아지고, 열 간섭 계수가 1 미만일 때는 변화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ATES 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을 시공 하고 있는 안성 연구지역에 대한 장기 예측 모델링을 수행 하였다. 모델링 결과 이격거리가 80 m 이고, 주입/양수량이 100 $m^3/day$ 일 때, 시스템 가동 7년경과 뒤 여름철과 겨울철에 계산된 시스템 효율은 각각 36 RT 와 31 RT 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입/양수량을 100 $m^3/day$로 했을 때, 냉난방 대상건물의 필요 부하인 20 RT 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IoT Sensor-Gateway-Server Platform for Electric Fire Prediction and Prevention (전기화재 예측 및 예방을 위한 IoT 센서-게이트웨이-서버 플랫폼 개발)

  • Yang, Seung-Eui;Kim, Hankil;Song, Hyun-ok;Jung, He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255-257
    • /
    • 2021
  • During the winter season, when electricity usage increases rapidly every year, fires are frequent due to short circuits in aging electrical facilities in multi-use faciliti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and jjimjilbang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Most of the causes of such fires are caused by excessive loads applied to aging wires, causing the wire covering to melt and being transferred to surrounding ignition materials. In this study, we implement a system that measures the overload and overheating of the wire through a composite sensor, detects the toxic gas generated there, and logs it to the server through the gateway.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a platform that can predict, alarm and block electric fires in real time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a simulator that can simulate fire occurrence experiments.

  • PDF

Effects of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토양산성화가 소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Jin, Hyun-O;Bang, Sun-Hee;Lee, Choong-Hwa;Kim, Se-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3
    • /
    • pp.266-273
    • /
    • 2008
  • Th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seedling growth and nutrit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ling growth and molar (Ca+Mg+K)/Al ratio of in soil solu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growth inhibition of seedling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was due to the low pH of soil solution, which was followed by leach of Al into soil solution, and decrease of essential elements, such as Ca in aerial pant of the seeding caused by the increase of Al concentration in subterranean pant of the seedlings. The level of growth inhibition was determined not only by Al concentration, but also by the balance of inorganic elements, Al, Ca, Mg and K. The growths of two species in total dry weight were clearly inhibited when molar (Ca+Mg+K)/Al ratio of the soil was lower than 6.0. The growth in dry weight, in the condition of the molar ratio was 0.8, was decreased 60% or 50% for the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or Quercus acutissima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the molar (Ca+Mg+K)/ Al ratio could be an important index for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due to acid deposition such as acid rain, on growth of trees and nutrition. And it might be a more useful indicator for evaluation of critical load of acid deposition on forest ecosystems.

Evaluating the Effect of Upper Dams Release on Downstream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수질과의 관계 분석)

  • Choi, Jung-Kyu;Kim, Yu-Kyung;Jung, Yong-Rak;Shin, Sang-Il;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07-1311
    • /
    • 2007
  • 유역의 자연 유출량이 줄어드는 갈수기 동안 낙동강 본류의 수질은 상류지역의 댐 방류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질이 취약한 중 하류부지역의 수량과 수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낙동강 수계의 물 관리를 위해서는 댐 방류량과 하류 수질의 정량적인 관계에 근거한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상태 하천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수계 다목적댐군의 방류량과 하류 하천의 수질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갈수기 동안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해 필요한 적정 댐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제시하는데 있다. 낙동강수계 댐 군의 하류 하천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운영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1차원 정상상태 수질예측모델인 QUAL2E를 구축하고 실측 유량과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은 낙동강수계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 임하댐, 그리고 중 하류 지류에 위치한 합천댐과 남강댐의 용수공급 시나리오별 하천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 동안 중 하류부에 위치한 상수원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합천댐과 남강댐에서보다는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용수를 추가 공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댐 방류량 증감에 따라 수질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하천구간은 수질오염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금호강합류점${\sim}$고령교구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낙동강과 같이 수량이 부족한 하천은 오염부하량 삭감 대책과 함께 갈수기 유량조절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며, 주기적인 수질악화를 겪는 낙동강 중 하류 지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상류 다목적댐군의 연계운영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치모의 결과와 현장에서 관측한 유속장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제 탁수배제능력을 검증하였다.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 PDF

Characteristics of Nutrient Concentrations of Outflow during Storms in a Rural Watershed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강우시 유출수의 농도특성)

  • Oh, Kwang-Young;Kim, Jin-Soo;JiAng, Ji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57-461
    • /
    • 2006
  •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강우시 영양물질(질소, 인)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5년까지 5개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2{\sim}12$시간 간격으로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였다. 강우사상시 TN농도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여 최대농도를 보인 후, 유량감소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와 초기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경우의 두 가지 경향을 보였다. TP농도는 유량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상승을 보였고, 최대 값 이후 농도가 낮아져 거의 초기농도에 도달하였다. 또한, 초기농도에 대한 최대농도값의 비는 TP가 TN보다 크게 나타났다. 농촌 소유역에서의 초기유출현상(first-flush)은 40%의 누적유출량을 나타낼 때 TP의 누적유출부하량은 $70{\sim}86%$를 기록하여, 도시유역(60%)과 광역논(50%)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농촌 소유역이 경사가 크고 밭 등에서 강우로 인한 토양침식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질소의 용존성 성분의 비(TN/TDN비)는 93.6%를 나타내 질소는 대부분 용존성 형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의 용존성 성분의 비(TP/TDP비)는 25.4%를 나타내 인의 대부분 입자성 형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원 농촌유역으로부터 TN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용존성 성분을 제공하는 비료의 시용량을 줄여야 하며, TP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시 입자성 인의 유출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나지(裸地)나 밭에 식생이나 멀칭(mulching) 등으로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대책이나 하천변에 완충역(riparian buffer zone)을 설치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저수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내부의 탁도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추후 동수역학 및 열역학에 기초한 3차원 수치모형 연구와 성층흐름에 정밀한 밀도류 실험연구 및 이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이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으로 이루어진 2단계 기술가치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2개의 개별기술에 대한 시범적용을 실행하였다.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A Study for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Operation Behavior of Thermal Energy Grids with Connecting Operation (열 에너지 그리드 연계운전의 운전 거동 특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Im, Yong Hoon;Lee, Jae Yong;Chung, M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 no.3
    • /
    • pp.143-150
    • /
    • 2012
  • A simulation methodology and corresponding program based on it is to be discussed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networking operation of existing DHC system in connection with CHP system on-site. The practical simulation for arbitrary areas with various building compositions i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operational features in both systems, 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rmal energy grids with connecting operation are highlighted through the detailed assessment of predicted results. The intrinsic operational features of CHP prime movers, gas engine, gas turbine etc., are effectively implemented by realizing the performance data, i.e. actual operation efficiency in the full and part loads range. For the sake of simplicity, a simple mathematical correlation model is proposed for simulating various aspects of change effectively on the existing DHC system side due to the connecting operation, instead of performing cycle simulations separately. The empirical correlations are developed using the hourly based annual operation data for a branch of the Korean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KDHC) and are implicit in relation between main operation parameters such as fuel consumption by use, heat and power production. In the simulation, a variety of system configurations are able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any combination of the probable CHP prime-movers, absorption or turbo type cooling chillers of every kind and capacity. From the analysis of the thermal network operation sim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newly proposed methodology of mathematical correlation for modelling of the existing DHC system functions effectively in reflecting the operational variations due to thermal energy grids with connecting operation. The effects of intrinsic features of CHP prime-movers, e.g. the different ratio of heat and power production, various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chillers (i.e. absorption and turbo types) on the overall system operation are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consideration of operation schemes and corresponding simulation algorith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