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주후 평가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4초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조망 차폐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 Screening Evaluat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

  • 김석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39
    • /
    • 2000
  • 도시가 이루는 자연성과 주변환경에 이반(離反)되는 개발계획은 건축 후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도심 아파트의 고층화, 집단화와 도시 무절제한 확산에 따른 자연경관의 훼손 및 기존거주자의 전망의 침해는 지금까지 많은 민원과 민사를 야기 시키고 있으며, 지역 외 전문가나 방문자들의 객관적 평가에서조차도 심각한 도시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타운하우스 거주자들의 거주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H 타운하우스'의 거주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a Townhouse based on Residents' Satisfactions - Centered on Residents of 'H Townhouse' which is Located at Paju in KyungGi-Do -)

  • 김미정;조명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7-127
    • /
    • 2011
  • Townhouse have been developed as alternative housing types for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s and high-rise apartments, Much research on townhouse have investigated physical environments of townhouse and provide a number of planning factors to be considered. However, these factors do not reflect the residents' experiences of the environments sufficient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sidents' satisfactions in townhouse as an exploratory study which can be a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ownhouse. First of all, we selected a target townhouse and conducted a field study to examine the existing state of the townhouse. Then a customiz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residents in the townhouse for investigating their satisfaction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estions included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ite environment, unit space, community area and housing management. Through the statistic analyses of the residents' responses, the residents' satisfaction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Especially the residents' satisfaction on the community area, which revitalizes neighborhood relationships, is very high.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conditions of the sub-categories, 'a distinctive exterior' 'a private planning', 'outdoors' and 'landscapes', in townhouse. In conclusion, we suggested consider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 quality of life in townhouse.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nov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Effects of Housing Renovation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 이소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9-18
    • /
    • 2012
  • For the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government has provided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for the disabled. However, there is a limited budget which should be properly distributed for a number of disabled famil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cide which parts should be improved for housing renovation for the disable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renovation should improve housing conditions in terms of accessibility (barrier free) and should bring the better comfort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renovation projec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novation influence occupants' satisfaction, and to examine which factor such as renovation cost and renovation elements would influen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recipients of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refurbishment from City of Seoul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153 cases were analyzed using post occupancy survey and the project cost data for the participants' housing were collected. Overall, more cost were used for modification for housing condition than for removal of architectural barriers. Housing typ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housing affects cost for renovation more significantly. Overall the improvement cost is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meet the residents specific needs for repair, refurbishment, and renovation of housing.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활동이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Fairy Tales on Receiv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Facilities)

  • 류정미;김충명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21
  • 목적: 지적장애인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사용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그림동화를 활용하여 읽기 교육을 지도한 후에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20~40세미만의성인지적장애인 12명이다. 이들은 중재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나누어서 매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를 중재하였다. 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시행한 중재집단에서는 수용어휘의 사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표현어휘의 활용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아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를 지도한 후에는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활용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가 되리라 평가한다.

공리적 설계를 활용한 고객만족형 설계VE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VE Process during Design Phase using Axiomatic Design Theory)

  • 박인우;조규만;현창택;홍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11-121
    • /
    • 2009
  • 국내 건설업체들은 비용절감과 성능향상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설계단계의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이하 VE)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실제 VE 활동에서는 고객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를 측정하는 준비단계에서 기능분석, 아이디어 창출단계에 걸친 순차적인 진행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요구기능이 VE 수행절차에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공리적 설계이론(Axiomatic Design Theory)을 설계VE 프로세스에 도입하여 기존의 설계VE 프로세스를 보완하는 고객만족형 설계VE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고객만족형 설계VE 프로세스는 설계VE와 공리적 설계의 프로세스 및 특성상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두 이론의 연계방안을 정리하고, 기존의 설계VE 프로세스에 공리적 설계 프로세스를 추가.보완하는 형태로 완성한다. 이때 프로세스의 초기단계인 고객의 요구를 측정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거주 후 평가(Post-occupancy Evaluation)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설계VE에 거주 후 평가를 활용하기 위해 평가 기준 및 방법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요구 측정 절차를 수립하여 그 절차에 따라 설문을 작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국내 설계VE 활동에서 미진하였던 고객요구를 적극 반영하고, 기능과 아이디어의 관계에서 기능-아이디어-기능의 지그재그 창출 방법을 통해 기능-아이디어간의 연계를 명확하게 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VE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MACCS2 코드를 이용한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설계기준사고시 비상대응조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Emergency Response Measures during the Design Basis Accident of the Research Reactor 'HANARO' using MACCS2 Code)

  • 이관엽;김종수;이해초;김봉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09-117
    • /
    • 2014
  • 방사선비상계획은 원자력시설에 대한 사고해석을 통해 산출한 방사선원항과 기상자료에 근거한 선량평가 결과를 기초로 비상계획이 필요한 거리를 산출하고, 비상계획이 필요한 거리 내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에 대한 옥내대피, 소개, 갑상선방호 등의 보호조치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에서 가상할 수 있는 최대사고 조건 하에서 부지내외 거주자에 대한 보호조치 전 후의 선량변화를 1년간 기상자료에 기초하여 확률론적으로 평가하고,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의 2007년 권고에서 제시한, 비상피폭상황에서 보호조치 이후 잔여선량으로 정의된 참조준위 개념을 사용하여, 최적의 보호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하나로의 경우 최대 가상사고시 최적의 보호조치 유형은 반경 300 m 이내 거주자 소개, 반경 800 m 이내 거주자 옥내대피로 평가되었으며, 갑상선방호는 반경 600 m 이내 거주자에 국한하여 해당되는데 이 지역 거주자가 소개 또는 옥내대피시는 방사능방재요원 외에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천층처분시설에서 시추 후 거주시나리오 평가를 통한 폐쇄 후 제도적 관리기간 연구 (Study on the Institutional Control Period Through the Post-drilling Scenario Of Near Surface Disposal Facility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 홍성욱;박진백;윤정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8
    • /
    • 2014
  • 처분시설은 폐쇄 후 제도적 관리기간 동안에는 처분 부지로의 일반인의 접근을 제한하며 제도적 관리기간 이후에는 부주의 한 인간침입 시에도 처분시설로 인한 방사선적 영향으로부터 침입자를 보호하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이 부주의한 침입자에 미칠 수 있는 방사선적 영향을 GENI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가해보았다. 처분고별 적치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종류를 달리하여 평가하고 제도적 관리기간 설정에 따른 침입자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제도적 관리기간을 두지 않아도 폐필터가 적치된 처분고를 제외하고 모두 성능 목표치를 만족하였다. 하지만 폐필터를 적치한 처분고의 경우 인간침입 평가결과 제도적 관리기간 300년이 되어서야 성능목표치를 만족할 수 있었다. 폐필터와 함께 잡고체 폐기물을 혼합하여 적치하는 경우 제도적 관리기간을 줄일 수 있었으며, 폐필터는 다른 폐기물과 함께 적치하여 제도적 관리기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폐기물 적치시 방사능을 고려하여 처분고 적치방안을 적절히 수립하는 것이 국부적인 방사능의 최대값을 줄일 수 있어 방사선적 안전성을 확보하며 제도적 관리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 대한 거주후 평가 -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Ultra High - Rised Mixed - Use Buildings - Focused on Residential Satisfaction -)

  • 한수진;윤정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7-142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be properly understood the residential function and its relations to the mixed functions of the mixed-use buildings and further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future basic planning of mixed-use buildings. 1) The satisfaction rates of the public space and the supplementary facilities were high in general, but the satisfactory rate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was low. 2)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variables that differences among satisfaction rates. However, they were not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residential satisfaction. 3)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variables that differences among satisfaction rates. As a result, the floor and direction of the residence were more meaningful variables than the scale of the residence.

  • PDF

중소규모 아파트 평면유형에 따른 거주후 평가-식당겸 부엌(DK)의 전면배치형과 후면배치형 간의 비교-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by Types of Unit Plan of Apartment-Comparison of Unit Plan with the Dining Roon and Kitchen Facing the Front Side and Those with DK Facing the Back side-)

  • 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9-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dining room and kitchen(DK) facing the front side, and then to compare them with findings in unit plan facing the back side.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he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long with an interview, of 200 households in the apartment of 27-28 pyoung($76.50-78.54\textrm{m}^2$), in Gwangju city. Those living in an apartment with DK facing the front side tend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 physical feature factors. expecially for layout of rooms, location of second bedroom and master bedroom, size and location of storage spaces, and location and size of balcony than those with the DK facing the back side.

  • PDF

산후관리시설의 사용실태 및 사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Space Usage and User Needs of Postpartum Care Centers)

  • 손여림;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8-25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pace usage of postpartum care center and postpartum mother's assessment of postpartum care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questionnaire web survey. 220 women who used postpartum care center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for Win 12.0. Frequency, percentage, mean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ostpartum care center was consisted of 5 areas such as living area, sanitary area, public area, service area and administration area. Living and public area were mainly occupied, but service area was insufficient. The us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other room, and low satisfaction with nursing room and shower room. The users complained of size of mother room, collaboration with others in shower room and toilet. The users wanted guest meeting room for users' privacy of living room. The users wanted service area such as massage room, fitness room, physical care r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