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주지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4초

고령인구의 거주지 인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Maps of the Elderly Living in Apartment Area)

  • 권순정;정다운;오예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5-3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in apartment complex in order to construct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sustainable and age friendly apartment area. Methods: Cognitive map was us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lderly residents' status of residential environment cognitions. The elderly living in Gongreung-dong apartment was randomly interviewed outdoor area and requested to draw cognitive maps on their living environment. 26 valid cognitive maps collected were analyzed,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Line type and Dot type. The average age, cognitive distance, length of residence, number of elements in the map(complexity) were then compared by Line and Dot type, as well as by gender.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lso were analysed. Results: Males showed a tendency to draw dot types, which means they are place-centered, and females drew line types more than males, which means they are way-centered. The average cognitive distance of male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female group. As the age went up, the number of perceived place and the cognitive distance decreased. Oder people tended to draw line types rather than dot types. As the cognitive distance was longer, the perceived place and the number of lines increased. Implications: The age was mo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younger the residents were, the more they recognized the elements. The points that were represented by dots in the cognitive maps are places for memories for the individuals. Creating more memorable spaces will affect the cognition of residents on living environment. It is better to improve the cognitive environments before cognitive abilities of residents decrease.

대학생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 선택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Trip Destination Choice Behavior focusing on the Influential Factors)

  • 양지현;조창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8-82
    • /
    • 2016
  •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은 교통 수요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통 수요 연구와 달리 일반인과 다른 인구집단적 특성을 갖고 있는 대학생들의 통학 등의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을 위한 통행의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일상은 취업자나 중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자율적이나 수업 등의 의무 활동이 혼재되어 있다.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은 업무나 학업 등의 활동과 달리 그 실행의 구체적인 내용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본 연구는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거주지 주변, 학교 주변, 강북 지역, 강남 지역 등의 통행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활동들의 목적지 선택에는 거주지와 성별, 소득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학생에 특징적인 다양한 해석이 도출되었다. 일반인과 다른 특성의 대규모 인구집단인 대학생의 통행 특성 연구는 교통계획에 시사점을 준다.

  • PDF

50~60대 기혼 남녀의 노년기 가족생활 전망:동거 가족, 돌봄자, 거주지 전망과 관련된 요인 탐색 (The Prospects of the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bout their Future Coresident Family Members, Caregivers, and Residence)

  • 진미정;성미애;변주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1호
    • /
    • pp.27-41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how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prospected their family life in terms of their future coresident family members, caregivers, and residence, and wha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se prospects. The prospects reflected their realistic expectation rather than their preference based on their current life situations.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of 800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in Seoul and Gyunggi-do. Following previous research, we examined how resources (age, sex, health status, spouse's health status, number of children, current living arrangement, and household incom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responsibility for their parents and children, and relational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 and with their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prosp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 prospect which is with whom they would live, who would care for them, and where they would live in different ways. The resources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spect on coresident family members and residence. The perceptions on responsibility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spect on caregivers. The relational satisfaction wa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spect on coresident members. These results undersco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regiving and family life would change in 10-20 years. Family policymakers need to take these changes into consideration as they deal with issues of family policy.

도시화 정도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분석: 특별·광역시 지역과 도지역 거주자의 비교 (Discri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Immigrant Women on Marriage: Comparison of Regional Traits)

  • 김경범;박철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14-222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특별 광역시지역과 도지역 거주자 구분하여, 거주지의 특성이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변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특별 광역시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 163명, 도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항로짓모델(binary logit model)을 주로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의 적합성은 특별 광역시지역 모형과 도지역 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별 광역시지역 모형과 도지역 모형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개인적 특성 및 가족적 특성은 특별 광역시 지역보다 도지역에서 지역사회통합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특성은 도지역보다 특별 광역시 지역에서 지역사회통합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정책적 개입에 있어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 김현우;이두헌;임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9-49
    • /
    • 2017
  •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또는 그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해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의인력은 '장소의 질', 대표적으로 어메니티를 거주지역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 도시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2014년 기준, 전체 창의인력의 수는 573만명(전체 종사자의 23.2%)이며, 절반 이상인 58.6%가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창의인력의 초과거주비율(거주자수/일자리수)은 인구규모가 큰 대도시 지역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은 생산직과 비교하여 교육과 같은 특정 도시 어메니티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창의인력 확대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A Study on the Attitudes of Women Immigrants toward the Elderly)

  • 박지영;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0-5577
    • /
    • 2011
  • 이 연구는 59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한국 가족 및 모국 가족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0년에 진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Sanders 등의 노인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평균비교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결혼 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지, 배우자의 교육수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 및 모국 가족과의 연락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설명력은 한국 가족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예측변인은 연령, 거주지, 가정 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가정소득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Silver Towns)

  • 권지혜;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79-288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액티브 시니어'로 불린다. 액티브 시니어는 높은 거주 비용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며 그들만의 새로운 도시콘텐츠를 만들어 간다.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 콘텐츠는 그들의 거주지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요 거주지로 선호되는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고려한 도시형 실버타운 입지 특성으로는 1) 대중교통, 2) 주변간선도로, 3) 문화 쇼핑시설, 4) 의료시설, 5) 아파트 단지, 6) 자연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환경보다는 주변의 의료시설 및 아파트 단지 및 문화 쇼핑 시설이 도시형 실버타운의 주요한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도시 콘텐츠인 도심 실버타운의 입지선정뿐만 아니라 고령자 주택 관련 정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입소노인의 가족관계가 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n Facility Adapt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 김윤정;이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71-37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입소노인의 가족관계가 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장기요양기관을 평가등급과 지역에 따른 할당표본을 통한 표집틀을 구성하여, 2018년 1월과 2월에 한 기관 당 입소노인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1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시설적응수준은 높은 편이었다. '집단행동부적응'과 '이동쇼크'와 같이 부적응차원은 2점대로 낮고, '새로운 거주지 인정'과 '친구 만들기'와 같은 적응차원은 중간수준 이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노인의 시설적응에는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시설관련변수의 영향력보다는 가족관계변수의 영향력이 더 컸다. 그 중에서 가족과의 친밀감 변화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따라서 노인이 시설에 입소하기 전부터 입소 후까지 전 과정에 걸쳐 가족과의 친밀감이 유지되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일개 병원 의료서비스 품질평가와 전원동기 분석연구 (Related Quality Evalu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Hospital Selection Motive)

  • 박효순;이무식;나백주;홍지영;장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43-748
    • /
    • 2010
  • 본 연구는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는데 있다. 외래, 중 병원에서 검사한 사항을 CD로 담아 타 병원 진료 후 현 병원에 내원한 대상자와 본 병원에서 진료 후 CD를 가지고 타 병원으로 전원 하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2009년 10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본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 전원 환자의 물리적 특성에서 주차시설, 주위시설, 의료진 서비스 품질에서는 간호사 친절도, 전문성, 설명, 의료 서비스 품질 특성에서는 의료기기 최신설비, 병원 평판에서는 의료인력 의술, 주위 환경, 병원 외적 요인에서는 진료의 권유 항목이 유의하였다(p<0.05). 내원 시 병원 선택 변수 평균치 검정 결과 중 성별에서는 만족도, 연령별에서는 의료진 서비스품질, 거주지에서는 병원외적요인, 병원지역에서는 병원평판, 만족도, 진료기관에서는 병원평판, 만족도, 진료구분에서는 만족도에서 유의하였다(p<0.05). 전원 시 병원 선택 변수 평균치 검정결과 중 연령별에서는 의료진 서비스 품질, 거주지에서는 병원외적요인, 병원지역에서는 병원평판, 만족도, 진료기관에서는 병원평판, 만족도, 진료 구분에서는 만족도가 유의하였다(p<0.05). 본 연구에서는 내원 전원 환자는 물리적 환경, 의료서비스 품질, 병원 평판 등 을 병원 선택에 중요한 요인들로 지각 하고 있으며 간호사와 주위 사람들의 권유에 의하여 병원을 선택한다고 나타났다. 내원 환자는 의료진 서비스 품질, 병원 평판, 만족도에서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다. 전원 환자는 물리적 환경, 의료진 서비스품질, 의료 서비스 품질, 병원 평판, 만족도에서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였다.

  • PDF

한국의 사회 . 인구지리학의 발달과정과 전망 (Progress and prospect of social and population geography in Korea)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8-294
    • /
    • 1996
  • 우리나라에서 사회.인구지리학은 다른 전공분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발달했 다고 할 수 있지만 최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면서 상당한 연구업적을 누적시키게 되 었으며, 앞으로 지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당면한 사회공간 적 문제들의 해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 1950년대 현대 지리학의 성립이후 사회.인구지리학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전망과 과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회.인 구지리학의 일반적 개념 및 주요 주제들과 그 발달과정을 개관하고 다음으로 그동안의 연구 성과와 연구동향을 몇 가지 주요 주제, 즉 연구방법론, 도시화와 도시인구현상, 인구이동과 농촌사회생활의 변화, 거주지분화와 도시재개발, 도시사회생활과 지역사회복지 등으로 나누 어서 살펴 보고자 한다. 끝으로 사회.인구지리학의 발전전망과 과제를 간략히 논의하고 있 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