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한 건축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WORK'S REVIEW - Aimsak Ochang Factory & Creation Village, Chungkang of Cultural Industries (작품리뷰 - 오창 아임삭 공장과 청강대 창작마을)

  • Yu, Jeong-Hun;Park, In-Su
    • Korean Architects
    • /
    • s.502
    • /
    • pp.64-73
    • /
    • 2011
  • 신춘규 건축사는 축구를 사랑한다. 매주 월요일 저녁은, 가능한 모든 약속에 우선하여 축구 동호회 모임이 있다고 한다. 건축사들의 A매치도 주선하였다고 한다. 젊은 시절부터의 열정을 간직하고 꾸준히 실천해 나아가는 데에는 이러한 체력과 정신력이 근원이 되었을 터이다. 건강이 매우 나빴을 때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건강하다. 생각도, 생활도 그리고 작품도 다 건강하다. 대한건축사협회의 국제위원회 이사를 맡아 역시나 이러한 모습대로 온화와 품격으로 한국의 건축을 국제무대에 알리고 있다. 앞으로 어디까지 그의 역할을 기대하면 좋을지?

  • PDF

설비의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

  • 김수암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9
    • /
    • pp.17-26
    • /
    • 2001
  • 최근 국제적인 여건과 사회적인 상황이 급변하여 대량생산-대량소비지향으로 인한 폐기물의 대량방출사회에서 지구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지구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분야에서도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배출의 억제와 폐기물 삭감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축물의 장수명화와 리모델링도 이러한 움직임과 궤틀를 같이 하는 것이다. 물론 리모델링은 신축시장의 급감에 따른 대체시장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신축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중점이 두어져 재고건축물에서 간과해 왔던 유지관리와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결부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사실 지금까지 리모델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일반건축물 부문에서는 상당부분 이루어져 왔으며, 공동주택 부문에서도 극소수 이루어져 왔다. 리모델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리모델링은 건축물 또는 외부공간의 성능 및 기능의 노후화나 진부화에 대응하여 보수, 수선, 개수, 부분증축 및 개축, 제거, 새로운 기능추가 및 용도변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행위를 포함한다. 리모델링을 통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쾌적하고 건강한 건축물의 재고 를 구축함과 아울러 건강한 지역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을가져옴으로써 환경을보전하 고 자원낭비를 줄여 지속가능한 건축물과 사회를 만들어 갈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 동기는 시간이 흘러 물리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노후화가 발생하거나 기능적인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건설당시의 성능이나 기능유지가 어렵거나 건설당시의 기능만으로는 요구조건을 만족함 수 없기 때문에 건설 당시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요구에 적합하도록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개선이나개량을위하여 중요한것은건축 물을 구성하는 자재나 부품의 수명문제이다. 수명의 길이차이가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수명의 자재나 부품의 접합상태가 리모델링 공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모델링 공사가 신축공사의 70-80%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는 업체의 불만은 바로 이러한 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사례이다. 본 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근간으로 한 설비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 계획 및 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는 기존건축물의 설비자체의 보수나 개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건축설계 및 시공시에 향후 설비부분을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earch Model for Healthy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건강한 건축·도시환경을 위한 연구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Choi,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35-46
    • /
    • 2013
  • Purpose: Heal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ests in current and future human society. Various efforts, which to maintain and promote their good health conditions, continue to be tried in future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tegrated framework of research approaches for healthy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that continuously promotes health according to people's entire life course. Methods: This was done by literature reviews, which is related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for the determinants of health and healthy environ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as a methodology, was proposed. This explains the concept of integrated research approaches for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in the respect of people's health. Integrated health concept includes not only the area of health care environment to have recovery and treatment but also the daily living environment for people who have potential of being ill, and finally the city environment for entire people as health supporting elements including safety and primary prevention. Implications: Under the basis of this model,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various researches on sustainable healthy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should be followed from now on. The model should also be continuously complemented and developed into a standard of healthy environment.

A Study Examining the Measurement of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arget Analysis of Special Health Check for Site Workers - Based on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at Work Site - (건축공사의 공종별 유해요인 분석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 진단 대상 분석에 관한 연구)

  • Son, Seo-Hye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2
    • /
    • pp.386-394
    • /
    • 2022
  • Purpose: This thesis is to measure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health protection of site workers, who are required to take special health check, by analyzing harmful factors that are occurred by each site operation. Method: This thesis explicates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per the operation at construction site, the target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with examined harmful factors, and the variables of special health check. Result: This thesis figures out the target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and the variables of special health check through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per the operation from 12 construction projects. Conclusion: This This thesis is expected to be an instrument for preventing construction site workers from occupational disease, by regular execution of measuring working environment via harmful factors of each operation as well as of special health check.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 Kim, S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13 no.2
    • /
    • pp.53-60
    • /
    • 2013
  •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