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Examining the Measurement of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arget Analysis of Special Health Check for Site Workers - Based on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at Work Site -

건축공사의 공종별 유해요인 분석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 진단 대상 분석에 관한 연구

  • Son, Seo-Hyeong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Sunmoon University)
  • Received : 2022.05.17
  • Accepted : 2022.06.23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Purpose: This thesis is to measure construc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health protection of site workers, who are required to take special health check, by analyzing harmful factors that are occurred by each site operation. Method: This thesis explicates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per the operation at construction site, the target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with examined harmful factors, and the variables of special health check. Result: This thesis figures out the target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and the variables of special health check through the analysis of harmful factors per the operation from 12 construction projects. Conclusion: This This thesis is expected to be an instrument for preventing construction site workers from occupational disease, by regular execution of measuring working environment via harmful factors of each operation as well as of special health check.

연구목적: 건축공사 시 공정별로 발생하는 각종 유해요인을 파악하여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이 되는 근로자들의 건강보호,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종별 유해요인분석, 유해요인에 따른 작업환경측정대상과 특수건강진단 항목을 알아볼 수 있다. 연구결과: 건축공사 12개의 공종별 유해요인을 분석하여 작업환경 측정대상과 특수건강 진단항목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각 공종별 유해요인 분석에 따라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므로써 건축근로자들의 직업병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서론

건축현장에서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요인으로 직업병 및 작업성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므로 사전에 대책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맞게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해작업에 따른 직업성 질병 및 직업성 질병 사망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현장에서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요인을 상세히 분석한 후 유해요인별 작업환경측정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작업환경측정 대상에 따라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할 항목을 선정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건설업의 업무상질병 발생 현황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업무상질병 및 업무상질병으로 인한 사망자의 증가 추세와 함께 건설업에서 발생한 업무상질병 및 업무상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아래 Fig. 1와 같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JNJBBH_2022_v18n2_386_f0001.png 이미지

Fig. 1.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2016 to 2020

업무상질병의 발생형태별 특성

업무상질병의 발생형태별 특성을 Table 1과 같이 살펴보면, 직업병이 23.01%, 작업관련성 질병이 76.99%를 차지했다.

Table 1.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2020

JNJBBH_2022_v18n2_386_t0001.png 이미지

직업병 중에는 진폐가 7.42%, 소음성난청이 10.68%이었으며, 작업관련성 질병 중에는 요통 및 신체부담작업 등의 근골격계질환이 70.81%이었고 뇌심혈관계질환이 3.35%이었다.

JNJBBH_2022_v18n2_386_f0002.png 이미지

Fig. 2.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2020

건축공사의 주요공정

건축 공사의 주요공종을 살펴보면 기초파일 공사, 굴착공사, 발파공사, 흙막이공사,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골공사, 조적공사, 미장공사, 견출공사, 방수공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종별 내용은 Table 2과 같다.

Table 2. Major construction projects

JNJBBH_2022_v18n2_386_t0002.png 이미지

JNJBBH_2022_v18n2_386_t0003.png 이미지

공종별 유해요인

건축공사의 대표적인 12개의 공종별로 유해요인을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Table 3. Hazardous factors by construction process

JNJBBH_2022_v18n2_386_t0004.png 이미지

JNJBBH_2022_v18n2_386_t0005.png 이미지

공종별 작업환경측정 대상

건축공사 시 공정별로 발생하는 유해요인에 따른 작업환경측정대상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Subjects for specifying the working environment by hazardous factors by construction process

JNJBBH_2022_v18n2_386_t0006.png 이미지

공종별 특수건강진단 대상

건축공사 시 발생하는 유해요인 및 작업환경 측정 결과에 따른 특수건강진단 대상 항목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Subject to special health examination according to harmful factors by construction process

JNJBBH_2022_v18n2_386_t0007.png 이미지

이상과 같이 건축공사의 공종별로 유해요인과 작업환경측정대상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을 Table 6와 같이 간단히 정리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6. Remains of construction works by engineering typeperson

JNJBBH_2022_v18n2_386_t0008.png 이미지

JNJBBH_2022_v18n2_386_t0009.png 이미지

JNJBBH_2022_v18n2_386_t0010.png 이미지

결론

건축현장의 12개의 주요공정별 작업내용을 파악하여 유해요인에 따른 직업병 및 작업관련성 질병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공종별 환경측정 대상 작업으로 소음, 분진, 배기가스, 암석비산, 석면, 용접흄, 유기화합물등에 노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수건강진단 대상으로는 소음, 분진, 가스류(일산화탄소, 산화질소 등), 금속류, 용접흄 작업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위와 같이 유해 공정에 따른 정확한 유해요인 인자의 파악을 통해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을 유해인자별 정기적으로(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23 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를 참조) 실시한다면 유해 인자에 따라 표적 추적 검사를 통해 보다 유의한 결과를 측정 가능하며 도출된 결과로 관리적, 공학적, 개인적 개선대책을 세워 관리한다면 직업성 질병을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정기적인 특수건강진단으로 직업성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으로 사후조치를 적절히 하여 근로자 건강 보호와 노동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Im, S.-S. (2005). A Study on the Precision of Dust Measurement of Some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Hansung University.
  2. Jang, U.-B., Park, Y.-H. (2017).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ractice Education. Bo Sung, Republic of Korea.
  3. Kim, C.-N. (2005).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Yonsei University.
  4. Kim, M.-O. (2016). Analysis of Annual Audiometric Test Data of Workers exposed to Noise above 85 dB for 2010-2014 in Some Industries in Chungbuk Province. Hansung University.
  5.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of Harmful Factors and Disease in Subjects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6). Guidelines for Health Manager in Construction Industry.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997). Special Health Examination Methods and Health Management Standards.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Industrial Accident Status Analysis.
  9.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21). Regulation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10. Park, D.-G., Yoon, C.-S., Baek, N.-W. (2002). Special Health Diagnosis Method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11. Park, H.-N. (1990). A Survey on the Measurement of Work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