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 이미지

Search Result 71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llecting and Analyzing Color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Semantic Information Model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한 색채정보의 수집과 정량적 분석)

  • Lyu, Ki-Gon;Sun, Dong-Eo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32-235
    • /
    • 2011
  • 지식표현은 일반적으로 논리, 규칙, 프레임 또는 의미망 형태로 표현되며, 최근에는 의미망을 이용한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표현 방법은 개념을 설명하는 문맥적인 정보나 개념들 간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념에 대한 지식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지식표현에 사용되는 의미정보는 사람에 의해 수집되고 정제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의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색채는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 연상, 상징 등 객관적인 특징 뿐 아니라 시대, 나라, 문화와 같은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색채를 이용한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해, 색채정보를 수집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긍정/부정/불안/중립으로 구성된 감성어휘 273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한 결과 총 130,94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미지에는 여러 가지 사물, 행동, 배경, 색채 등 다양한 정보가 혼재되어 있어 감성어휘와 연관된 색채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용자 태그를 별도로 수집하였다. 태그는 총 2,836,395개를 수집하였고 각 이미지와 그룹에서의 가중치를 구하였다. 태그의 가중치를 통해 이미지가 그룹 내에서 갖는 중요도를 판별하였고, 각 그룹 별로 상위 3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대표 색채를 분석하였다.

Design of Ontology-based Interactive Image Annotation System using Social Image Database (소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온툴로지 기반 대화형 이미지 어노테이션 시스템의 설계)

  • Jeong, Jin-Woo;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0-303
    • /
    • 2011
  • 이미지 어노테이션 기법은 효과적인 이마지 공유 및 검색을 위하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연구분야 중 하나로서, 최근에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제작되는 방대한 양의 이미지 데이터 및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Flick와 같은 소셜 이마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어노테이션 및 이미지 검색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지식정보의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온톨로지와 소셜 이마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이미지 어노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소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의미 있는 개념들을 이미지 어노테이션에 활용하며, 지식 관리 체계인 온툴로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내의 이미지 및 개념간에 존재하는 의미적 관련성을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고자 한다.

RGB 컬러의 Contour 개념을 이용한 직관적인 이미지 검색 설계

  • Lee, Ji-Min;Cho, Hee;Cha, Byu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57-260
    • /
    • 2009
  • 기존 이미지 검색사이트는 대부분 이미지 파일의 이름에 포함된 단어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였다. 좀더 진보한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하세도표를 이용한 색 구성 영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Contour개념을 이용하여 이미지 자체의 직관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Content Analysis about Body Image in Adolescents of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 Lee, Hye-jin;Lee, Yuri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1
    • /
    • pp.87-10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edagogic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at can form body image which organize self-concept of adolescents positivel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ggested a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that can be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formation model, analyzed contents on body image of current 12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extbook through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educational contents about body image were categorized into 4 constructs with 8 sub-categories. Second, we found the current textbooks about the child and family life field, food and dietary life field, and clothing life, are handling topics regarding body image formation model of adolescents, such as concepts and components of body image and antecedents and outcomes of body image. We conclude that although the current textbooks handles contents on body image of adolescents, those contents are sporadically presented across the three fields without an integrated perspective. Home Economics, as an entity of educat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daily life activities, needs to have a topic-oriented approach in developing a curriculum.

A Data Type for Concept-Based Retrieval against Image Databases Indefinitely Indexed (불확정적으로 색인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개념 기반으로 검색하기 위한 자료형)

  • Yang, Jae-Dong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1
    • /
    • pp.27-33
    • /
    • 2002
  • There are two significant drawbacks in triple image indexing; one is that is cannot support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and the other is that it fails to allow disjunctive labeling of images. To remedy the drawbacks, we propose a new technique supporting a concept-based retrieval against images indexed by indefinite fuzzy triples (I-fuzzy triples). The I-fuzzy triples allow not only a disjunctive image labeling, but also a concept-based matching against images labeled disjunctively. The disjunctive labeling is based on the expended closed world assumption and the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is based on fuzzy matching. In this paper, we also propose a concept-based query evaluation against the image database to extract desired answers with the degree of certainty $\alpha$$\in$[1,0].

High School Textbook Definition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s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 Park, Dal-Won;Hong, Soon-Sang;Shin, M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3
    • /
    • pp.453-465
    • /
    • 2012
  • In this paper, we first analysis definition of continuity of functions in high school textbooks, the mathematics high school curriculum and university mathematics textbooks. We surveyed what was causing the students to struggle in their concept image of continuity of functions. We arrived at that students' concept for errors in images of continuity of function were caused by definition of continuity of functions in high school textbooks.

  • PDF

Affective conceptual components of facial beauty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적 구성 개념)

  • 김한경;박수진;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42-347
    • /
    • 2002
  • 한국인 20대 여성 얼굴을 대표하는 30개 얼굴의 감성 형용사 평정을 통해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 특징을 파악하였다. 얼굴 감성을 나타내는 14개 형용사 평정에 대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얼굴 감성은 샤프 요인과 소프트 요인으로 나뉘며, 사람들이 소프트한 느낌보다 샤프한 느낌을 지닌 얼굴을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 특징 검증을 위해 얼굴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이미지에 대해 얼굴 미모와 감성 형용사 평정을 실시하였다. '상위 평균' 이미지는 '전체 평균' 이미지보다, 전체 평균과 상위 평균의 얼굴 특징 차이를 50% 과장한 '상위+50' 이미지는 '상위 평균' 이미지보다 유의미하게 더 아름다운 것으로 평정되었다. 합성 얼굴의 감성 평정 결과 '전체 평균' 이미지는 소프트 감성에서 높은 평정을 받았으며, '상위 평균' 이미지는 샤프 감성, '상위150'이미지는 두 감성 요인을 모두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샤프 혹은 소프트 중 하나의 감성 요인이 두드러진 얼굴보다 두 가지 감성 요인 모두에서 높은 평정을 받은 얼굴을 더욱 아름답다고 지각하는 것을 암시한다.

  • PDF

An Analysis of 2nd Grade Students' Concept Image about the Triangle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삼각형에 대한 개념 이미지 분석)

  • Kim, Jiwon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2
    • /
    • pp.425-440
    • /
    • 2016
  • Concept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quisition of mathematical concept. However, sometimes concept images are derivatives of student's misconceptions. In addition, students always learn concept images despite teachers' efforts to teach concept definitions. Therefore, teachers need to know about all the concept images of a particular concep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 image that students have about the triangle when they have already learned about the triangle in school. It was found that some students have different concept images about the triangle between Semo. Moreover, many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vertices, sides, and angles. In particular, students think Gak denotes a side, although it means angle.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that the curriculum and textbook require improvement.

An analysis on concept definition and concept image on quadrangl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생의 사각형에 대한 개념 정의 이해와 개념 이미지 분석)

  • Chang, Hyun Suk;Kim, Myung Chang;Lee, Bongju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2
    • /
    • pp.323-33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wel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definition of quadrangle and to explore the phenomenon about their concept image. A test tool was developed and 60 8th graders, 63 9th graders and 65 10th graders were tested, and some students who needed in-depth analysi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not be said that understanding level of the concept definition of the quadrangle naturally improves as the grade level goes up.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he rhombus is the lowest in all three grades compared to other quadrangle. Second, although female students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square better than male students,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definition of trapezoid, parallelogram, rhombus, and rectangle did not differ by gend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did not understand the concept definition of the quadrangle were more and more influenced by the concept image as the grade level went up. Fourth, it showed that a tendency to be less influenced by the concept definition and more influenced by textbooks and teachers as the grades go up when students form a concept image.

Auto-Classification of Annotated Images using Similarity between Concepts (개념간 유사성을 이용한 이미지 자동분류)

  • Hwang, Kwang-Su;Yi, Hong-Ryoul;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370-375
    • /
    • 2007
  • 인터넷과 디지털기기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의미적인 자동분류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이미지 분류방법은 내용기반 분류와 주석자에 의한 직접 분류 방법이 있다. 하지만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이미지가 내포하고 있는 정확한 의미 별로 분류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의 주석간 개념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이미지에 의미를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의미적이고 효율적인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 PDF