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증진 자기효능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2초

중·고등학교 보건관련교사와 비보건관련교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and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in Middle and High School)

  • 이지혜;정혜선;최은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33
    • /
    • 2003
  • A survey was done to figure out the HPLP(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and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205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from 4th February to 2nd April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PLP score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mean $2.73{\pm}0.44$)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mean $2.48{\pm}0.40$). Sub category's mean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was self-realization 2.99, interpersonal-relationship 2.92, health responsibility 2.65, nutrition 2.64, stress management 2.52, exercise 2.27 and that of the teachers of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was self-realization 2.84, interpersonal-relationship 2.70, health responsibility 2.24, nutrition 2.39, stress management 2.23, exercise 1.98. 2. When HPLP score were examin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3. Gender, degree of grief and depression, and self-efficac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PLP score of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concern about health, degree of stress,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on that of the teachers of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This results were indicated the teachers of health-related disciplines show better role model in health than the teachers of not-health-related disciplines. As self-effica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HPLP sc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troduce programs to raise self-efficacy of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 PDF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relate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Women)

  • 박혜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gender identity, self-esteem, self-efficacy, hardi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e College Women. The subjects were 275 students from a college in Kyungbuk.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ade of general characteristics(6 items), gender identity(1 item), self-esteem(10 item), self-efficacy(13 items), hardiness(38 ite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40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gender identity, self-esteem, self-efficacy, hardi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24. Among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score was interpersonal support(2.91), self-actualization (2.85), and the lowest score was health responsibility(1.62). 2) The mean score of the gender identity was 2.04. 3) The mean score of the self-esteem was 2.85. 4) The mean score of the self-efficacy was 6.50. 5) The mean score of the hardiness was 2.83. 2. Correlations of gender identity, self-esteem, self-efficacy, hardin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s follows. 1) Gender ident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r=-.287, p=.0000), self-efficacy(r=-.226, p=.0000), hardiness(r=.237, p=.0000), health promotion behavior(r=-.236, p=.0000). 2)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r=.499, p=.0000), hardiness (r=-.275, p=.0000), health promotion behavior(r=.428, p=0000). 3)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rdiness(r=-.423, p=.0000), health promotion behavior(r=.492, p=.0000). 4) Hard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r=-.457, p=.0000). 4. Self-efficacy, hardiness and self-esteem were the major predictor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35.7%).

  • PDF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Promotion Lifestyle of Nurses)

  • 전은영;최소라;한상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40-47
    • /
    • 2007
  • Purpose: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of nurses.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24 nurses at 5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instrument tools utilized in this study was health-promotion lifestyle,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have been verified with literature studies and pre-study examinations.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SPSS PC 12 program. Result: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promotion lifestyle of nurses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beta$= .320), self-efficacy ($\beta$= .248), social support ($\beta$= .139), perceived benefits ($\beta$= .207), and age ($\beta$= .089), that altogether explained 41.1%.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 regression equation model of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ediction factors in nurses.

  • PDF

간호대학생의 건강관심도,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Health Consciousness, Health Self-efficacy and Self-care Agen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 김세시라;김은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4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health self-efficacy, self-care agency of nursing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s: From June 7 to June 20 in 2022,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255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mean comparison(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Result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 consciousness, health self-efficacy, and self-care agency. And the predicti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health self-efficacy(𝛽=.40), health consciousness(𝛽=.19), age over 40 (𝛽=-.23, p<.001), exercise six times a week or more(𝛽=.22, p=<.001), and having breakfast six times a week or more(𝛽=.11, p=.025). The explanatory power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from these variables was 53%(F=20.72, 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active changes should be sought, and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future.

상아질지각과민증에 대한 펄스형 Nd: YAG 레이저의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Pulsed Nd:YAG Laser on Dentinal Hypersensitivity)

  • 최순정;신금백;김문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1호
    • /
    • pp.11-20
    • /
    • 1998
  • 저자는 치과용 레이저를 이용한 상아질지각과민증 치료효과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고자 상아질지각과민증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각 환자마다 상아질 지각과민 치아 중 레이저로 치료 할 치아1개(실험군)와 치료하지 않을 치아 1개(대조군)를 선정하여, 치과용 air-syringe에 의한 냉자극과 치과용 탐침자에 의한 기계적 자극을 가한 후 Visual Analogue Scale(VAS)을 통해 지각과민증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이후 실험군 치아의 치경부 마모면에 광섬유 레이저에너지 전달방식의 펄스형 Nd:YAG 레이저의 일종인 Sunlase Master(Sunrise Technologies Inc., U.S.A., 파장 1064nm, 펄스지속시간 120(sec, 광섬유직경 320(m)를 사용하여, 0.3-1.0W, 10Hz 조건으로 환자의 반응에 따라 1회2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접촉식과 접촉식을 병행하여 3회에 걸쳐(초진 당일, 1일후, 3일후) 레이저를 조사한 후 처음조사 직후, 그리고 초진 1일후, 3일후, 7일후, 14일후 VAS를 채득하여 조사전과 비교, 분석, 평가하였던 바, 상아질 지각과민증이 각각 약 50%, 약36%, 약45%, 약 53% 감소하였으나 (p(0.05) 경시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24명중 9명에 대해서는 초진 30일 후 까지 레이저조사치료효과를 평가하였던 바, 상아질지각과민증이 처음조사 직후, 감소하였으며 (p(0.05)역시 경시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진 30일 후 상아질지각과민증이 초진 14일 후에 비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레이저조사 치료효과가 약화되는 경향인지 여부에 대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안되었다.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근사적인 지체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을 수 있다.수들은 직업의 선택이나 소득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들로 포함될 수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며,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정의나 그 중요성과 가치, 그리고 실태 파악과 같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 but "Daepung" showe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est in HB. Mean period of wetting duration was in the order of DS>HB>MB, while the dew point depression was greatest in DS.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무조건 사주지 않는다(8.0%), 무조건 사준다(3.1%)로 식품광고에 나오는 식품 요구시 부모의 70.3%가 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절 이유는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강남과 강북 어린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 PDF

ATIS를 위한 수정형 덩굴망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a Modified Vine Building Shortest Path Algorithm for ATIS)

  • 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7-167
    • /
    • 1998
  • 건설된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통행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단 여행자 정보체계(ATIS)를 활용할 수 있다. ATIS 체계하에서 노선정보를 통행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차로에서의 회전으로 인한 지체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최단경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최단경로탐색 알고리즘은 좌회전 금지, U-turn, P-turn 등 교차로에서의 회전으로 인한 지체를 정확히 반영 못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을 재발하였다.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은 노드표지(node labelling)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의 덩굴망 알고리즘의 노드표지 방법과 개념적으로 동일하여 이용상의 편리성을 갖도록 하였으며, 최단경로 탐색기능에 있어서는 링크탐색알고리즘(혹은 링크표지기법)이 갖고 있는 장잠을 다 반영할 수 있는 기법으로 개발하였다.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은 노드표지에 있어 특정 노드로 유입하는 방향에 따라 노드표지를 별도로 기록하였다. 따라서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우회전 및 직진은 물론 U-turn의 경우에도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현실적인 최단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최단경로의 역추적 방법을 개선하여 좌회전 금지, U-turn, P-turn 및 기타 회전에 의한 지체등을 각 교차로마다 정확히 반영함으로써 비합리적인 최단경로가 추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정형 덩굴망 최단경로탐색 알고리즘은 교차로에서의 회전지체 및 회전금지를 현실적으로 잘 반영함으로써 정확한 노선정보를 요구하는 ATIS체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법이다.장자료를 통해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근사적인 지체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을 수 있다.수들은 직업의 선택이나 소득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들로 포함될 수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며,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정의나 그 중요성과 가치, 그리고 실태 파악과 같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 but "Daepung" showe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est in HB. Mean period of wetting duration was in the order of DS>HB>MB, while the dew point depression was greatest in DS.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무조건 사주지 않는다(8.0%), 무조건 사준다(3.1%)로 식품광고에 나오는 식품 요구시 부모의 70.3%가 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절 이유는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강남과 강북 어린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 PDF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6-168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92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Taej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ng lifestyle(44 items), self-efficacy (28 items), self-esteem(10 items). control(8 items), perceived heath status(1 item), and social support(12 item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low at 2.30.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2.90), and the lowest degree was exercise(1.67). 2)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exercise subscale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who had more income had higher scores in self actualization subscale. Students who's family had experienced severe disea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xercise had higher scores in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ercise, interpersonal support, and stress management subscale. 3)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control and self-efficacy, control and self-esteem, control an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as found. 4) Self-efficacy and control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cept self actualizat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actualization subscale was found. Self-esteem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self actualization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st of the subscales of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6)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30.55%). Self-efficacy and control accounted for 36.55%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 PDF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tween Korea and the U.S.A.)

  • 홍은희;이철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76-87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구조모형: 거주기간별 다중집단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Migrant Workers: A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Period of Residence)

  • 정한나;김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3-9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a hypothetical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migrant workers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and the Health Literacy Skills Framework.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98 migrant workers in 9 regions across the country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e-health literacy, occupational stress,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AMOS 20.0, and R-4.0.3 program. Results: The model fit was appropriate. Social support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grant workers.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and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among e-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multi-group analysis, the migrant worker group with less than 5 years of residency had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an those with over 5 years. Conclusion: Providing social support as a critical administrative strategy to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grant workers is necessary. Furthermore,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utilizing the internal mechanism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 self-efficacy-enhancing strategy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Additionally, educating migrant workers with short-term residence of less than 5 years about the benefits of health behaviors is essential.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박지현;손정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31-338
    • /
    • 2020
  •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238명을 대상으로 운동행동 변화단계를 확인하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방해요인, 운동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운동 실천을 촉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운동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의 운동행동 단계는 무관심단계 23.9%, 관심단계 23.0%, 준비단계 33.2%, 실천단계 5.0%, 유지단계 29.0%이었고, 연구 참여자의 운동행동단계에 따라 운동방해요인, 운동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방해요인 중 신체적 요인과 인지심리적 요인이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운동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운동행동단계별로 미리 예상되는 운동방해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계획을 함으로써 운동 중도 포기자를 예측하고 관리하여 지속적인 운동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운동을 실천하고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운동방해요인을 파악하고 줄이기 위한 중재를 계획하고,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